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대학교

JEONJU UNIVERSITY DEPT. OF HISTORY AND HISTORICAL CONTENT

전주대학교 역사콘텐츠학과

전공교과소개

역사콘텐츠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 출처: 학사 DB

과목명 소개
역사문화와인문학Ⅰ (History·Culture and HumanitiesⅠ) 현재 인문학연구의 주요대상은 문학과 역사와 철학이지만, 이와 더불어 현대사회에서 중요성이 커져가는 종교와 심리학 등도 인문학 탐구의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역사문화와 인문학 과목은 각 분야의 학문적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그 학문마다의 기초적 지식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동시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인문학 연구의 의의와 그 효용성, 그리고 대학에서의 공부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인문학에 대한 애정과 자긍심, 그리고 대학생활 4년에 대한 포부를 갖도록 한다.
역사문화와인문학Ⅱ (History·Culture and HumanitiesⅡ) 역사문화와 인문학Ⅰ을 통해 인문학의 전반적인 지식을 체득한 후, 좀 더 전문화한 인문학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전공 영역의 기초를 다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공 영역에 해당하는 한국사, 동양사, 세계사, 문화사, 생활사, 지역사 등 다양한 영역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수강생의 인문학에 대한 영역을 확장함은 물론 전공 선택을 돕도록 한다.
문화유적탐방(2) (Exploring relics of culture) 국내 역사문화유적을 답사하면서 역사학도로서의 안목을 넓히고 우리 역사문화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의 지평을 확대한다.
지역학과지역사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Honam region) 지역학 전반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함께 지역사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해당 지역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방법론을 학습한다. 특히 호남지역과 관련된 문헌자료를 선택하여 역사 속 호남지역을 조명한다. 지역사 학습을 통해 지역의 역사문화자산 학습능력을 배양하고 한국사 인식의 폭을 넓히도록 한다.
호남지역의역사와문화 (History and culture of Honam region) 호남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 연구, 응용을 위한 기본 수업이다. 호남지역 관련 문헌학적 기초지식과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사의 전개 과정에서 호남지역의 역사문화적 위상과 성격을 고찰한다.

