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 한국고전학연구소
  • 연구성과
  • 학술논문
연구성과 | 학술논문 게시글의 상세 화면
[HK+연구단] 일제강점하 ‘동지장(同志葬) 문화’의 출현 배경과 성격
작성일 2024-02-26 조회수 47 작성자 한국고전학연구소
첨부 : 20240117.논문.일제강점하 ‘동지장(同志葬) 문화’의 출현 배경과 성격.pdf 파일의 QR Code 20240117.논문.일제강점하 ‘동지장(同志葬) 문화’의 출현 배경과 성격.pdf  20240117.논문.일제강점하 ‘동지장(同志葬) 문화’의 출현 배경과 성격.pdf ,  
UCI :
DOI :
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50990




국문초록


한 인간의 마지막 통과의례인 장례는 ‘남겨진 자들’의 슬픔과 애도라는 감정을 바탕으로 치러지는데, 이는 상호 유대관계의 상실감을 바탕으로 한 남겨진 자들의 ‘윤리적 책임감’이 그 기초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인간의 본성과 관습적 윤리성에 기초한 ‘슬픔’과 ‘애도’의 책무마저 훼손당하는 조건이 계속되는 속에서, 3.1운동 이후 이른바 ‘문화통치’의 시기가 열리면서 새롭게 등장한 용어이자 문화적 형태가 바로 ‘단체장’과 ‘동지장’으로 대표되는 ‘동지장 문화’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동지장’이라는 용어가 출현하게 된 배경과 이것이 하나의 장례문화로 정착되어가는 과정과 양상, 그리고 그 성격 등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했다. 먼저 ‘동지장 문화’가 출현하게 된 배경에 대해 크게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 일제 당국의 ‘공적 애도’ 금지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서, ‘제국 일본’이라는 국가권력에 희생된 수많은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1920년대 중반경 등장했다. 둘째, ‘김윤식 사회장 사건’을 필두로 한 사회장에 대한 비판 여론의 영향으로 ‘애도할 만한 죽음이 무엇인가’라는 ‘애도의 배분’ 문제가 표면화되면서, 민족 사회에 대한 기여도와 더불어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도덕성 등이 중시되었다. 셋째,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로서 장례비용 등의 공적 마련이 요구되었다. 다음으로 일제강점기 신문 기사 등을 통해 드러난 동지장 추진 사례 24건(1927~1936)과 단체장 추진 사례(1925~1932) 29건을 중심으로 그 시기, 지역, 금지 상황, 추진 양상과 성격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동지장이나 단체장과 같은 공적 애도 의식은 일종의 ‘권리를 가질 권리’에 속하는 것으로서, ‘개인적인 무시 경험’이 사회운동으로 나아갈 수 있는, 즉 “집단적 정체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의미론적 다리”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