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 HK+연구단
  • 연구성과
  • 연구논문
연구성과 | 학술논문 게시글의 상세 화면
[HK+연구단] 해방 후 공공성을 둘러싼 위기 담론 속 소거된 부랑자와 공공공간의 정화
작성일 2023-02-01 조회수 197 작성자 한국고전학연구소
첨부 : 20221206.논문.해방 후 공공성을 둘러싼 위기 담론 속 소거된 부랑자와 공공공간의 정화.pdf 파일의 QR Code 20221206.논문.해방 후 공공성을 둘러싼 위기 담론 속 소거된 부랑자와 공공공간의 정화.pdf  20221206.논문.해방 후 공공성을 둘러싼 위기 담론 속 소거된 부랑자와 공공공간의 정화.pdf
UCI :
DOI :
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20293




국문초록


해방공간은 장기간 식민 통치에 노출된 특수한 환경이었다. 일제 36년간의 침탈과수탈 속에 방치된 그야말로 열악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식민 통치 후유증은 정치·경제· 사회 분야에 걸쳐 제 문제로 나타났으며, 식민지 농업 수탈의 유산으로 생겨난 빈민문제의 확산은 부랑자 출현과 연쇄적으로 작동했다. 근대 사회에 들어서면서부터 부랑자는 더 이상 국가의 보호 대상이 아닌 사회로부터 격리해야 하는 위험 요소로 인식되었다.

특히, 부랑자 중에서도 가장 큰 희생자는 부랑 한센인이라 할 수 있다.

부랑 한센인 사례는 개인의 신체에 대해 국가권력이 직접적으로 개입한 것으로 강제적이면서 폭력적인 성격을 가진다. 일제강점기부터 부랑 한센인 관리 방식은 사회로부터철저히 배제하고 격리하는 방식으로 일관하였다. 해방 이후 미군정의 정책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한센병은 해방공간에서도 혐오스러운 전염병으로 인식되었고 정책 당국조차사회 질서의 정상적인 유지와 재생산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미군정은 사회 내 공포와 혐오를 해결해 앞으로 수립할 통치 체제에 국민의 지지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미군정은 위험 요소로 인식되었던 부랑 한센인을 공공공간에서처리해줌으로써 통치 목표를 완수하려고 하였다. 그 과정에서 국민에게 신뢰를 얻기 위한 통치 기제로써 포섭과 철저한 배제의 방식인 차별관리가 적용됐다. 국가로부터 배제된 부랑 한센인은 강제적인 격리 방침에 의해서 점차 공공공간에서 소거되었다. 결과적으로 한센인과 비한센인의 경계는 더욱 확고해졌다. 본 논문은 미군정의 남한 점령통치목표에 투영된 통치 전략과 그 안에 함의된 역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