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체육교육전공

  • The Major of Physical Education
  • 학위수여명: 교육학석사 (체육교육전공)

교육 목표

  • 체육교육 전공의 교육목적은 인성교육의 근간이 되는 학교체육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게 하고, 발전된 체육학 관련 지식 및 정보의 탐구를 통하여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체육 교수방법을 교육현장에 적용․발전시킬 수 있는 자질 있는 체육교사를 양성하는 데 있다.

  • 가. 체육학에 관한 학문적 탐구능력을 배양한다.
  • 나. 체육학의 이론과 실제를 고루 육성한다.
  • 다. 체육지도자로서의 전문적 자질을 함양한다.
  • 라. 체육교수이론에 능통한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전임교원 명단

교수명 직급 최종학위 전공분야 비고
정진원 교수 박사 운동생리학
이상행 교수 박사 스포츠사회학
홍 용 교수 박사 운동처방
최광근 교수 박사 체육사
박경훈 교수 박사 트레이닝
김봉석 교수 박사 체육측정평가
홍성택 교수 박사 스포츠심리학
유강원 교수 박사 스포츠경영학
손지훈 부교수 박사 운동역학
이숙경 부교수 박사 스포츠경영학 전공주임교수
정경구 조교수 박사 스포츠사회학
진연경 조교수 박사 스포츠교육학

전공 내규

  • 타 계열 전공 소지자 이수과목(선수과목)
    • 선수과목은 타 전공을 이수한 원생이 수학교육의 연구를 수행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교과목 구성의 선수과목을 1학기부터 3학기까지 3과목 6학점을 개설하여 이수토록 한다. 단, 선수과목은 수료 학점에는 포함되지 아니 하나 이수하지 못한 자는 청구논문을 제출할 수 없다.
  • 종합시험 과목지정
    • 종합시험은 4학기까지 해당 전공분야의 학문을 토대로 전반적인 이해 여부를 평가하면서 아울러 논문을 쓸 수 있는 능력의 유무를 평가하고 시험과목은 다음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 이수한 전공과목 2과목을 선택하여 출제한다.
    • 가) 스포츠심리학, 운동역학
    • 나) 체육원리 또는 체육사, 운동생리학 또는 운동처방학
    • 다) 스포츠사회학, 건강교육론 순으로 학기별 3과목을 지정 가), 나), 다) 순으로 출제한다.
    • 전공과목 출제위원은 주임교수가 1~3인을 추천한다.
  • 논문지도와 청구논문 제출 절차
    • 주임교수는 2학기 말에 원생의 의견을 존중하여 지도교수를 정하도록 한다.
    • 학위청구논문 제출에 앞서 논문에 대한 공개발표를 갖도록 한다.
    • 공개발표 후 전공 교수회의에서 심사 여부를 결정한다. 미흡하다고 판단될 경우 논문 제출을 연기 시킬 수 있다.
  • ※ 체육교육 전공은 3학기 순환으로 강의가 개설되며 논문ǀ, 논문ǁ는 3,4학기 원생이 수강함.

학기별 개설 교과목 (수업연한: 5학기)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비고
1 전필 331222 체육교육론 2
전필 331225 여가레크리에이션 2
전필 331212 운동생리학 2
전선(교직) 331317 체육교과논리 및 논술 2
2 전필 331207 운동역학 2
전필 331211 체육사·철학 2
전필 331214 건강교육 2
전선(교직) 331306 체육교과교육론 2
3 전필 331208 스포츠사회학 2
전필 331215 체육측정평가 2
전필 331216 스포츠심리 및 운동학습 2
전선(교직) 331303 체육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2
논문 논문Ⅰ P

※ 체육교육 전공은 3학기 순환으로 강의가 개설되며 논문ǀ, 논문ǁ는 3,4학기 원생이 수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