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공고 제2022- 16호

2022년 제1회 경찰청 일반직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공고

2022년 제1회 경찰청 일반직공무원 경력경쟁채용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하오니 유능한 인재의 많은 응모를 바랍니다.

2022년 2월 18일

경 찰 청 장

1. 채용분야 및 인원

□ 총괄 (59개 분야 총 577명 선발)

※구분모집 : (장애) / [저소득]

채용분야

본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남부

경기북부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경찰

대학

인재개발원

중앙

학교

수사

연수원

총 계

577

(12)

[4]

44



84

(2)

[1]

38

(2)

[1]

28

(2)

[1]

28



16



20



9

(1)


5



64

(1)

[1]

25

(1)


21



18

(1)


25



24



28



34



32

(2)


17



14



1



1



1



일반직 등

(13개 분야, 31명)

31

(1)

3


2


1


1


5


1

(1)

4


1


2


2


1


2


3


1


1


1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41개 분야, 541명)

541

(11)

[4]

36



82

(2)

[1]

37

(2)

[1]

27

(2)

[1]

28



16



15



8



5



60

(1)

[1]

24

(1)


21



18

(1)


23



22



28



33



30

(2)


14



13



1



한시임기제

(5개 분야, 5명)

5

5

□ 세부 선발인원※ 응시요건, 담당예정업무 등 세부사항은 붙임1 확인

◦ 일반직 등

연번

분야

직렬(직류)

계급

본청

서울

부산

대구

대전

울산

경기남부

경기북부

충남

전북

경북

경남

제주

경찰대학

인재

개발원

중앙학교

31

(1)

3


2


1


1


5


1

(1)

4


1


2


2


1


2


3


1


1


1


1

송무담당

행정(법무행정)

6급

2

1

1

2

범죄수익추적

행정(회계)

7급

4

1

1

1

1

3

기계사업관리

공업(일반기계)

9급

2

1

1

4

드론운영

공업(항공우주)

9급

1

1

5

건축관리

시설(건축)

9급

3

1

1

1

6

디지털증거분석

전산(전산개발)

7급

1

1

7

정보시스템운영

전산(전산개발)

9급

10

(1)

4


1

(1)

3


2


8

네트워크 관리

전산(전산개발)

9급

2

2

9

차량운전

운전(운전)

9급

2

2

10

심리상담

의료기술(의료기술)

9급

1

1

11

수사연구

전문경력관

가군

1

1

12

품질관리(임기제)

전산(전산개발)

6급

1

1

13

정보보안(임기제)

전산(정보보호)

7급

1

1


- 1 -

◦ 총액인건비 활용 일반임기제 

임기

연번

분야

직렬

(직류)

계급

본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남부

경기북부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경찰대학

수사연수원

541

(11)

[4]

36



82

(2)

[1]

37

(2)

[1]

27

(2)

[1]

28



16



15



8



5



60

(1)

[1]

24

(1)


21



18

(1)


23



22



28



33



30

(2)


14



13



1



‘23년말

14

양성평등전문인력

행정

(일반행정)

5급

1

1

15

사이버국제공조전담번역사

행정

(일반행정)

6급

1

1

7급

4

2

2

16

치안R&D 성과관리

행정

(일반행정)

7급

1

1

17

채용업무

행정

(일반행정)

7급

2

2

18

역량기반교육훈련

체계구축

행정

(일반행정)

7급

2

2

19

시민청문관

행정

(일반행정)

6급

1

1

7급

3

1

1

1

8급

84

15

11

8

7

3

2

1

1

18

3

3

2

2

3

2

3

20

피해자 심리상담 지원

행정

(일반행정)

7급

1

1

21

인권침해사건 조사

행정

(일반행정)

7급

1

1

22

시민인권보호관

행정

(일반행정)

8급

20

3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3

광역피해자 심리지원

행정

(일반행정)

8급

12

4

2

2

4

24

182상담요원

행정

(일반행정)

8급

13

13

25

패널연구

행정

(일반행정)

6급

1

1

7급

1

1

26

스마트치안

지능센터

행정

(일반행정)

7급

1

1

27

비교경찰연구

행정

(일반행정)

7급

1

1

28

치안 ODA 연수운영

행정

(일반행정)

