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교과소개
경기지도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 출처: 학사 DB
과목명 | 소개 |
---|---|
생활과스포츠 (Life and Sports) | 현대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생활 체육을 습득하며 즐길 뿐 아니라 체육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지식을 학습한다. |
스포츠윤리 (Sport Ethic) | 스포츠선수의 윤리성, 스포츠계의윤리의식, 공정성 및 건전성 등 스포츠윤리에 대한 기본 개념과 지식을 습득한다. |
한국체육사 (History of Korea P. E) | 우리나라의 체육의 역사를 시대별로 소개하고, 각 시대와 문화에 따른 체육의 발전모습을 설명함으로써 현재의 체육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진단하도록 함으로서 미래의 체육에 대한 인식과 성찰을 갖도록 한다. |
골프(1) (Golf(1)) | 골프의 특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골프의 기초기술을 배운다. 학습 환경의 여건 상 아이언 샷을 통해 기본적인 그립, 자세, 어드레스, 스윙 방법을 습득하여 다른 클럽의 사용과 기술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며, 골프의 매너, 경기방법, 경기규칙을 이해하여 장래 스스로 골프를 즐기고 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
수상스키 (Waterski) | 수상스키 강이나 바다에서 행할수 있는 스포츠 종목대한 이론및 실기교육과안전교육을 통하여 레저스포츠로서 활용하게 한다. |
스키 (ski) | 동계 스포츠의 대표적인 종목인 스키의 기술을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프르그 보겐, 페러렐, 웨더링 등의 기술들의 지도법을 학습하는 것이 목적이다. |
스포츠개론 (Introduction Sport) | 인간의 신체운동을 전공하는 사람들에게 인간운동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과 이론을 전달한다. |
스포츠리더십 (Sports Leadership) | 스포츠 상황에서 발휘되는 리더십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리더십 유형에 따른 지도법 및 상황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수업의 목적이 있다. |
스포츠분석 (Sports Analysis) | 본 교과목은 영상 분석에 대한 이론 지식을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여러 스포츠 종목에 적용시켜 분석해 봄으로써 경기력 분석 분야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 증진에 기여하고자 개설된 과목이다. |
축구C급과정(1) (C Course of Soccer(1)) | AFC C라이센스 지도에 필요한 축구 기술과 코칭 방법 등을 배우고 실습 한다. |
축구C급과정(2) (C Course of Soccer(2)) | AFC C라이센스 지도에 필요한 축구 기술과 코칭 방법 등을 배우고 실습 한다. |
태권도사 (The history of Taekwondo) | 현대 태권도가 발생할 수 있게 된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고대의 무술의 발생과정을 연구하여 태권도가 우리 고유의 무술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현대 태권도의 발달과정을 고찰하여 우리 전통 태권도사를 정립한다. |
태권도전공실기(1)기초 (Taekwondo Major Sports(1)) | 태권도는 신체의 여러 부위를 사용하여 상대의 아주 작은 목표를 향하여 찌르기, 치기 그리고 차기 기술로 공격하여 상대를 쓰러뜨리거나 그 반대로 상대의 공격을 막기 기술로 막아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태권도는 독립된 여러 가지 기술의 동작이 모여서 이루어지는데 이 독립된 기술의 동작을 태권도의 기본이라 한다. |
태권도전문실기(1)기초 (Taekwondo Practice in Major) | 태권도는 신체의 여러 부위를 사용하여 상대의 아주 작은 목표를 향하여 찌르기, 치기 그리고 차기 기술로 공격하여 상대를 쓰러뜨리거나 그 반대로 상대의 공격을 막기 기술로 막아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태권도는 독립된 여러 가지 기술의 동작이 모여서 이루어지는데 이 독립된 기술의 동작을 태권도의 기본이라 한다. |
해양훈련 (Training Of Maritime) | 강이나 바다에서 행할 수 있는 스포츠 종목대한 이론 및 실기교육과안전교육을 통하여 레저스포츠로서 활용하게 한다. |
과목명 | 소개 |
---|---|
스포츠경영학 (Sports Business) | 인간성 향상과 풍요한 커뮤니티 공간의 창출에 이바지하는 스포츠가 가진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한 관련 자원의 합리적 활용에 관련된 이론을 탐구한다. 즉 스포츠 사업 조직체(학교, 공공기관, 사회체육단체, 스포츠 센터 등)을 하나의 경영체로 보고 그 경영체가 행하는 활동을 경영 활동으로 인식하여 스포츠 사업을 계획, 조직, 통제, 평가하는 일련의 활동을 연구한다. |
