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기술학과
문화기술학과
- Department of Culture Technology
- 문화기술학석사·문화기술학박사
교육 목표
문화콘텐츠 분야의 연구자, 개발자, 정책실무자들과 함께 전문적인 이론과 응용방법을 연구하여 이 분야의 전문 연구자를 양성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으며, 문화콘텐츠산업의 활성화로 삶의 질을 향상하고, 문화적 소양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산업 리더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전공 및 연구분야
문화기술학과의 세부 전공은 콘텐츠기획, 콘텐츠정책, 콘텐츠개발, 콘텐츠디자인으로 구분하고, 박사과정의 이수 교과목과 학점 수는 연구 분야에 따라 결정되며 입학 후 주임교수와의 면담을 통해 연구 분야를 정한 다음 지도교수를 배정한다. 연구 분야가 특정되더라도 타 연구 분야의 과목을 부전공 과목으로 수강할 수 있다.
참여 교수
성명 | 직급 | 최종학위 | 전공분야 | 연구분야 |
---|---|---|---|---|
한동승 | 교수 | 이학박사 | 컴퓨터그래픽 | CG,VR,콘텐츠기획 |
권수태 | 교수 | 공학박사 | 산업공학 | 데이터마이닝,스마트농업 |
이정현 | 교수 | 경영학학사 | 콘텐츠정책 | 저작권, 콘텐츠정책 |
박경수 | 교수 | 이학박사 | 컴퓨터비전 | 컴퓨터비전, 인공지능 |
이근호 | 교수 | 공학박사 | 디지털미디어 | 미디어기술,디지털방송 |
고선우 | 부교수 | 공학박사 | 산업공학 | 문화기술, 3D 스캐닝 |
권형준 | 부교수 | 예술학석사 | 애니메이션 | 3D, VFX |
조윤숙 | 부교수 | 예술학석사 | 콘텐츠 기획 | 콘텐츠 기획, 카툰 |
강승묵 | 조교수 | 예술학석사 | 가상현실 | AR, VR |
박영성 | 조교수 | 이학석사 | 게임 | 게임엔진, 인공지능 |
민정익 | 조교수 | 공학박사 | 정보통신 | 정보기술, 스마트 팜 |
고기환 | 조교수 | 예술학석사 | 게임그래픽 | 게임그래픽,애니메이션 |
학과 내규
- 입학시험
-
- 전공시험의 범위는 석․박사과정 공히 지원자의 연구분야에서 출제한다.
- 선수과목
-
- 석사과정: 학부 문화융합대학 개설과목 중 주임교수가 지정한 3과목을 이수한다.
- 박사과정: 주임교수는 입학시 학생의 이수과목과 학점을 고려하여 선수과목을 부과하며, 과목명이 아닌 연구분야 별로 이수학점의 수를 정한다.
- 석사과정의 인정학점 중 연구분야와 관련된 학점이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이수학점수를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 논문제출
-
- 지도교수는 입학 후 6개월 이내에 선정한다.
- 석사과정은 전국규모 학술발표 1회 이상, 박사과정은 학회지 논문게제 1회 이상을 수행한 자에게 논문 제출과 공개발표의 기회를 부여한다.
- 공개발표 후 해당 연구분야의 교수회의에서 심사여부를 결정하며 미흡한 경우에는 논문 제출을 연기시킬 수 있다.
학점 이수 로드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