7급

1

1

29

경찰대학 연구원 통합지원

행정

(일반행정)

8급

3

3

30

경찰수련원 유지보수

행정

(일반행정)

8급

7

1

1

1

1

1

1

1

31

언론 모니터링 및 이슈대응

행정

(일반행정)

9급

8

1

1

1

1

1

1

1

1

32

공익신고 영상 분석

행정

(일반행정)

9급

31

8

2

3

2

2

3

5

2

1

1

1

1

33

국가·행정소송, 법률자문

행정

(법무행정)

6급

6

1

1

1

1

1

1

34

인권영향평가

행정

(법무행정)

6급

1

1

35

노무사

행정

(고용노동)

6급

9

1

1

1

1

1

1

1

1

1

36

청원경찰 민원담당

행정

(고용노동)

7급

1

1

‘23년말

37

국민참여예산 관리

행정

(회계)

7급

1

1

38

데이터기반행정 추진

통계

(통계)

5급

1

1

39

검거장비 개발

공업

(전기)

6급

1

1

40

화생방 및 WMD 안전요원

공업

(화공)

7급

29

16

1

1

1

1

1

1

1

1

1

1

1

1

1

41

경찰수련원 유지보수

공업

(일반기계)

8급

3

1

2

42

교육동 증축 사업관리

공업

(전기)

8급

1

1

43

항공안전관리시스템 담당

항공

(일반항공)

7급

1

1

44

기동대 청사 리모델링

시설

(건축)

7급

1

1

45

경찰수련원 유지보수

시설

(건축)

8급

5

1

1

1

1

1

46

패널연구

전산

(전산개발)

7급

1

1

47

스마트치안

지능센터

전산

(전산개발)

7급

1

1

48

피해자인권포털

시스템고도화

전산

(전산개발)

8급

1

1

49

경찰관기동대

상황출동지원

운전

(운전)

9급

18

3

2

2

2

1

1

2

1

1

1

1

1

50

물자·경력 수송 및 

차량관리

운전

(운전)

9급

256

(11)

[4]

31

(2)

[1]

15

(2)

[1]

10

(2)

[1]

10



5



6



5



2



29

(1)

[1]

13

(1)


17



12

(1)


15



15



21



24



23

(2)


3



51

실용화촉진사업

공업연구관

(산업경영)

5급

1

1

52

실용화촉진사업

공업연구사

(산업경영)

6급

1

1

53

실용화촉진사업

공업연구사

(전자)

6급

1

1

54

경찰박물관 

학예연구사

학예연구사

(학예)

6급

1

1


◦ 한시임기제 

연번

분야

직렬(직류)

등급

본청

근무기간

5

5

55

기록연구사

(경무- 역사기록TF)

한시임기제

6호

(6급) 

1

1

임용일로부터 2023. 2. 6.까지

※ 주당 근무시간

(15시간~ 35시간 범위)

56

전산시스템 운영

(수사운영지원)

8호

(8급)

1

1

임용일로부터 2023. 2. 6.까지

57

정보보호

(정보화장비기획)

9호

(9급)

1

1

임용일로부터 2023. 2. 20.까지

58

교통관리시스템운영

(교통기획)

9호

(9급)

1

1

임용일로부터 2023. 3. 31.까지

59

사진촬영

(홍보담당)

9호

(9급)

1

1

임용일로부터 2023. 2. 28.까지

- 2 -

2. 응시자격

□ 공통 응시자격요건 [최종시험 예정일(2022. 5. 13. 예정) 기준]

○ 「국가공무원법」 제33조 각호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며, 「공무원임용시험령」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응시자격을 정지당하지 아니한 자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결격사유)】

1. 피성년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유예 기간이 끝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은 경우에 그 선고유예 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의2. 공무원으로 재직기간 중 직무와 관련하여 「형법」 제355조 및 제356조에 규정된 죄를범한 자로서 3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6의3.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의4.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ㆍ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7. 징계로 파면처분을 받은 때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8. 징계로 해임처분을 받은 때부터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국가공무원법」 부칙 제2조(결격사유 및 당연퇴직에 관한 적용례)】 

제33조제6호의3ㆍ제6호의4 및 제69조제1호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저지른 죄로 형 또는 치료감호를 받거나 파면ㆍ해임된 사람부터 적용한다.