체육측정평가 (Measurement Evaluation in P.E) | 본 교과목은 체육측정의 기초를 위한 체육측정의 일반적인 개념 및 변천과정, 체육측정을 위한 조건등을 살펴보고 체육측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영역등을 학습한다. 또한, 현재 이용되고 있는 최신 측정 기자재와 생리, 심리, 기능학을 접목해보고 타분야와의 연계 및 응용의 필요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
축구피지컬트레이닝(1) (Physical Traning for Soccer(1)) | 축구 경기에서 요구되는 피지컬 트레이닝을 이론 및 실습을 통하여 배우고 축구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축구 피지컬 트레이너를 양성 할 수 있는 교과이다. |
건강·체력평가 (Health and Fitness Evaluation) | 임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건강 및 체력 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별 건강 및 체력 상태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스포츠심리학 (Sports Psychology) | 스포츠 장면에서의 인간행동을 분석, 이해하고 예언하며, 통제하는 과학으로서 스포츠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의 원리와 기술을 제공하려는 학문이다. 연구영역은 성격, 동기, 불안 등 개인이 지닌 심리적 요인과 집단응집, 리더십, 사회적 촉진 등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요인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스포츠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구하려 경기력의 극대화를 위한 방법을 탐색하고 개발하는 심리학자로서의 기초적 소양을 제공한다. |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 이 교과목에서는 생물학적 조절체계, 생체에너지학, 운동시 대사작용, 운동중 내분비계의 기능을 말하며 신체운동과 신체, 특히 운동과 스포츠 활동 때의 신체의 작용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
유급자품새 (Primary Poomsae) | 유급자 품새란 공격과 방어의 기술을 규정된 형식(틀, 형)에 맞추어 혼자 수련할 수 있도록 이어 놓은 동작이다. 따라서 품새는 공격과 방어의 기본동작을 연결, 수련함으로써 겨루기 기술향상과 동작응용능력 배양 그리고 기본동작에서는 익힐 수 없는 특수기술의 연마(숙달)를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유급자 품새는 태극 1장부터 태극8장까지가 있다. |
유소년축구실기(1) (Children's Football Practice(1)) | 유소년 축구실기를 통하여 현장에서의 보다 효율적으로 유소년들에게 지도할수 있는방법을 지도함으로써현장에서 학생들의 자신감을 키울수 있다. |
유소년축구실기(2) (Children's Football Practice(2)) | 유소년 축구실기를 통하여 현장에서의 보다 효율적으로 유소년들에게 지도할수 있는방법을 지도함으로써현장에서 학생들의 자신감을 키울수 있다. |
전공영어(1) (Major English(1)) | 국제화시대를 이끌어 가는데 필수가 되어있는 영어를 읽고, 말하고, 듣는 연습을 함으로써 해외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기본적인 회화실력을 갖추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과 시사정보를 넓힐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축구B급과정(1) (B Course of Soccer(1)) | AFC B라이센스 지도에 필요한 축구 기술과 코칭 방법 등을 배우고 실습 한다 |
축구B급과정(2) (B Course of Soccer(2)) | AFC B라이센스 지도에 필요한 축구 기술과 코칭 방법 등을 배우고 실습 한다. |
축구경기규칙(1) (Soccer of rule(1)) | 축구경기의 규칙 및 실전에서의 심판법등을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실기 까지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도한다. |
축구경기규칙(2) (Soccer of rule(2)) | 축구경기에서 오프사이드와 직접, 간접 프리킥 상황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다. |
축구피지컬트레이닝(2) (Physical Training for Scoccer(2)) | 축구 경기에서 요구되는 피지컬 트레이닝을 이론 및 실습을 통하여 배우고 축구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축구 피지컬 트레이너를 양성 할 수 있는 교과이다. |
태권도시범공연 (Taekwondo Demonstration& Performance ) | 태권도의 수련 중 태권도를 대내외적으로 홍보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태권도의 시범에 필요한 기본동작 시범, 품새시범, 겨루기시범, 격파시범, 호신술시범, 프로그램 작성법 등의 이론적인 측면과 전체시범의 실습을 통해 시범능력과 시범지도능력을 기른다. |
