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갤러리 게시글의 상세 화면
[2022] 요양병원 : landscape as connector
YU CHAE JEONG

01 프로그램 선정 이유


고령화 시대에 맞게 노인요양시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전주에만 35개의 요양병원이 있는데 대부분 5층 이상의 빌딩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런 형태는 환자,의사,간호사들이 대부분 실내에서 시간을 보내야 한다.그리고 각 층마다 환자별로 구분되어 있어 환자들은 외출은 커녕 한 층에서 돌아다니는 것이 전부이다. 무단 외출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1층 출입문을 폐쇄하고 있어 수용소를 연상시킨다.

자연스럽게 사회에서 고립되고 주민들은 당연히 요양병원에 갈 일이 없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해 환자들,근무자들이 외부공간을 돌아다니며 진료 하고, 침대에 누워서도 밖을 산책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꾸고, 주민들도 요양병원을 거리낌 없이 들어올 수 있게 하는 것이 계획이다.


02 대지분석


전북대학교가 있어 젊은 층이 많이 모이는 지역이고, 초등학교6개 중학교 4개 고등학교3개 전북대학교까지 있어 교육기관이 많은 편이다. 요양병원은 500m 반경에 한 개, 1Km반경에 한 개가 있는데 전부 5층 이상의 빌딩형태 → 도심속에 있다보니 요양병원만을 위한 산책로나 휴식공간이 없다 동쪽에는 버스터미널이 두개가 모여 있어서 지속적으로 소음이 있는 방면에 북쪽으로는 산과 주택들이랑 작은 카페들이 있어서 조용하고 평화로운 느낌이다. 


03 건축계획 


기존 요양병원들의 빌딩 형태를 한 층씩 분리시킨 뒤 넓게 배치해 저층 마을 형태를 만들어준다.



04 모듈 방식 


병실1인 필요공간인 6000*3000을 기초로 6000*6000의 모듈을 만들어 작업했다.

매스를 적용하고 그 안에서 동선을 만들어주며 매스를 배치하였다.



05 빛,공기순환


노인들의 적절한 치유 환경을 위해 시간대별 채광을 조사했다.

노인의 특성에 따른 필요요소에서 신체적 심리적 기능의 감퇴로 인한 필요요소 중 빛 환경이 필수로 반영되어야 한다. 

대지에 채광이 잘 되는 장점이 있어서 이를 건물 배치에 이용했다.


등록된 댓글 0개 * 개인정보유포, 욕설/비속어 사용, 사업적 글 등 해당 글과 관련 없는 댓글은 관리자에 의해서 삭제됩니다.

전시회 갤러리 게시판의 꼬리말 댓글을 작성합니다.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