【「공무원임용시험령」 제51조(부정행위자 등에 관한 조치)】

① 임용시험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사람에 대해서는 그 시험을정지 또는 무효로 하거나 합격을 취소하고, 그 처분이 있은 날부터 5년간 이 영에 따른 시험이나 그 밖에 국가공무원 임용을 위한 시험의 응시자격을 정지한다.

1. 다른 수험생의 답안지를 보거나 본인의 답안지를 보여주는 행위

2. 대리 시험을 의뢰하거나 대리로 시험에 응시하는 행위

3. 통신기기, 그 밖의 신호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시험 내용에 관하여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는 행위

4. 부정한 자료를 가지고 있거나 이용하는 행위

5. 병역, 가점, 영어능력검정시험 및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성적에 관한 사항 등 시험에 관한 증명서류에 거짓 사실을 적거나 그 서류를 위조ㆍ변조하여 시험결과에 부당한 영향을 주는 행위

6. 제5조제4항에 따른 체력을 실기의 방법으로 검정하는 실기시험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인사혁신처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금지약물을 복용하거나 금법을 사용하는 행위

7. 그 밖에 부정한 수단으로 본인 또는 다른 사람의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 3 -

○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 

※ 이중국적자의 경우 임용 전까지 외국 국적을 포기하여야 함

○ 남자의 경우 병역을 필하였거나 면제된 자 또는 최종시험 예정일 기준 6개월 이내 전역이 가능한 자

○ 국가공무원법 제74조 정년(60세)에 해당하지 아니한 자

※ 임기제는 국가공무원법 제3조에 따라 동 조항의 적용을 받지 아니함

○ 아래의 연령에 해당하는 자

7급 이상, 연구사, 전문경력관

8급 이하

20세 이상(2002. 12. 31. 이전 출생자)

18세 이상(2004. 12. 31. 이전 출생자)

□ 구분모집요건 (장애인, 저소득층에 속하는 자)

구분모집

지원대상

증빙서류

장애인

「장애인복지법시행령」 제2조에 따른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4조제3항에 따른 상이등급기준에 해당하는 사람

※ 응시원서 접수마감일 현재까지 장애인으로 유효하게 등록되어 있거나,상이등급기준에 해당하는 자로서 유효하게 등록·결정되어 있어야 함

장애인등록증 또는

국가유공자증 사본

저소득층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생계・주거・교육・의료급여 중 한가지 이상의 급여를 받는 자) 또는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지원대상자에 해당하는 기간(이 기간의 시작은 급여 또는 지원을 신청한 날)이 응시원서 접수일 또는 접수마감일까지 계속하여 2년 이상인 사람

-  군복무(현역, 대체복무) 또는 교환학생으로 해외에 체류하는 경우, 이로 인하여 그 기간에 급여(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경우에도 가구주가그 기간에 계속하여 수급자(지원대상자)로 있었다면 응시자도 수급자(지원대상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봄[다만, 군복무 또는 교환학생으로인한 해외에 체류한 기간종료 후 다시 수급자(지원대상자)로결정되어야 기간의 계속성을 인정하며,이 경우 급여(지원)의 신청을기간 종료 후 2개월 내에 하거나, 급여(지원)의 결정이 기간 종료 후 2개월 내여야 함]

※ 군복무 또는 교환학생으로 해외에 체류한 전·후 기간에 1인 가구수급자(지원대상자)였다면 군복무 또는 교환학생으로 해외에 체류한기간 동안 수급자(지원대상자) 자격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고 봄[다만, 군복무 또는교환학생으로 인한 해외체류 종료 후 다시 수급자(지원대상자)로 결정되어야 기간의 계속성을 인정하며, 이 경우에도 급여(지원)의 신청을 기간 종료 후 2개월 내에 하거나, 급여(지원)의 결정이 기간 종료 후 2개월 내여야 함]

※ 단, 교환학생의 경우는 소속 학교에서 교환학생으로서 해외에 체류한 기간(교환학생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에 대한 증빙서류를 제출해야 함

-  저소득층 구분모집 응시자격 확인은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주민등록상의 거주지 관할 시・군・구청장이발행하는 수급자증명서(수급기간 명시), 한부모가족증명서(지원기간 명시) 등 증빙서류를 제출해야 함

