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대학원
상담심리대학원
-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 상담심리학 석사
교육 목표
- 상담심리학 실무에 관한 교육, 연구 및 훈련을 통하여 다양한 휴먼 서비스영역에서 전문적 자질을 갖추고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상담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한 목표는 다음과 같다.
- - 전문 심리상담가 양성을 위한 이론과 응용 방법 교육
- - 인성교육을 통한 인류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지도자적 인재 양성
- - 창의·봉사 인재 양성을 위한 특성화된 이론 교육
전공 및 연구분야
- 결혼·가족상담심리학, 아동발달상담심리학, 진로·직업상담심리학, 청소년상담심리학
참여 교수
김인규 | 직급 | 교수 | 최종학위 | 교육학박사 |
---|---|---|---|---|
전공분야 | 상담학/교육학 | 연구분야 | 학교상담, 청소년상담, 상담자교육 | |
연구실 | 교수연구동 611호 | 전화 | 063-220-2495 |
김명식 | 직급 | 교수 | 최종학위 | 심리학박사 |
---|---|---|---|---|
전공분야 | 임상심리학 | 연구분야 | 정신보건, 중독심리, 발달정신병리 | |
연구실 | 스타센터 316호 | 전화 | 063-220-2035 |
박순권 | 직급 | 교수 | 최종학위 | 심리학박사 |
---|---|---|---|---|
전공분야 | 생물심리학 | 연구분야 | 심신의학, 신경과학, 중독심리 | |
연구실 | 평화관 303호 | 전화 | 063-220-3126 |
이호준 | 직급 | 교수 | 최종학위 | 교육학박사 |
---|---|---|---|---|
전공분야 | 상담학/교육학 | 연구분야 | 부모상담, 다문화상담, 특수아상담 | |
연구실 | 교수연구동 617호 | 전화 | 063-220-3258 |
하 정 | 직급 | 교수 | 최종학위 | 심리학박사 |
---|---|---|---|---|
전공분야 | 상담심리학 | 연구분야 | 진로발달, 진로상담, 상담 수퍼비전, 상담 프로그램 개발·효과 검증 | |
연구실 | 스타센터 313호 | 전화 | 063-220-2921 |
홍지영 | 직급 | 부교수 | 최종학위 | 교육학박사 |
---|---|---|---|---|
전공분야 | 상담심리학 | 연구분야 | 상담이론과 실제, 집단상담, 상담자교육 및 수퍼비전, 청소년상담 | |
연구실 | 교수연구동 614호 | 전화 | 063-220-2826 |
권호인 | 직급 | 부교수 | 최종학위 | 심리학박사 |
---|---|---|---|---|
전공분야 | 임상심리학 | 연구분야 | 우울, 자살위기개입, 심리부검 | |
연구실 | 스타센터 319호 | 전화 | 063-220-4666 |
김연수 | 직급 | 조교수 | 최종학위 | 심리학박사 |
---|---|---|---|---|
전공분야 | 발달심리학 | 연구분야 | 영유아발달정신병리, 영아기 사회인지, 아동기 지능 | |
연구실 | 스타센터 315호 | 전화 | 063-220-3104 |
학과 내규
- 졸업에 필요한 이수학점은 24학점이고, 여기에는 공통 12학점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 논문이 아닌 비논문과정으로 학위를 받는 경우 6학점을 추가로 이수하여야 한다.
- 논문을 제출하여 졸업하기 위해서는 학위 청구논문을 제출하는 해당 학기 이전에 논문 제안서(프로포잘)를 발표하여야 한다. 발표된 제안서는 소속 교수들의 검토를 거쳐 '그대로 연구 수행', '수정 후 연구 수행', 또는 '제안서 재발표'의 판정을 받는다. '제안서 재발표' 판정의 경우 재발표는 차기 제안서 발표 시에 실시한다.
학점 이수 로드맵
구분 | 학기 | 이수 교과목명 | 학점 | 비고 |
---|---|---|---|---|
결혼·가족상담심리학 전공 |
1학기 | (공통) 심리학개론, 상담기법, 상담이론 | 6 | |
2학기 | (공통) 심리검사 (전공) 결혼·가족상담이론, 상담연구 |
6 | ||
3학기 | (공통) 상담현장실습 (전공) 결혼·가족상담실제,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
6 | ||
4학기 | (공통) 이상심리 (전공) 가족상담연구, 부부치료 |
6 | ||
5학기 | (전공) 고급상담실습, 주제별 세미나, 고급발달심리학 | 6 | ||
아동발달상담심리학 전공 |
1학기 | (공통) 심리학개론, 상담기법, 상담이론 | 6 | |
2학기 | (공통) 심리검사 (전공) 영유아·아동상담이론, 상담연구 |
6 | ||
3학기 | (공통) 상담현장실습 (전공) 영유아·아동상담실제, 놀이치료 |
6 | ||
4학기 | (공통) 이상심리 (전공) 발달진단 및 심리평가, 영유아발달심리 |
6 | ||
5학기 | (전공) 고급상담실습, 주제별 세미나, 고급발달심리 |
6 | ||
진로·직업상담심리학 전공 |
1학기 | (공통) 심리학개론, 상담기법, 상담이론 | 6 | |
2학기 | (공통) 심리검사 (전공) 진로·직업상담이론, 상담연구 |
6 | ||
3학기 | (공통) 상담현장실습 (전공) 진로·직업상담실제, 직업심리 및 직무분석 |
6 | ||
4학기 | (공통) 이상심리학 (전공) 진로·직업상담연구, 진로상담프로그램 개발 |
6 | ||
5학기 | (전공) 고급상담실습, 주제별 세미나, 고급발달심리학 | 6 | ||
청소년상담심리학 전공 |
1학기 | (공통) 심리학개론, 상담기법, 상담이론 |
6 | |
2학기 | (공통) 심리검사 (전공) 청소년상담이론, 상담연구 |
6 | ||
3학기 | (공통) 상담현장실습 (전공) 청소년상담실제, 행동수정 |
6 | ||
4학기 | (공통) 이상심리학 (전공) 발달심리, 학업상담 |
6 | ||
5학기 | (전공) 고급상담실습, 주제별 세미나, 고급발달심리학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