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교과소개
환경안전생명과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 출처: 학사 DB
과목명 | 소개 |
---|---|
대학수학 (Calculus) | 본 과목은 수학교육전공 뿐만 아니라 이공계 및 경상계에서도 기본적으로 학습하여야만 전공분야를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과목이다. 학습내용은 극한과 연속, 도함수와 그 응용. 정적분. 지수함수, 로그함수, 초월함수, 적분의 기교, 적분의 응용, 수열과 급수 등이다. |
일반화학Ⅰ (General ChemistryⅠ) | 화학의 전반적인 개관, 기본원리와 이론 및 학설과 응용분야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원자 및 분자 구조를 이해하여 상급학 과목의 기초가 되게 학습한다. |
일반생물학Ⅱ (General Biology(Ⅱ)) | 일반생물학의 고급 단계로써 동물의 구조와 기능, 식물의 구조 및 조절에 대해 심도있는 지식을 습득하며, 생물과 환경이 연결된 진화와 생태학의 개념과 원리를 학습한다. |
일반화학Ⅱ (General ChemistryⅡ) | 일반화학의 고급 단계로서 화합물의 화학 결합력과 고체와 액체의 물리적 특성, 산-염기 평형 및 용해도 평형, 산화-환원 반응과 전기화학, 열역학, 유기화학 및 핵화학 등을 배움으로써 환경, 식품, 의료, 보건 계통의 응용 분야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과 원리를 배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과목명 | 소개 |
---|---|
공정양론 (Basic Calculation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Biotechnology) | 단위환산을 바탕으로 물질수지 및 에너지 수지의 기초를 다루어 공정계산에 필요한 지식의 체계를 바탕으로 문제를 종합적, 논리적으로 연산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 환경물질의 작용과 그 과정의 진행, 이러한 작용들과 연관된 현상을 공정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연속적인 정상상태의 작업과정에서 물질과 에너지간의 균형원리를 측정한다. |
분석화학Ⅰ (Analytical ChemistryⅠ) | 환경, 보건, 이학, 공학 등에서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화학적 성분의 함량을 확인하는 기초과학의 한 분야이다. 이를 위해 통계적 분석방법, 몰농도, 몰수, 부피변화, 농도계산 및 화학양론, 부피분석을 위한 산 염기론, 산 염기 적정, 완충용액의 제조, 산화 환원 적정 이론 등을 공부한다. |
물리화학 (Physical Chemistry) | 열역학, 미시적인 세계인 원자 및 분자들의 구조와 에너지에 대한 결과 이해, 양자화학과 통계역학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등을 균형 있게 습득하며, 이를 이용한 분광학적 적용 방법 및 이해와 통계 열역학적 기본 개념을 학습한다. |
미생물학 (Microbiology) | 미생물의 종류 및 특성을 이해하고, 미생물이 환경에 미치는 생화학 반응을 이해한다. 이 과정은 환경 과학과 공학에 미치는 미생물의 생화학적 작용의 포괄적인 개관을 제공한다. 유기 화학과 생화학, 생화학적 이화, 동화 작용, 세포 구조, 미생물과 효소 역학, 분자 생물학, 원핵생물의 다양성에 대한 요약이 포함되어있다. |
미생물학실험 (Microbiology Experiment) | 미생물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환경 분야의 미생물 적용의 기초를 마련한다. |
분석화학Ⅱ (Analytical chemistry(Ⅱ)) | 심화있는 환경,보건,이학,공학 등에서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화학적 성분의 함량을 확인하는 기초과학의 한 분야이다. 이를 위해 통계적 분석방법, 몰농도, 몰수, 부피변화, 농도계산 및 화학양론, 부피분석을 위한 산 염기론, 산 염기 적정 등을 공부한다. |
분석화학실험 (Analytical chemistry Experiment) | 분석화학의 기초 이론을 공부하면서 이의 이론을 환경, 보건, 공학, 이학 등 분야의 실제시료에 적용하여 현장 감각을 증진시켜 실무적응 능력을 배양한다. |
생화학 (Biochemistry) | 생체 내 각종 화학 분자들의 이화 및 합성의 반응과 경로, 또한 그 조절의 특징들을 이해하여, 환경에 대한 생명화학적 기초와 생명 및 환경 개발에 필요한 분자화학적 기초를 다지게 한다. |
유기화학 (Organic Chemistry) | 환경을 오염시키는 유기화합물의 종류는 대단히 많을 뿐만아니라 오염물질이 환경내에 존재하면서 다른 새로운 물질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유기물질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무해한 물질로 변환시키기 위하여는 유기물질에 대한 반응기구를 강의한다. 따라서 유기물질의 명명법과 반응기구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하여 수질, 대기, 폐기물 및 독성학과 관련된 환경문제를 학습한다. |
과목명 | 소개 |