※ 수급(지원)기간이 명시된 수급자(한부모가족)증명서는 주민등록상의거주지관할 시・군・구청에 본인 또는 가족(동일세대원에 한함)직접 방문하여발급받을 수 있으며, 방문 전 시・군・구청 기초생활보장・한부모가족담당자(주민생활지원과, 사회복지과 등)에게 유선으로 신청해야 함

국민기초생활수급자증명서

또는

한부모가족증명서


※ 수급(지원) 기간 명시 필수

□ 응시자격요건 [최종시험 예정일(2022. 5. 13. 예정) 기준]

- 4 -

【공통사항】

○ 응시자격요건에 기재된 사항 중 1개 이상에 해당되면 응시가 가능하나, 시원서 작성 시에는 자격요건(자격증, 경력, 학위) 중 하나만 선택해 작성

※ 응시원서 접수기간 종료 후 응시자격요건 등 지원요건 수정 불가

○ 응시자격요건에 해당하는 경력, 자격증, 학위 소지 여부는 최종시험예정일기준으로 판단 

【학위·자격증의 범위】 

○ ‘학위’ 요건의 관련 전공은 학위논문 또는 전공분야를 기준으로 함

○ ‘자격증’ 요건으로 응시하는 경우「공무원임용시험령」 [별표8]에 따라 직렬(직류)별로상위 계급에 규정된 자격증 지정기준을 충족한 사람은 하위계급의 자격증 지정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봄

○ ‘자격증’은 별도 명시가 없는 한 ‘국내 자격증’을 말함

○ 최종시험예정일 기준으로 자격증의 유효기간을 경과하는 등 효력을 상실한 자격증은 인정하지 않음

※ 폐지된 자격증으로서 국가기술자격법령 등에 의하여 그 자격이 계속 인정되는 자격증은 유효하게 인정됨

【경력의 범위】

○ ‘경력’은 해당분야 직무기술서 상에 제시된 관련분야 경력을 의미

○ 관련분야 경력은 경력증명서상에 근무기간과 담당업무가 명시된 경우에 인정함(불명확할 경우 불인정될 수 있음에 유의). 단, 기관폐업 등으로 경력증명서를 재발급받기 어려운 경우는 경력증명서 외 다른 서류로 보완 가능 

※ 경력증명서 제출시 대표자 직인 및 발급자 연락처 기재(전화번호, e- mail)

※ 폐업회사의 경우 ① 폐업자에 대한 업종 등의 정보내역 사실증명서, ② 4대보험 자격득실 이력확인서* 중 1종, ③ 소득금액증명서, ④ 관련분야 근무경력 증빙**서류제출필수(①, ②, ③, ④ 모두 제출)

* 고용보험(피보험자격 내역서), 국민연금(가입이력 포함된 가입증명서), 건강보험(가입자 자격득실확인서), 산재보험(근로자 고용정보 확인서) 

** 근로약정서, 인사기록카드, 업무분장 내역 등

- 5 -

[ 폐업자에 대한 업종 등의 정보내역 사실증명서 발급 방법(hometax) ]

① 폐업회사의 사업자등록번호를 아는 경우 : 

-  민원증명 → 민원증명- 사실증명신청(1번 동그라미) → 사실증명(폐업자에 대한 업종등의 정보내역)

② 폐업회사의 사업자등록번호를 모르는 경우 : 

-  민원증명 → 민원증명신청- 소득금액증명(2번 동그라미) → 근로자소득용 발급(발급기한 설정) ⇒ 폐업회사 사업자번호 확인 

-  이하 과정은 ①과 동일

 


○ 정규직 또는 상근직으로 근무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다음기준에 따라 해당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채용자격 기준에 해당하는 경력에 포함될 수 있음 

-  시간제 근무의 경우 근무시간에 비례해서 경력의 일부를 인정

※ 시간제 근무 : 주40시간 기준에 비례하여 인정 

(예 : 4년간 주20시간 근무 : 4년×(20시간/40시간) = 2년 인정)

-  근무시간이 불분명한 프리랜서의 경우, 채용예정 직무분야에서 활동한 실적이 있는 경우 일부 인정 가능. 단, 이 경우 근무를 입증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수입규모 등 추가 자료 제출 필요