태권도전공실기(2)응용 (Taekwondo Major Sports(2)) | 태권도 기본동작의 다음단계로서 단일선제공격, 복합선제공격, 단일역습공격, 복합역습공격유형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공격과 방어기술을 익혀 실전겨루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태권도전문실기(2)응용 (Taekwondo Major Sports(2)) | 태권도 기본동작의 다음단계로서 단일선제공격, 복합선제공격, 단일역습공격, 복합역습공격유형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공격과 방어기술을 익혀 실전겨루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태권체조호신술 (Self-DefenseTaekwonGymnastics) | 다양한 호신 기술의 방법들을 이해하고, 기본 기술 및 응용기술들을 익힌다. 다양한 시범 관련 기술들을 습득하고 기본적인 시범 구성 방법 등을 익히고, 태권도의 기본적인 동작을 음악에 접목시켜 에어로빅 동작으로 구성하는 능력과 실기능력을 배양한다. |
과목명 | 소개 |
---|---|
스포츠마케팅 (Sports marketing) | 여러 스포츠 조직의 내부적 사항, 일반 외부 환경 요인, 소비자 시장 및 행동, 또는 경쟁자에 대한 분석을 하고 마케팅의 전략적 계획과 기반을 조성한다. 시장조사의 기법과 시장의 세분화와 표적 시장의 선정에 대해 연구하고 신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과 시험, 가격, 홍보나 촉진과 유통에 대한 정책수립 그리고 서비스관리 등을 연구함으로써 마케팅의 개념, 마케팅의 역할이나 특징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
스포츠사회학 (Sport Sociology) | 본 교과목은 스포츠 현상 및 제도화된 스포츠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사회제도로서의 스포츠를 이해한다. 또한, 사회참여형태로서의 스포츠를 이해하며, 사회현상으로서의 스포츠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
스포츠와매스미디어 (Sports and the Mass Media) | 스포츠와 밀접하게 연결이 되어있는 매스미디어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언론, 방송, 미디어에 대하여 학습을 함으로써 스포츠 매체의 이해를 돕는다. |
유단자품새 (Black belt Poomsae) | 태권도를 혼자서 수련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태권도의 품새 중에서 유단자 품새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실기를 중점 지도한다. |
골프(2) (Golf(2)) | 골프의 특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골프의 기초기술을 배운다. 학습환경의 여건 상 아이언 샷을 통해 기본적인 그립, 자세, 어드레스, 스윙 방법을 습득하여 다른 클럽의 사용과 기술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며, 골프의 매너, 경기방법, 경기규칙을 이해하여 장래 스스로 골프를 즐기고 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
스포츠경기분석(1) (Analysis in Sport(1)) | 이 교과목은 실제 스포츠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포츠 경기 분석 기법과 실제를 이해하고, 재미있게 스포츠를 관람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
스포츠교육학 (Sport Pedagogy) |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생활의 지식 습관 태도를 변화 시켜 건전한 생활인을 육성시키는데 있다. |
스포츠영양학 (Sport Nutrition) | 각종 식품 속에 함유된 영양소의 종류와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음식의 조리 및 식생활, 건강 유지에 적용하도록 한다. |
스포츠외교론 (Sports Diplomacy) | 세계 각국과의 태권도를 통한 민간 스포츠 외교에 있어서 국가간의 스포츠정보교환 및 이해관계 등에 대해 살펴본다. |
운동상해 (Exercise Injury) | 스포츠 손상을 비롯한 근골격계질환의 의학적 진단을 이해하고 손상기전을 운동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초기 응급처치 및 손상의 예후, 재활운동을 계획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
웨이트트레이닝 (Weight Training) |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습득과 실기를 통해 근력을 증강시키며 생리학적 바탕위에 근육의 구조이해와 발달과정의 훈련방법을 습득한다. |
재활운동방법론(1)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ology(1)) | 재활운동에서 요구되는 역량과 운동처방을 위한 기본적인 이론 및 실습 교과 |
재활운동방법론(2)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ology(2)) | 재활운동에서 요구되는 역량과 운동처방을 위한 기본적인 이론 및 실습 교과 |
전공영어(2) (Taekwondo major english(2)) | 국제화 시대를 이끌어 가는데 필수가 되어있는 영어를 읽고, 말하고, 듣는 연습을 함으로써 해외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기본적인 회화실력을 갖추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과 시사정보를 넓힐 수 있는 기회를 가질수 있도록 한다. |
