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교과소개
농식품경영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 출처: 학사 DB
과목명 | 소개 |
---|---|
논리적문제해결(1) (Logical problem solving(1)) |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고의 방법들을 익히고,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능력을 고양한다. |
논리적문제해결(2) (Logical problem solving(2)) |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고의 방법들을 익히고,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능력을 고양한다. |
과목명 | 소개 |
---|---|
농식품경영 (Agri-food management) | 기업이라는 조직이 지속해서 성장하기 위한 활동의 속성인 마케팅, 재무, 생산, 인적자원관리, 경영정보, 회계 등 농식품 경영에 필요한 다양한 분야의 전개 방향을 학습한다. |
농식품미디어상품학Ⅰ (Agri-food media commoditiesⅠ) | 농식품 상품화 관련 사진 및 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교육 |
농업기계와자동화 (Agricultural Machinery and Automation) | 벼농사와 밭농사에서 많이 사용되는 경운·정지기, 이앙기, 파종기, 정식기, 방제기, 양수기, 제초기, 수확기, 콤바인, 운반기 등의 작동원리와 특성, 농기계의 자동화 원리, 농기계의 합리적인 선정방법과 경제성 분석 등을 학습함. |
미래의농업 (Future Agriculture) | 농업은 산업의 기초이었으나 경제·사회·기술적 변화에 따라 농업의 영역과 역할이 확대·변화하고 있음. 이 과목에서는 세계와 우리나라 농업의 발전과정 리뷰, 현대 농업, 4차 산업혁명시대의 농생명-ICT 융합농업 및 미래의 농업에 대해 학습함. |
스마트팜입문 (Introduction of Smart Agriculture) | 스마트농업은 농업기술에 ICT를 융합시켜 농업의 편이성과 생산성을 높인 신개념 농업임. 스마트농업의 주요 구성요소, 즉 수경재배시설, 센서 및 제어기의 기초 원리에 대해 학습함. |
원예미학 (Aesthetic horticulture) | 벼, 보리, 밀, 콩 등 주요 식량작물의 기원, 품종과 육종의 기초, 식물의 기본구조, 물질대사 및 생장생리, 식물의 재배환경(토양, 물, 온도, 광 등), 재배관리기술(이앙, 시비, 잡초 제거, 병해충 방제, 수확)에 대한 이론을 학습함. |
조리과학 (Culinary science) | 이 과목에서는 다양한 식품가공을 위한 기초적인 식품가공 공정과 제조방법에 대해 학습함. 주요 내용은 식품가공에 대한 이해, 식품가공 및 저장의 기본 공정, 곡류·두류의 가공, 과일·채소류 가공, 축산가공에 대해 학습함. |
조리실무실습 (Cooking practice) | 기본적인 기초이론과 조리실습을 통하여 식재료, 조리기구, 조리법 등에 대하여 학습하고 조리실무기술과 능력을 배양한다. |
친환경정밀농업 (Precision Agriculture) | 정밀농업 또는 환경보존농업에 대한 개념, 구성요소, 국내외 적용사례 및 효과에 대해 이해함. 이 과목에서는 “작물의 관찰 → 처방 → 농작업 → 결과분석”에 관여되는 센서기술, 정보처리기술, 작업기제어기술, 위치정보(GPS)에 대해 학습함. |
과목명 | 소개 |
---|---|
식음료관리론 (Food and beverage management) | 식음료 사업의 경향과 발전 전반에 대하여 학습하며, 여러 가지 식음료 실무에 대한 전문지식을 통해 농식품 6차산업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한다. |
농생명성공사례연구 (Agricultural life case study) | 국내외 농생명산업 비즈니스모델의 성공과 실패요인을 분석하고, 이들 결과를 토대로 국내 농업현실에 맞는 비즈니스 사업모델을 도출함을 목표로 함. 또한 다양한 분야의 성공한 CEO를 초청하여 특강을 병행함. |
농식품데이터분석론 (Agricultural Food Data Analysis) | 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위한 기본 이론 및 실습 |
농식품디저트실습Ⅰ (Agri-food Dessert PracticeⅠ) | 디저트에 대한 이론과 기본과정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제조방법 및 기술을 실습을 통해 습득한다. |
농식품미디어상품학Ⅱ (Agri-food Media CommoditiedsⅡ) | 온라인 플랫폼 기반을 활용한 농식품의 상품화 |
농식품유통관리론 (Agri-food distribution management theory) | 이 과목에서는 농축산물의 품질 유지, 부가가치 및 안전성 증대에 필요한 선별·세척·포장 등 전처리 기술, 예냉기술, 저장기술, 건조기술, 세척기술, 살균기술, 품질 및 안전성 평가기술의 기본원리를 학습함. 또한 학습내용을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
농식품창업리빙랩 (Agricultural food start-up Living Lab.) | 창업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목으로서, 사업분야의 선정, 사업타당성 분석, 사업계획서 작성, 전반적인 경영관리, 창업자금 조달방안, 그리고 창업지원프로그램 등을 연구함으로써 창업 실무역량을 높여가는 것을 목표로 함. |
스마트팜리빙랩 (Living Lab on Smart Agriculture) | 온실과 축사의 환경제어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응용력을 높이고자함. 작물 또는 가축의 환경 계측, 온도·습도제어, 앵액 또는 사료의 공급제어, 냉난방, 환기, 데이터 수집, 구동 프로그램에 대해 학습함. 또한 선진 농업시설의 방문·현장학습을 병행함. |
식품위생학 (Food hygiene) | 농식품의 생산, 제조로부터 최종적으로 인간이 섭취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에 대한 안전한 식품 경로를 학습하고 관련 법규에 대하여 학습함 |
인공지능기초와활용 (basis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 AI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문제 해결 기초 능력 배양 |
과목명 | 소개 |
---|---|
농생명프로젝트Ⅰ (Agricultural Life ProjectⅠ) | 농생명의 다양한 지식을 기반으로 산업화 또는 상업화 할 수 있는 아이템을 발굴하고 상품화 할 수 있는 것을 학습한다. |
농생명프로젝트Ⅱ (Agricultural Life ProjectⅡ) | 농생명 프로젝트 I을 기반으로 좀 더 구체적인 농식품 상품화의 설계 및 구체적인 사업화를 학습한다. |
농식품프레젠테이션실무론 (Agricultural Food Presentation Practice) | 기획 역량 향상을 위한 엑셀과 프레젠테이션 이론 및 실습 |
드론학개론 (Introduction to Drone Science) | 현대의 농업에 있어서 드론의 역할이 중요하게 자리하는 만큼 실무적인 드론학습을 통하여 국가자격인 초경량비행장치 조정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학습한다. |
세계전통식품실무실습Ⅰ (World traditional food practical trainingⅠ) | 각국을 대표하는 전통 식품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통해서 세계전통식품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함께 기본적인 기술을 학습한다. |
세계전통식품실무실습Ⅱ (World traditional food practical trainingⅡ) | 각국을 대표하는 전통 식품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통해서 세계전통식품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함께 기본적인 기술을 학습한다. |
식물재배학 (Plant cultivation) | 식물 재배 이론과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