○ 경력기간이 중복되는 경우, 그 중 유리한 경력 하나에 대해서만 인정

○ 학위취득에 소요되는 학위과정 경력(행정조교 등)은 제외하되, 국·공립대학 및 사립대학에서의 강의 또는 연구 경력은 포함

○ ‘경력’ 요건으로 응시하는 경우, 「공무원임용령」 제16조제2항에 따라 최종 관련경력을 기준으로 시험공고일 현재 퇴직 후 3년(한시임기제공무원을 채용하는 경우는 10년)이 경과 되지 않아야 함

※ ‘학위’ 및 ‘자격증’ 요건으로 응시하는 경우는 해당 없음

‘임용예정직급과 같은 직급’ 은 동일한 직급의 공무원 경력만 인정되며, 직렬은다르지만 같은 계급의 일반직공무원 경력은 임용예정직렬과 업무내용이 같거나 유사한 분야의 경력으로 인정된 경우 3년 이상인 경우에 한해 응시자격을 충족함  ※ 공무원경력과 민간경력은 합산되지 않음 유의

- 6 -

‘관리자 경력(직무기술서 51번)’은 법인(외국법인 포함), 민간단체(「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 제2조의규정에 의함), 국제기구 또는 국제단체의 장 또는 부서단위의 책임자로서 아래의 요건을 모두 충족한 경력을 의미함

[ 부서단위 책임자 ]

① (조직체계) 정식직제에 해당하는 부서의 장이어야 함(본부장, 부장, 차장, 과장, 팀장 등)

-  조직도상에서 확인되지 않은 부서는 인정하지 않음(임시조직·TF팀 등)

-  부서 정원이 3명 이상의 정규직으로 구성될 것(위탁업체 직원, 인턴, 임시직 제외)

② (업무권한) 부서장으로서 인사권(직원평가 및 업무조정 등), 예산집행권 등 전결권을 행사하여야 함

③ (근무형태) 주40시간 이상 전임직으로 상근하여야 함

④ (증빙의무) ①~③의 요건을 증빙할 수 있어야 함

※ 경력조회과정에서 위 사항(관리자 직명, 관리직무 내용, 관리대상 정규근무 직원수 등) 소명하지 못하는 경우 경력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음 

【우대요건 범위】[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 우대요건 경력기간 산정은 응시자격요건 충족을 위한 경력기간을 제외함

○ 우대요건은 서류전형 단계에서만 적용되므로, 우대요건에 해당하는 경력의 계산, 자격증, 학위 등은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판단함

○ 복수의 학위 및 자격증을 제출하는 경우, 상위구분 1개만 인정(구분별 차등배점)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 우대(일부 직위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 워드프로세서(구 1급), 컴퓨터활용능력 1·2급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자격증의 유효기간을 경과하는 등 효력을 상실한자격증은 인정하지 않으며, 폐지된 자격증 중 국가기술자격법령 등에 의하여 그 자격이 계속 인정되는 자격증은 인정함

【가산요건 범위】

○ 한국사능력검정시험(국사편찬위원회 주관) 등급별 가산점 부여 

등급

1급

2급

3급

4급

5・6급

가산점

3

2.5

2

1.5

1

※ 2017.1.1. 이후 실시된 시험으로서, 원서접수 마감일까지 점수(등급)가 발표된 시험으로 한정하며 기준점수 이상으로 확인된 시험만 인정됨

- 7 -

○ 가산점 적용대상자 및 가산점 비율표(가산특전) 

구 분

가산비율 및 적용범위

비 고

취업지원대상자

서류전형 만점의 10% 또는 5%

(선발예정인원의 30% 이내)

취업지원대상자 가점과 의사상자 등 가점은 1개만 적용

의사상자 등

(의사자 유족, 의사자 본인 및 가족)

서류전형 만점의 5% 또는 3%

(선발예정인원의 10% 이내)

※ 직무기술서 연번24. 182상담요원(행정8급), 연번40. 화생방 및 WMD안전요원(공업7급) 분야의 4명 이상 모집 단위만 해당

▪ 취업지원대상자는 4명 이상, 의사상자 등은 10명 이상 선발 단위에만 적용

▪ 가산점을 받고자 하는 사람은 원서접수 마감일까지 해당 요건을 갖추어야 하며,원서접수 시 대상항목 및 가산비율을 표기하여야 함

[취업지원대상자 및 의사상자 등]

