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문화산업학과
한지문화산업학과
- Major in Han - ji Culture & Industry
- 한지문화예술학석사
교육 목표
한국 전통의 소재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전통과 현대를 조화롭게 연출하고 글로벌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며, 4차 산업혁명에 관련한 전통문화산업의 일자리 창출. 전통문화(예술)와 소재와 과학기술의 융복합 문화기술. 3D프린팅을 이용한 전통공예의 소재활용 등으로 미래 산업의 전통문화 컨텐츠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통소재와 기반기술을 융복합하여 스토리텔링화(원인규명)한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관광상품화를 기대하고 전통 산업을 발전과 신사업 창출로 미래 산업의 전통문화컨텐츠로 자리매김하여 고 부가가치의 전통소재로서 문화산업의 중심체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전공 및 연구분야
- 원료와 초지 및 가공 보존을 기초로 하여 전통방식에 대한 기술 습득
- 유물형태와 색채 및 문양전개
- 한지를 활용한 문화상품개발
- 한지를 활용한 조형작업
- 한지와 오브제를 콜라보한 문화상품개발
- 기획 및 마케팅
- 한지를 매제로한 예술치료 등등을 전공하며 전통한지를 매제로 한 소재개발 및 콜라보를 통해 유물 재현 및 현대적인 공예문화상품개발로 기획. 유통 마케팅 등 전통 및 현대적인 문화 컨텐츠를 연구한다.
참여 교수
이유라 | 직급 | 특임교수 | 최종학위 | 문학박사 |
---|---|---|---|---|
전공분야 | 조형미술 | 연구분야 | 한지, 조형 예술학 | |
연구실 | 예술관 307호 | 전화 | 063-220-3058 |
학과 내규
- 한지문화산업학과는 다음과 같이 내규를 정한다.
- - 전국 공모전 참여
- - 전국 축제 부스 참여
- - 한지관련 워크샵 진행
- - 자원봉사
- - 동문전 참여를 원칙으로 한다.
학점 이수 로드맵
구분 | 학기 | 이수 교과목명 | 학점 | 비고 |
---|---|---|---|---|
한지문화산업 전공 | 1학기 | 한지제지사 및 원료학 | 2 | |
한지공예마케팅론 | 2 | |||
한지표현기법 워크샵 1 | 2 | |||
2학기 | 한지표현기법 워크샵 2 | 2 | ||
한지표현기법 워크샵 3 | 2 | |||
한지문화예술론 | 2 | |||
3학기 | 한지공예산업마케팅 | 2 | ||
한지문화상품 디자인론 | 2 | |||
한지캐릭터 산업연구 | 2 | |||
4학기 | 한지색채론 및 문양전개 | 2 | ||
한지표현기법 워크샵 2 | 2 | |||
전통한지공예 워크샵 1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