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탄소나소신소재공학과를 소개합니다.
설립연도 | 2005년 | 수여학위 | 공학사 (Bachelor of Engineering) | 재학생 비율 | 남: 91.2% / 여: 8.8% (2022년 1학년 재학생 기준) |
|
---|---|---|---|---|---|---|
학과 인재상 | 탄소산업 및 나노소재산업의 창의적 전문가 | 전공 능력 |
|
우리 학과만의 강점
-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통한 장학금 혜택 및 해외연수 등의 다양한 경험 제공
- 지역 핵심 육성 산업군에 특화되어 있으며, 지역 내 연구소, 산업체들과의 밀접한 컨소시엄을 형성
- 30억 규모의 분석 인프라 구축사업을 통해, 첨단 분석 장비를 사용한 실습 경험을 제공
- 학부생 연구원 제도를 통해, 연구직과 관련된 실무를 미리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학과와 어울리는 적성
- 자연과학적 혹은 문화적 현상들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것을 즐기는 탐구심 있는 학생
- 물질, 사물, 기계, 전기 및 기술적인 능력들을 획득하는 데 재미를 느끼는 학생
- 새로운 제품 개발이나 상용화된 기존 제품의 보완 등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에 관심이 많은 학생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과목 중 대학에서 배우는 과목을 이수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과목
- 물리Ⅰ, 물리Ⅱ, 화학Ⅰ, 화학Ⅱ
-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 국어, 영어
이수 교육 과정
교육 과정 이수 기준(2022학년도 교육과정 편람 기준)
구분 | 채플 | 교양필수 | 전공 | 졸업학점 | ||||
---|---|---|---|---|---|---|---|---|
기초 | 전필 | 전선 | 심화 | 계 | ||||
이수 기준 | 2 | 29 | 6 | 18 | 18 | 24 | 66 | 130 |
개설강좌
학년 | 전공필수 과목 | 전공선택 과목 |
---|---|---|
1학년 | 일반물리및실험(1), 일반화학및실험(1), 일반화학및실험(2) | 기초나노학, 일반물리및실험(2) |
2학년 | 물리화학및실험(1), 소재공학개론 | 공업수학(3), 기초소재과학, 나노환경분석화학, 물리화학및실험(2), 양자물리학, 응용나노과학 |
3학년 | 소재과학과창업 | 공업유기화학, 소재공학응용, 전자소재개론, 탄소기술동향세미나(1), 탄소학개론, 고분자공학, 탄소기술동향세미나(2), 탄소섬유개론, 탄소소재화학및실험 |
4학년 | - | 나노탄소학(1), 복합재료특론, 재료열역학, 탄소기술동향세미나(3), 탄소소재의합성및응용, 나노 탄소학(2), 소재공학특론, 응용재료역학, 캡스톤디자인 |
진로방향(취업)
진출 분야 | 직무 | 전공 관련 주요 자격증 및 시험 | 졸업생 취업처 |
---|---|---|---|
탄소소재 관련 기업 | 탄소소재의 제조 및 개발 | 화공산업기사, 탄소제품제조기사 | 데크항공 |
나노소재 관련 기업 | 나노소재의 제조 및 개발 | 화공산업기사, 화학분석기사 | 일진복합소재, 정석케미칼 |
정부 출연 연구소 | 소재관련 기초 및 응용연구 | 별도의 요구 자격증 없음 | KIST, 한국탄소진흥원 |
분석 기기 및 관련 연구소 | 소재의 특성 분석 및 평가 | 화학분석기사 | Parksystems |
학과 내 운영 특별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 내용 | 대상 학년 |
---|---|---|
전라북도 탄소인력양성사업 | 탄소 관련 전문가 육성 및 기업 매칭 | 3~4학년 |
스마트시티 커플링사업 | 스마트시티 관련 전문가 육성 및 기업 매칭 | 3~4학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