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기준
공학교육인증(ABEEK) 졸업기준입니다.
졸업 및 인증기준
①「공학교육 전문프로그램 운영규정」 시행세칙 제4조에서 정한 졸업학점을 취득하여야 한다.
②본프로그램에서 설정한 학습성과 별 최소성취기준은 별표 2(학습성과 별 최소성취기준 참조)와 같으며 졸업요건을 만족하려면 최소성취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③수학, 기초과학, 전산학 및 공학응용 등의 지식 보유를 증명하기 위하여 졸업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④전공 관련 기사 1급 자격증이 있는 학생은 전문적 실무지식을 보유하고 있다고 인정한다. 그렇지 않은 학생은 전문적 실무지식을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한 졸업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학습성과 최소성취기준
학습성과(PO) 항목 | 성취도 달성 최소요건 | ||
---|---|---|---|
PO 1 | 지식응용 | 전기전자공학에 필요한 수학, 기초과학 및 공학지식과 이론을 응요할 수 있는 능력 | 대학수학1, 공업수학1, 일반물리및실험1, 전자회로1 이수 |
PO 2 | 분석실험 | 회로도면이나 회로 시뮬레이션, 기술 데이터베이스 등 전기전자공학에 관련된 그림, 숫자 및 문서자료 등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일반물리및실험1, 일반물리실험2, 전기전자실험, 전자회로실험 이수 |
PO 3 | 설계능력 | 요구된 필요조건(사양)에 맞추어 전기전자공학의 요소, 시스템 및 공정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 종학설계 보고서 |
PO 4 | 해결능력 | 현실의 전기전자공학 관련 제반문제들을 풀기위해 이를 공식화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기초설계, 종합설계 이수 |
PO 5 | 실무능력 | 전기전자공학 실무에 필요한 기술, 방법, 첨단 공학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 전기전자실험, 전자회로실험, 전자회로응용실험 이수 |
PO 6 | 팀웍기술 | 복합 학제적 팀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해낼 수 있는 능력 | 종합설계보고서 |
PO 7 | 의사전달 | 전기전자공학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위치를 고려하여 타인에게 효과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 | 전문교양 20학점 |
PO 8 | 평생교육 | 평생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평생 교육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태도 | 전문교양 20학점 |
PO 9 | 이해능력 | 거시적 관점에서 자신이 선택한 공학적 해결 방안이 해당 산업분야 및 사회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폭 넓은 이해를 할 수 있는 능력 |
전문교양 20학점 종합설계보고서 |
PO 10 | 시사지식 | 경제, 경영, 환경, 법률 등 시사적 논점들에 대한 기본 지식 | 전문교양 20학점 |
PO 11 | 공학윤리 | 전기전자공학 엔지니어로서의 직업적, 도덕적 챔임과 윤리의식에 대한 인식 | 전문교양 20학점 |
PO 12 | 국제화 | 세계문화에 대한 이해와 외국어 구사능력의 배양을 통하여 전기전자공학 및 기타 관련 분야의 외국전문가들과 국제적으로 협동할 수 있는 능력 | 전문교양 20학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