1.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제16조,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29조,  「보훈보상대상자 지원에 관한 법률」 제33조, 「5·18 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제20조, 「특수임무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제19조에 의한 취업지원대상자, 「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제7조의9에 의한 고엽제후유의증환자와 그 가족 및 「국가공무원법」 제36조의2에 의한 의사자 유족, 의상자 본인 및 가족은 서류전형(적극적 서류전형) 득점에 위 표에서 정한 가산비율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함

2 취업지원대상자 및 의사상자 등 가점은 「공무원임용시험령」 제31조의2에 따라 서류전형 만점의 40% 이상 득점한 자에 한하며, 만점의 일정비율(10%/ 5%/ 3%)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함

3 국가유공자, 5・18민주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 등 취업지원대상자 가산점을 받아 합격하는사람은 선발예정인원의 30%(의사상자 등 가산점의 경우 10%)를 초과할 수 없으나, 응시인원이 선발예정인원과 같거나 그보다 적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음

※ 취업지원대상자 여부와 가점 비율은 국가보훈처 및 보훈청 등(보훈처 상담센터 1577- 0606)으로, 의사상자 등 여부와 가점 비율은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자원과(☎044- 202- 3255)로 본인이 사전에 확인

3. 근거 법령

○ 국가공무원법(법률 제18308호) 

○ 공무원임용령(대통령령 제32162호)

○ 공무원임용시험령(대통령령 제30200호)

- 8 -

○ 전문경력관 규정(대통령령 제26567호)

○ 연구직 및 지도직공무원의 임용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30650호)

○ 공무원 인사 운영에 관한 특례규정(대통령령 제30493호)

○ 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행정안전부령 제297호)

○ 공무원임용규칙(인사혁신처예규 제127호)

○ 국가공무원 임용시험 및 실무수습 업무처리 지침(인사혁신처예규 제130호)

4. 시험방법

□ 서류전형

○ 임용예정 직위별로 정하고 있는 자격요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서류전형위원회에서 서면으로 심사하여 적격 또는 부적격 판단

○ 다만, 응시인원이 임용예정 직위별로 선발예정인원의 3배수를 초과하는 에는 임용예정직무에 적합한 서류전형기준에 따라 응시자 비율별 서류전형 합격자 결정(선발배수 범위 내 동점자는 모두 합격 결정)

응시자 비율

3배수 초과 ~ 10배수 이하

10배수 초과 ~ 20배수 이하

20배수 초과

서류합격자 비율

3배수

5배수

7배수

○ 서류전형 평정요소

① 자기소개서 

② 직무수행계획서 

③ 우대요건 : ‘채용예정직위별 응시자격요건 및 직무기술서’ 붙임1 참조 

④ 공통가산점 : 한국사능력검정시험(국사편찬위원회 주관) 기준등급 이상 소지자

⇒ 우대요건 및 가산점은 서류전형 단계에서만 적용,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만 인정

□ 면접시험

서류전형 및 실기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통해 공무원으로서의 정신자세, 전문지식과 그 응용능력 등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 및 적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 개별면접으로 자기소개서, 직무수행계획서 등을 토대로 질의·응답 방식으로평가하며, 5개의 평정요소를 상·중·하로 평정

- 9 -

면접시험 평정요소 (공무원임용시험령 제5조제3항)

① 공무원으로서의 정신자세             ② 전문지식과 그 응용능력 

③ 의사표현의 정확성과 논리성          ④ 예의・품행 및 성실성 

⑤ 창의력・의지력 및 발전가능성

 면접위원의 전체 평정 성적(상·중·하 개수)을 집계하여 불합격 기준에 해당하지 않은 사람 중에서 평정 성적이 우수한 자 순으로 합격자를 결정

최종합격자 결정 (공무원임용시험령 제30조제2항)

