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심리치료학과
예술심리치료학과
- Department of Creative Arts Psychotherapy
- 예술심리치료학석사·예술심리치료학박사
교육 목표
심화된 이론과 현장에서의 실제가 강조된 교육 과정을 통하여 예술심리치료사의 학문적, 임상적 전문성을 양성 및 강화한다.
전공 및 연구분야
예술심리치료학과는 예술심리치료분야의 임상 전문 인력 양성과 연구의 발전을 위해 설립된 학과로, 본 학과에 개설된 세부전공은 음악심리치료(석사과정)와 미술심리치료(석사과정) 그리고 예술심리치료(박사과정)이다.
참여 교수
성명 | 직급 | 최종학위 | 전공분야 | 연구분야 |
---|---|---|---|---|
김동민 | 부교수 | 심리학박사, 표현예술치료학박사 |
음악심리치료, 표현예술심리치료, 발달 및 발달장애 임상 |
수퍼비전, 여성주의/다문화, 음악중심, 예술심리치료 |
박보람 | 부교수 | 심리학박사 | 미술심리치료, 상담심리 |
미술심리치료, 수퍼비전, 문화적응, 미술심리치료사 발달 및 훈련 |
소혜진 | 조교수 | 표현예술치료학박사 | 음악심리치료, 표현예술심리치료 |
음악심리치료, 표현예술심리치료, 예술심리치료사 발달 |
문경아 | 조교수 | 예술치료학박사수료 | 미술심리치료 | 미술심리치료, 자폐스펙트럼아동 |
학과 내규
- 선수과목(12학점)
-
- 아래에 명시된 과목 또는 관련과목을 12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이수과목은 주임교수가 정한다.
–필수(9학점): 예술심리치료학 개론, 예술심리치료 진단과 평가, 예술심리치료 임상기법
–선택(3학점): 장애아동의 이해, 아동음악치료, 아동미술치료, 심리학개론, 발달심리학, 상담심리학, 기초통계
- 아래에 명시된 과목 또는 관련과목을 12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이수과목은 주임교수가 정한다.
- 학위청구논문 프로포잘 및 지도교수 선정
-
- 2학기에 희망 지도교수를 신청하고 학위청구논문 프로포잘에 대한 공개심사를 진행한다.
- 학위청구논문 발표
-
- 졸업학기에 학위청구논문을 공개적으로 발표한다.
학점 이수 로드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