---|---|
대기오염관리Ⅰ (Air Pollution ManagementⅠ) | 대기오염의 종류와 그 영향 그리고 그 관리 방법에 대해 공부한다. |
대기오염관리Ⅱ (Air Pollution ManagementⅡ) | 대기오염의 종류와 그 영향 그리고 그 관리 방법에 대해 공부한다. |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 디엔에이(DNA)의 구조와 특성을 바탕으로 학습하고 생명을 형성하고 생명을 조절하는 분자 수준에서 생물을 학습한다. |
분자생물학실험 (Molecular biology Laboratory) | 유전자의 구조, 발현 및 복제 기작을 분자 수준에서 학습하며, PCR을 통한 유전자 증폭, 플라스미드 분리, 유전자의 확인 등을 실험을 통해 학습한다. |
생물통계학 (Biostatistics) | 본 과목은 연구, 환경과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조사 및 정책 결정, 실험 등에서 중요한 확률 이론과 통계 응용 분야를 공부한다. |
수질관리Ⅰ (Water Quality ManagementⅠ) | 수환경의 중요성을 소개하고 각 수역의 수질보전 방법들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물의 성상, 중요성 및 수질오염문제를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는 개론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수질환경문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수질관리Ⅱ (Water Quality ManagementⅡ) | 수질 오염원, 수질오염 부하량 산정, 물리·화학·생물학적 작용을 이해하고 호소의 오염 현황 및 부영양화 예측기법, 하천의 오염 및 자정작용과 모델에 의한 하천관리, 토양오염, 열오염 등에 대하여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학적 방법 및 계획법에 대하여 다룬다. |
유전학 (Genetics) | 본 과목은 유전학의 역사, 유전법칙의 기본 이론, 염색체의 구조, 돌연변이와 그 이용, 그리고 유전자 재조합에 대해 학습한다. |
토양학 (Soil Science) | 우리의 환경에서 토양이 차지하는 위치, 토양 안에서 일어나는 이화학적, 생물학적 과정을 학습하고, 이러한 기초지식들을 바탕으로 토양뿐만 아니라 생물권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수자원과 대기 관리에서 응용할 수 있는 측면을 살펴본다. |
환경실험 (Environmental Experiment) | 환경 실험으로는 물 환경 중 COD, BOD, 총 질소, 총인, 암모니아성 질소, 인산염 정량, 철정량, TOC 등을 실험하며, 보건 실험으로는 수은, 크롬, 비소, 페놀류 등을 실험한다. |
과목명 | 소개 |
---|---|
상하수도 (Water and Sewerage Treatment) | 물의 특성, 공중위생, 각종 상하수 처리 방법, 배수 및 급수 시설을 배우고 익힌다. |
생물공정학 (Bioprocess Engineering) | 유전자재조합 세포, 식물 및 동물세포 배양, 고정화 생촉매 및 전통적인 발효계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공정의 응용을 다룬다. |
생태학 (Ecology) | 생태학은 생명과학의 한 과목으로 생물 및 그들의 상호 관계와 물리적 환경 즉, 군계 와 이의 생태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태계란 유기체뿐만 아니라 환경이라 부르는 물리적 요소 모두를 포함하고 있는 계로서 지표의 성질을 나타내는 기본 단위로 숲, 초지, 호수, 바다 및 전 지구가 한 생태계들인 것이다. |
위생학 (Hygienics) | 질병 예방, 건강 유지·증진, 수명 연장 등을 위한 자연과학적·사회과학적 원리를 이해하며 그 원리를 실제로 적용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
폐기물관리 (Solid Waste Management ) | 폐기물의 종류와 이동 그리고 처리방법에 대하여 실험을 함으로 인해 그것의 결과로 서로 토의하고 학습한다. |
환경기기분석및공정시험법 (Instrumental Analysis And Standard Methods) | 본 과목은 다양한 형태의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환경오염물질을 정량하는 방법 및 환경분야의 시험방법 등을 공부한다. 분석기계는 크게 분광학적 방법, 전기화학적 방법, 표면분석법 및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분석 장비의 분석원리, 구성 및 검출기 종류 및 검출원리 등을 배우고 실습을 통하여 기기 운용법 및 시험방법 등을 익힌다. |
환경산업공학 (Environmental Industrial Engineering) | 본 교과목은 실제 산업체에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는 최신 환경산업 기술인 초순수 생산, 정수처리, 폐수처리, 배기처리, 폐기물 처리, 원격제어 기술 등에 대해 배우고 익힌다. |
효소및발효공학 (Enzyme and Fermentation Biotechnology) | 효소의 메커니즘 및 산업적 응용, 발효미생물, 발효공정 방법 등에 대해 익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