축구A급과정(1) (A Course of Soccer(1)) | AFC B라이센스 지도에 필요한 축구 기술과 코칭 방법 등을 배우고 실습한다. |
축구A급과정(2) (A Course of Soccer(2)) | AFC B라이센스 지도에 필요한 축구 기술과 코칭 방법 등을 배우고 실습한다. |
축구전술과분석 (Strategy and Analysis in Soccer) | 개인, 그룹, 팀 등 전술을 세부적으로 배우고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태권도전공실기(3)실전 (Taekwondo Practice in Major(3)) | 태권도는 신체의 여러 부위를 사용하여 상대의 아주 작은 목표를 향하여 찌르기, 치기 그리고 차기 기술로 공격하여 상대를 쓰러뜨리거나 그 반대로 상대의 공격을 막기 기술로 막아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태권도는 독립된 여러 가지 기술의 동작이 모여서 이루어지는데 이 독립된 기술의 동작을 태권도의 기본이라 한다. |
태권도전문실기(3)실전 (Taekwondo Practice in Major(3)) | 태권도가 세계적으로 가장 뛰어난 무도로서 인정받는데 가장 커다란 공헌을 한 태권도 겨루기의 이론적인 측면 즉 신체적인 면, 정신적인 면, 기술적인 면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특히 스텝전법 등을 다루어 학생들의 겨루기 능력을 배양하여 우수한 지도자로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
과목명 | 소개 |
---|---|
도장경영론 (sport Management) | 스포츠 경영론 이 과목의 기본목적은 기초적인 경영지식과 개념, 지침들을 다루며, 이러한 지식과 정보들은 체육분야의 성공적인 전문 경영인이 되기 위한 전공인에게 도움과 지침이 되도록 한다. |
스포츠경기분석(2) (Analysis in Sport(2)) | 이 교과목은 현대 사회의 요구와 실정에 맞춰 끊임없이 열리는 스포츠 경기를 일반적인 관점에서부터 세밀한 관점까지 이해하고, 올바를 관람 지식과 전문적이며 객관적인 분석적 시각을 배양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다룬다. |
스포츠산업론 (Sport Industry Theory) | 스포츠 산업론 교과목은 거대해진 스포츠와 산업이라는 주제로 스포츠와 산업이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스포츠와 산업에 관련된 다양한 사회현상과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
스포츠조직관리 (Administration of Sport Organization) | 조직의 개념을 이해하고, 조직의 유형을 분석하여, 조직의 관리에 필요한 조직계층과 기능을 배운다. 또한 조직내의 동기부여와 리더십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에 관련해 스포츠 집단의 특성을 이해하며, 그와 관련한 인간관계 관리를 배움으로써 체육 전공자의 체육집단의 운영 및 경영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전공세미나 (major semina) | 태권도전공 각 분야에 대한 연구실적을 고찰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태권도의 학술연구 방법에 대한 기초를 배양한다. |
축구실무실습Ⅰ (soccer practical practiceⅠ) | 전공관련 현장에서의 다양한 실습을 통해 축구의 실무와 현장 감각의 폭 넓은 이해를 도모 할 수 있다. |
축구실무실습Ⅱ (soccer practical practiceⅡ) | 전공관련 현장에서의 다양한 실습을 통해 축구의 실무와 현장 감각의 폭 넓은 이해를 도모 할 수 있다. |
태권도심판론 (Taekwondo Judgment Theory) | 세계태권도연맹 및 대한태권도협회가 주최, 주관하는 모든 대회를 통일된 규칙으로 심판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태권도심판법 (Taekwondo Judgment Law) | 태권도 경기의 규칙을 이해, 숙지케하고 심판의 자질 및 경기운영 능력을 체득하도록 교육한다. |
태권도전공실기(4)종합 (Taekwondo Practice in Major(4)) | 태권도는 신체의 여러 부위를 사용하여 상대의 아주 작은 목표를 향하여 찌르기, 치기 그리고 차기 기술로 공격하여 상대를 쓰러뜨리거나 그 반대로 상대의 공격을 막기 기술로 막아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태권도는 독립된 여러 가지 기술의 동작이 모여서 이루어지는데 이 독립된 기술의 동작을 태권도의 기본이라 한다. |
태권도전문실기Ⅳ실무실습 (Taekwondo Professional Practical Practice (Ⅳ)) | 태권도는 신체의 여러 부위를 사용하여 상대의 아주 작은 목표를 향하여 찌르기, 치기 그리고 차기 기술로 공격하여 상대를 쓰러뜨리거나 그 반대로 상대의 공격을 막기 기술로 막아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태권도는 독립된 여러 가지 기술의 동작이 모여서 이루어지는데 이 독립된 기술의 동작을 태권도의 기본이라 한다. |
트레이닝론 (Training Theory) | 트레이닝의 생리적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이에 기반하여 선수들에게 최상의 경기력 발휘를 할 수 있는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한다. |
풋살 (Futsal) | 풋살 1,2 라이센스 지도에 필요한 풋살 기술과 코칭 방법등을 배우고 실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