과목명 소개
문화콘텐츠기획및발상법 (Cultural Content Planning and Ideation Method) 문화콘텐츠 분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능력이 요구된다. 인문학을 전공하면서 문화콘콘텐츠 분야로 나가기 위해 콘텐츠에 대한 기획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소재를 조사하고 찾아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기본 능력을 학습한다. 기획 및 발상법에는 기획서 작성 및 표현법과 콘텐츠 성공 여부가 달린 아이디어를 어떻게 제시 개발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박물관학개론 (Introduction to Museology) 박물관의 정의, 박물관의 유형, 박물관의 특성과 역할, 박물관의 형성과 발전, 박물관 조직과 인력, 소장품 관리, 전시기획, 박물관 교육, 박물관 마케팅, 박물관 법규 및 사례, 전시의 정의와 구성요소, 전시환경과 전시매체, 전시의 종류와 분류, 전시의 기획과 진행과정 등 박물관의 전반적인 개요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박물관의 현장 답사를 통하여 박물관의 성격, 내부의 전시상황을 연구할 수 있도록 한다.
고고학탐구 (Research of Archaeology) 우리 선조들이 남긴 유물과 유구를 가지고 역사를 밝히는 방법을 강의한다. 특히 문자가 없던 선사시대의 연구는 고고학 방법론과 유적조사를 통하여 그 실체를 밝힐 수 있도록 한다. 근래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유적조사에 대비하여 이론은 물론 유적현장에 바로 적응할 수 있도록 실전 능력을 교육한다.
문화유적탐방(3) (Exploring relics of culture (3)) 국내 역사문화유적을 답사하면서 역사학도로서의 안목을 넓히고 우리 역사문화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의 지평을 확대한다.
문화유적탐방(4) (Exploring relics of culture (4)) 국내 역사문화유적을 답사하면서 역사학도로서의 안목을 넓히고 우리 역사문화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의 지평을 확대한다.
비교문화메타버스콘텐츠탐구 (Comparative cultural metabus content exploration ) 서로 다른 문화를 비교하여 문화적 차이가 발생되어진 원인과 사례를 조사한다. 각 문화의 고유한 특질을 살펴보고, 인류의 보편적인 문화 현상과 공유 가치를 분석한다.
서양현대사 (Contemporary History of the West) 시민혁명 이후 양차 대전을 거쳐 사회주의를 비롯해 수많은 장애를 극복하면서 성장해온 자본제와 자유주의에 초점을 두고서 현대 서구문명을 비판적으로 이해한다. 이로써 미래 인류의 역사발전을 위한 새로운 비전을 모색해 본다.
역사와스토리텔링 (History and Storytelling) 우리 역사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소재를 기반으로 문화콘텐츠 소재가 되는 스토리텔링 개발을 목표로 개설된 강좌이다. 수강생과 사전 협의를 통해 대상 역사 소재를 선택하고, 각자 팀을 이루어 해당 소재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여 공개 발표하는 형식으로 강좌를 운영한다. 이 강좌를 수강하기 전에 ‘역사콘텐츠 탐색’ 강의를 먼저 이수해 한국문화에 나타난 역사콘텐츠 현황을 파악함으로서, 역사 스토리텔링 개발의 기본 소양을 갖출 것을 권장한다.
역사콘텐츠탐색 (Exploring Historical Contents) 문학, 방송 그리고 연극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에서 역사 소재는 여러 가지 기법으로 활용되어왔다. 본 교과목은 기존 여러 장르에서 활용된 역사콘텐츠를 탐색하여, 역사문화콘텐츠 전문가로서의 기초 소양 배양을 목표로 한다. 수강생이 각자 팀을 이루어 관심 있는 영역을 선택하고, 해당 장르의 역사 콘텐츠 활용 실태를 조사 정리하여 이를 발표하는 형식으로 강좌를 진행한다.
역사학개론 (Introduction to the Historiography) 역사연구에 있어서 기초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역사인식론 및 역사연구의 방법론이 기존의 역사학계에서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를 고찰함으로써, 역사를 연구함에 있어 보다 신중하고 비판적이며 창의적인 태도를 갖도록 한다.
지역문화콘텐츠기획실습 (Planning and Practice of Local Cultural Content) 지역의 역사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콘텐츠를 기획하는 방법을 이론 학습과 실습을 통해 습득한다. 지역문화콘텐츠의 개발 사례를 탐구하고, 지역의 역사 문화자원의 특징을 도출하여, 그 특징에 맞는 콘텐츠 개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콘텐츠 개발 기획서를 작성한다. 교과목 학습을 위해서는 문화콘텐츠 기획 및 방법을 먼저 수강할 필요가 있으며, 문화콘텐츠에 대한 일반적인 고민과 이해 노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한국고대사 (The Ancient times in Korean History ) 고조선부터 삼국시대에 걸친 한국 문화의 발생과 발전의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문화의 원류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게 한다.
한국중근세사 (Medieval and mordern history of Korea) 고려시대에서 근대화 이전까지의 역사적인 흐름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전개과정을 공부하며, 역사적 의의를 되짚어 본다.

과목명 소개
기록사료학개론 (Introduction to Archives & Historical Material) 기록(Archives)는 ‘영구히 보존할 가치가 있는 기록’을 의미하며, 사료(Historical Material)는 역사 탐구 및 연구의 자료가 되는 일련의 대상을 말한다. 둘은 개념적으로 겹치기도 하고, 별도의 방법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당대사를 포함한 역사 남기기-전하기-이야기하기의 기초가 되므로, 그 개념, 범주, 대상, 활용을 이해하고,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 수집,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문화유산실감형콘텐츠기획실습(캡스톤디자인) (Planning and Practice of Immersive Contents of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실감형콘텐츠를 기획하는 실습교과목이다. 문화유산 활용 실감형 콘텐츠는 박물관, 축제, 테마파크 등에 폭 넓게 활용되는 콘텐츠 분야로 메타버스 시대에 요구되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실감형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스토리 기획 및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관련 시작자료 등의 조사 및 설명 등을 포함하는 기획서를 직접 작성하는 수업이다.
동아시아근세사 (Early Modern History of East Asia)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사의 역사적 특징을 이해한다.
동양고전탐구 (Exploring the Classics of the East) 동양고전문헌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하고 이해한다. 동양고전 및 문헌연구에 필수적인 공구서(工具書) 및 국내외 관련 사이트 DB에 대한 소개한다. 유교경전을 비롯한 여러 고전의 내용을 선별해 탐구함으로써 동양고전의 사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문화재조사방법및실습 (Research of cultural property) 다양한 문화재를 직접 조사하는 방법을 배운다. 문화재의 유형을 이해하고, 각 유형별로 구별되는 조사 방법을 익힌다. 직접 문화재를 찾아 조사· 정리하는 실습을 병행하는 수업이다.
역사교과교육론 (Instructional Theories of History Subject) 교과 교육으로서 역사 교육의 이론과 지식, 역사학습에서 설명과 이해,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연구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함으로써, 역사과 교육연구에 앞으로 일익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한다.
역사교과교재및연구법 (Teaching Method & Materials of History Subject) 사회과(역사)교육의 교재에 관한 연구, 특히 국정 교과서의 구성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자료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도록 하며 이의 효율적 지도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역사교육론 (Studies of History Education) 역사교육방법 및 교재의 종류, 성격, 용도 등을 알아보고 지도안작성에 따르는 문제들을 검토함으로써 효율적인 역사교육방법을 학습한다.
역사진로분석및취업설계 (Historical Career Analysis and Job Design) 역사문화콘텐츠를 전공한 뒤에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분야를 탐색하고, 각 진로분야별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을 이해한다. 아울러 역사 관련 진로를 설정한 뒤 구체적인 취업을 위해 필요한 절차와 방법 등을 조사하고 취업 성공을 위해 각자가 갖추어야 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노력한다.
한국근현대사 (Korea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근대화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격동해온 한국사의 질곡과 애환을 추적하여 한국 현대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발달과정, 특성, 역사적 의의를 찾아본다.
한국사상·문화사 (Korean thinking ·Culture history) 한국의 고대, 불교, 유학, 실학, 동학, 민중 사상과 문화사의 흐름을 고찰한다. 한국사상·문화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도록 한다.
한중일문화탐구 (Cultural Exploration of Korea, China and Japan) 동아시아 역사에서 한·중·일 삼국은 상호 문화교류를 통해 발전해 왔다. 한·중·일 문화교류의 양상을 역사적·문화적 사례를 근거로 탐구함으로써 국제화 시대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한다.

