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 한국고전학연구소
  • 연구성과
  • 학술논문
연구성과 | 학술논문 게시글의 상세 화면
[HK+연구단]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교화(敎化)’ 전용(轉用) 도덕적인 백성에서 노동하는 ‘국민’으로
작성일 2021-01-19 조회수 915 작성자 한국고전학연구소
첨부 : 20201218.논문.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교화(敎化) 전용(轉用) 도덕적인 백성에서 노동하는 국민으로.pdf 파일의 QR Code 20201218.논문.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교화(敎化) 전용(轉用) 도덕적인 백성에서 노동하는 국민으로.pdf  20201218.논문.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교화(敎化) 전용(轉用) 도덕적인 백성에서 노동하는 국민으로.pdf
UCI :
DOI :
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76943




국문초록


전근대 조선의 위정자는 유교 이데올로기 관철을 위해 피지배민을 교화하고자 하였다. 전근대의 교화 방식은 위정자 자신을 먼저 도덕적인 인간으로 교화한 뒤에, 솔선수범하는 자신의 모습으로 피지배민의 교화를 이끌어내는 것이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이후 교화는 사회문제 발생으로 촉발되는 정책이었기에 국가주도의 하향식 정책이자 통제적 형태로 시행되었다. 또한 인간의 도덕성 계도를 교화의 목적으로 하기보다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민 생활 개조를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이러한 형태의 교화를 ‘사회교화사업(社會敎化事業)’이라는 정책으로 명명하며 식민지의 사상적 통제와 물질적 동원을 의도하였다. 1910년 이후 지속된 경제 위기와 급증하는 빈민, 빈번하게 발생하는 계급 투쟁은 조선 사회에 불안을 야기하였고, 언론은 조선의 참상(慘狀)과 빈민의 삶을 보도하며 식민통치 유효성 문제를 거론하기 시작하였다. 이미 3・1운동을 경험한 지배 계급은 하루빨리 조선의 사회 불안을 잠재워 지배체제를 안정시켜야 했다. 조선총독부는 해결책으로 ‘경제 개발’과 ‘사상 안정’이라는 두 가지 노선의 정책을 계획하였고, 이로써 식민지 조선에 산업개발 정책과 사회교화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경제 개발과 사상 안정이라는 정책 노선은 이전까지 생계유지 수단에 불과하였던 노동을 생산성 제고의 수단으로 재위치 시켰다. 1921년 7월 조선총독부 내무국에 사회교화사업 담당 기구인 ‘사회과(社會課)’가 설치되었다. 사회과는 구휼 및 자선, 사회사업, 지방개량, 수리조합 사무, 향교재산 관리를 담당하였고, 해당 업무의 목적은 식민지민의 정신생활 안정과 경제문제 해결에 있었다. 이 가운데 경제 문제 해결은 자발적 노동을 통한 위기 극복으로 이어졌기에, 사회교화사업은 일반민에게 노동과 경제 관념을 주입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한편 경제 성장의 기본 요소는 ‘근검 저축’과 ‘적극 노동’에 있었다. 저축은 단순히 ‘돈을 모아두는 것’이 아니라 ‘경제생산력 강화’의 기반으로 여겨져 국가 경제 성장과 연결되었다. 더불어 저축은 노동이 뒷받침되어야 했기에 노동 개념의 전파 역시 중요하였다. 이에 조선총독부는 조선에서 노동과 경제가 ‘천박’하게 여겨지는 문제점을 지적하며 노동 장려로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과는 사회교화 사무로 ‘근검저축 및 부업(副業) 장려’를 설정하였다. 근검 저축과 부업 장려는 노동에 기반한 절약으로써 자본 축적률을 높여 국가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 같은 절약 정신과 노동 개념의 전파는 물리적 강요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기에, 조선총독부는 일반민의 사상을 통제시킬 정책으로 사회교화사업을 활용한 것이다. 따라서 1920년대 조선총독부 사회교화사업은 사상 통제로 국민 생활을 규제해 국가적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국가주도의 하향식 사회문제 해결책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