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교과소개
바이오기능성식품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 출처: 학사 DB
과목명 | 소개 |
---|---|
일반화학 (General Chemistry) | 화학의 전반적인 개관, 기본원리와 이론 및 학설과 응용분야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원자 및 분자 구조 및 의학, 보건, 생명 및 환경과학과 같은 여러 가지 분야에서의 화학반응의 메카니즘을 이해하여 상급학 과목의 기초가 되게 학습한다. |
건강과학개론 (Introduction to Health Science) |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잘못된 생활 습관과 환경 요인을 과학적으로 측정 분석하고, 웰빙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하여 피부관리, 비만관리, 노인건강관리를 포함한 건강관리의 전반적인 개론을 학습한다. |
일반생물학2 (General Biology II ) | 기초적 생물학 지식을 바탕으로 더욱 자세한 생명체의 기능과 특성을 익히되, 특히 생물학적 실험 또는 세미나나 토론을 통해 공부한다. |
인체생리학 (Human Physiology) | 인체의 각 조직 기관의 정상 기능과 중요기관의 생리작용 즉, 호흡, 소화, 혈액, 순환기, 신경, 감각기관 등의 기능에 대한 개요 및 중요영양소의 생리학적 연구와 체온조절 등을 강의한다 |
과목명 | 소개 |
---|---|
건강기능식품학 (Functional Foods) | 기능성식품에 대한 정의와 시판 기능성 식품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 식품의 성분이나 전 식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한 과학적 자료 등을 공부하여 새로운 기능성식품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본 지식을 다룬다. |
미생물학 (Microbiology) | 미생물의 명명법, 분류, 형태, 생리, 유전, 성장 등의 기본적 지식과 질병과의 관계, 발효, 및 산업적 이용 등의 응용적 지식을 습득케 하며 관련된 실험을 행한다. |
생화학 (Biochemistry) | 생체내 각종 화학 분자들의 이화 및 합성의 반응과 경로, 또한 그 조절의 특징들을 이해하여, 건강에 대한 영양화학적 기초와 식품 개발에 필요한 분자화학적 기초를 다지게 한다. |
식품가공 (Food Processing) | 농.수.축산물의 원료 특성과 가공에 따른 변화, 물성 등의 기본원리를 이해토록 하여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습득시킨다. |
식품미생물학 (Food Microbiology) | 식품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의 특성과 식품 성질과의 관계 등을 습득시키고 이들을 제어하고 이용할 수 있는 지식을 강의한다. |
식품화학 (Food Chemistry) | 식품 구성성분의 구조 및 성질과 이들 성분 간의 반응 등 가공 조작 중 발생하는 화학 변화에 대한 지식을 습득시켜 개발 식품의 조성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한다. |
영양학 (Nutrition) | 인체의 성장과 건강을 유지하는데 관련된 영양소의 기능 및 체내대사를 배우고 이들 영양소의 상호 관계를 검토하며, 호르몬, 효소, 신경 등에 의한 조절 작용 등을 공부하여 건강과 영양대사의 관계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돕는다 |
유기화학 (Organic Chemistry) | 물질을 구성하는 원소와 이들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과목명 | 소개 |
---|---|
기능성식품디자인및실험(캡스톤디자인) (Functional Food Designing and Experiments(Capstone design)) | 증가추세에 있는 성인병과 노인병의 종류별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가진 성분들의 효능을 조서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기능성식품을 기획하는 훈련을 한다. |
발효미생물학및실험 (Fermentation Microbiology and Experiments) | 전통 발효식품과 더불어 요구르트, 치즈 등과 같은 낙농발효식품 등에 관여하는 발효미생물의 특성과 응용방법을 이해하고 기초적인 미생물의 분리, 배양, 보존 방법 등을 실습하고 이를 이용한 발효기술능력을 습득한다. |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 생명체의 생명현상에 필수적인 생체고분자의 이해와 복제, 유전자발현 및 조절 등 기본적인 원리를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 설명한다. |
식품분석및실험 (Food analysis & Experiments) | 식품의 성분을 분석의 방향, 각종 분석기술 이용법, 분석기기 활용법 등을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식품분석 지침이 정하는 내용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는 기술을 익히며 관련된 실험을 행한다. |
식품생명공학 (Food Biotechnology) | 생명현상의 분자생물학적 기본원리를 습득하고 생명체를 이용한 생물기술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특별히 식품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활용될 수 있는 기술과 최신 정보를 습득하고 응용방법을 배운다. |
식품위생법규 (Food hygiene and laws) | 식중독 미생물, 중금속, 환경오염물질, 식품첨가물 등 식품위생상 문제가 되는 항목에 대한 지식과 이들의 검사방법을 강의하여 식품개발에 필요한 식품 안전성에 대한 개념을 주입시키며 식품의 원료, 가공, 공중보건, 환경 등 식품에 관련된 국내외법과 건강기능식품법 등을 이해토록 하여 제품 개발 및 생산에 따른 법적 규제를 알도록 한다. |
유전공학및실험 (Genetic engineering and Experiments) | 유전자 분리, 서열 및 구조와 기능 분석과 원하는 유전자를 조작 변형하는 기술 등을 습득시켜기존의 미생물 제제나 발효식품 종균 등의 개량 및 새로운 재조합체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본실험기술을 배운다. |
과목명 | 소개 |
---|---|
기기분석및실험 (Instrumental Analysis and Experiments) | 분석기기를 사용하여 시료인 물질의 물리적이고 화학적인 특성을 검출하고 측정하는 물리화학적 분석원리와 방법을 이해한다. |
농생명식품실전창업멘터링(캡스톤디자인) (Entrepreneurship practice mentoring for agrobiofoods) | 고부가 식품에 대한 수요에 부합하는 창업전략 강좌 및 실습 |
발효공학 (Fermentation Technology) | 발효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며 발효기에 의해 생성된 균체 및 대사물 등의 발효 산물을 회수하는 방법과 이들을 순수하게 정제하여 제품화하는 방법을 터득케한다. |
식품재료학 (Food materials) | 식물, 미생물 및 동물 등 생물자원에 존재하는 기능성물질의 생합성 과정, 분리, 화학구조 및 생리활성 등을 이해한다. |
식품포장학 (Food Packaging) | 식품의 품질변화와 관계된 식품포장의 중요성과 이에 따른 식품 포장 재료의 종류와 각 재료의 특성을 강의하며, 식품의 특성과 그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포장재질의 선택을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포장의 인쇄 및 포장기계를 소개하며 포장 재료의 시험법을 강의한다. |
인공지능기초와활용 (Artificial intelligence basics and application) | 이 과목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문제해결 기초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임상영양학 (Clinical Nutrition) | 각종 질병의 병태와 영양의 원리를 이해하고 각종 질병에 따른 치료식의 계획 및 운영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
효능안전성검사 (Test of Food Function and Safety) | 식품이 나타내는 각종 건강증진 효과를 탐구하는 기법을 공부하고 이러한 기능성 물질을 분석 탐지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