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 HK+연구단
  • 연구성과
  • 연구논문
연구성과 | 학술논문 게시글의 상세 화면
[HK+연구단] 개항기 신문 매체를 통해 본 공론 개념의 의미장ㅡ'한성순보', '한성주보',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작성일 2020-01-06 조회수 1296 작성자 한국고전학연구소
첨부 : 개항기 신문 매체를 통해 본 공론 개념의 의미장ㅡ'한성순보', '한성주보', '독립신문'을 중심으로.pdf 파일의 QR Code 개항기 신문 매체를 통해 본 공론 개념의 의미장ㅡ'한성순보', '한성주보', '독립신문'을 중심으로.pdf  개항기 신문 매체를 통해 본 공론 개념의 의미장ㅡ'한성순보', '한성주보', '독립신문'을 중심으로.pdf
UCI :
DOI : 10.14729/converging.k.2019.7.4.31
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25854




개항기 신문 매체를 통해 본 공론 개념의 의미장ㅡ'한성순보', '한성주보',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문경득, 『한국융합인문학7권 4호, 2019, pp.71-103)

 

 

초록

 

공론(公論)이라는 개념은 영어의 'public opinion'과 대응하는 단어로, 공론과 공론정치를 다룬 여러 연구에서 다수가 참여한 논의와 토론을 거쳐 공정성이 확보된 의견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교적 '공(公)'의 개념은 행위에 내재된 도덕성과 관련되어 있어, 행위의 장을 가리키는 서구의 public 개념과 다르다. 그러므로 조선시대의 공론 개념은 '다수의 토론을 통해 형성된 공정한 의견'이 아니라, '천리(天理) 따르고 인간의 본연지성(本然之性)에 부합하는 옳은 의견이기 때문에 모두가 동의하는 의견'이라는 뜻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교적 공론 개념이 근대적 공론 개념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추적하고자 개념사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성순보', '한성주보'와 '독립신문'에 등장하는 공론 개념의 의미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론 개념은 유교적 공 개념에 근거하여 언론을 설명하며 정당화하거나, 만국공론처럼 유교적 에토스에 근거해 국제관계를 이해하고 상상하기도 했다. 또한 근대국가를 지향하면서도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유교적 공 개념과 언표를 인용하는 방식으로 공론 개념의 의미장이 재배치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