과목명 소개
고고학조사와발굴실습 (Archaeological survey and excavation) 문화유적에 대한 지표조사방법, 발굴조사법을 가르쳐 유적지를 조사하고 실제로 필드에 참여하여 실전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유형문화재에 대한 조사와 그 역사성에 대해서도 학습하게 한다.
도시문화콘텐츠기획실습 (Urban Culture Content Planning Practice) 도시에 문화가 접목된 사례를 찾아 분석하고 콘텐츠를 적용시킨 새로운 도시 기획 방법을 모색한다. 현장의 수요에 맞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실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문화도시를 만들기 위해 실감콘텐츠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콘텐츠 활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문화유산실감형미디어제작실습 (Production and Practice of Immersive Media for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을 활용한 실감형 미디어를 직접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감형미디어는 다양 기술적 능력이 요구되지만, 본 교과목에선 문화유산을 활용한 영상제작 실습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문화유산을 효율적으로 설명, 학습하기 위한 도구로서 영상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직접 영상을 제작한다.
문화인류학 (Introduction to Cultural Anthropology) 문화적, 사회적 인류학의 요점을 정리하여 현대사회의 파악에 도움이 되도록 하며, 학예사 시험에 필수인 이 과목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게 한다.
문화콘텐츠기획 (Contents Project of Culture) 역사와 문화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문화콘텐츠 제작 가능성을 탐색하는 한편,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한국의 문화관련 콘텐츠에 대한 기획을 실시한다.
박물관전시콘텐츠실습(캡스톤디자인) (Practice of Museum Exhibition Contents(Capstone design)) 박물관 큐레이터의 업무 영역은 문화유산에 대한 조사와 정리, 교육 등이 중심이다. 이중 전시 분야의 업무는 전시 주제의 설정에서 전시의 개관까지 일관된 작업에 필요한 능력이 요구된다. 본 교과목에서는 전시 기획에서 전시까지 모두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습은 메타버스 시대에 적합한 방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온라인 환경을 활용하여 진행한다.
역사논문작성과DB활용 (Historical Thesis Writing and DB Utilization) 본 강좌는 역사 연구자 또는 역사 전문가의 길을 꿈 꾸는 학생들을 위해 개설된 강의이다. 역사학도로서 전문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논문 주제의 선정 및 목차의 구성, 기존 연구사의 정리, 연구방법론 및 연구범위 설정, 관련 사료 조사 및 인용, 그리고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글쓰기가 기본 소양으로 필요하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고전번역원, 동북아역사재단 등 다양한 기관에서 운영하는 DB를 검색하고 활용하는 능력도 배양한다.
전라유교문화산책 (Confucian Culture in Jeolla-do) 유교문화는 동아시아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력을 발휘했던 이데올로기이자 정치?사회적인 운영원리였다. 본 교과목에서는 전라 유학를 중심으로 유교문화 유산과 인물들에 대해 개괄하고 각 시기별 특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전북 유학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특징을 알고 나아가 지역사에 대한 이해하는 방식을 심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