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 HK+연구단
  • 연구성과
  • 연구논문
연구성과 | 학술논문 게시글의 상세 화면
[HK+연구단] 1945~46년 미군의 경기 지역 주둔과 위생 개선을 통한 대민관리
작성일 2022-07-04 조회수 472 작성자 한국고전학연구소
첨부 : 2022.06.15.논문.1945~46년 미군의 경기 지역 주둔과 위생 개선을 통한 대민관리.pdf 파일의 QR Code 2022.06.15.논문.1945~46년 미군의 경기 지역 주둔과 위생 개선을 통한 대민관리.pdf  2022.06.15.논문.1945~46년 미군의 경기 지역 주둔과 위생 개선을 통한 대민관리.pdf ,  
UCI :
DOI :
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4866




국문초록


본 논문은 일제 식민 통치가 한국의 발전과 무관했던 것처럼, 미군정에서 실시한 위생 관리가 효율적 대민관리의 일환으로서 실시된 점에 주목하여, 경기 지역을 사례로 살펴보았다. 본래 위생은 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그 범위 또한 도시, 농촌 등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특히 위생은 인간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로서 이는 점령 주체인 미군정의 안전과도 무관하지 않다. 일제강점기 보건 위생 정책이 식민통치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였다면, 미군정기에는 대민관리 방식의 하나로 위생관리가 활용됐다.

미군정은 효율적 지배를 위해 피지배자에 대한 안전보장을 해주는 즉, 선한 권력의 얼굴을 하고 있지만, 실상은 정치적 포섭을 목적으로 한 통치 행위였다. 일제강점기 위생 관리가 강제성이 반영된 통치 전략이었다면 미군정 하에서는 생명을 겨냥한 안전 메커니즘으로 작동되었다. 서울의 경우 장차 미군정 사령부가 설치될 지역으로 해방 당시 심각한 문제는 거리 곳곳에 쌓인 쓰레기와 시체 및 분뇨 처리 등이었다. 도시 청소는 군정 수립을 위해서는 해야만 하는 최우선적인 문제였다. 경기도는 38선에 인접하고 있어 이북에서 내려오는 인구 이동에 대한 방역과 검역이 우선시된 곳이었다.

해당 지역 사례들을 통해 점령정책이 현지 사정에 따라 변용이 불가피한 것이고 통치 행위는 해당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민감한 사안들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방 직후 급박한 상황에서 최소한의 질서 유지를 위해서는 지역의 문제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진행해야만 하는 전략적 통치 행위가 작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위생 개선 활동은 국가권력만으로는 절대 완성될 수 없는 것으로 일반 민중의 공감과 협조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