《평정 성적 우수자 결정 기준》

-  ‘중’, ‘하’의 개수와 관계없이 “상”의 개수가 많은 순으로 합격자 결정

-  ‘상’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중”의 개수가 많은 순위로 결정

《불합격 기준》

 -  위원의 과반수가 평정요소 5개 항목 중 2개 항목 이상을 ‘’하”로 평정한 경우

  -  위원의 과반수가 어느 하나의 동일한 평정요소에 대하여 “하”로 평정한 경우

5. 시험 일정

구 분

일 정 

내 용

채용공고

2. 18.(금)

사이버경찰청 및 경찰청 인터넷 원서접수사이트, 나라일터 등 채용공고

원서접수

2. 18.(금) ~ 3. 2.(수)

경찰청 인터넷 원서접수(http://gosi.police.go.kr)

서류접수

3. 3.(목) ~ 3. 7.(월)

응시기관별 방문 또는 우편접수(마감일 소인분에 한함)

※ [붙임2] 각 소속기관 연락처 참고

서류전형

4. 1.(금) ~ 4. 22.(금)

응시기관별 시행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4. 29.(금)

응시기관 홈페이지, 인터넷 원서접수 사이트 발표

응시기관별 면접시험 일시, 장소 등 공지

면접시험

5. 6.(금) ~ 5. 13.(금)

응시기관별 시행

최종합격자발표

6. 8.(수)

응시기관 홈페이지, 인터넷 원서접수 사이트 발표

※ 본 시험 일정은 불가피한 사정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공고 시 경찰청 인터넷 원서접수 홈페이지(http://gosi.police.go.kr)에 게재 예정

- 10 -

6. 응시원서 접수 및 제출서류 안내

□ 원서접수 기간 및 방법(인터넷 접수만 가능)

접수 기간 : ’22. 2. 18.(금) ∼ 3. 2.(수) 24:00 <11일간>

※ 접수취소기간 : 2. 18.(금) ∼ 3. 8.(화) 24:00 

○ 접수 방법 : 경찰청 인터넷 원서접수(http://gosi.police.go.kr) 에 접속하여 접수

※ 응시수수료 결제까지 완료하여야만 응시원서 접수가 완료됨

○ 응시원서는 1회(1개 선발단위, 1개 응시자격요건)만 제출할 수 있으며, 다른 선발단위에 중복으로 지원할 수 없음(거주지 제한 없음)

○ 접수기간에는 응시내용 변경이 가능하나, 접수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내용 수정 및 접수 불가능(사진은 미등록)

○ 응시수수료(공무원임용시험령 제35조, 전문경력관 규정 제15조)

▪ 응시수수료외에 추가로 소정의 처리비용(휴대폰·카드결제 처리비용, 계좌이체비용 등)이 소요

※ 수수료 : 5급, 연구관 1만원 / 6‧7급, 연구사, 전문경력관 7천원 / 8‧9급 5천원

▪ 응시원서 접수 당시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이거나「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지원대상자는 사실 확인 후 응시수수료 반환

▪ 원서접수 취소자에 한하여 응시수수료 환불함(단, 결제수수료 등 일부 본인 부담)

○ 응시표(응시번호 포함)는 ’22. 3. 15.(화) 09:00부터 인터넷 원서접수사이트에서 출력 가능하며, 시험당일 소지하여야 함 

□ 서류제출 기간 및 방법※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방지를 위해 가급적 우편제출 요망

○ 제출 기간 : ’22. 3. 3.(목) ∼ 3. 7.(월) 18:00 <3일간>

○ 제출 방법 : 방문 또는 등기우편 접수(택배, 퀵서비스 접수 불가)

※ 등기우편 접수 : 제출 마감일(3. 7. 18시) 소인분(빠른 등기)까지 유효

※ 방문접수시간 : 9:00∼18:00 [점심시간(12:00~13:00) 제외]

○ 접수처: 기한 내 응시한 소속기관으로 제출

※ 소속기관 주소 : [붙임2. 각 소속기관 연락처] 참조하여 타기관으로 발송되지 않도록 유의

○ 서류제출 시 [별지서식 제8호] 서류봉투 겉면 부착

○ 제출기한 내에 서류가 도착하지 않을 시 서류전형 응시를 포기한 것으로 간주

- 11 -

□ 제출서류 안내

○ 공통서류(필수제출)

구 분

내 용

1. 제출서류 총괄표 1부 <별지서식 제1호>

∘응시자가 제출하는 서류 총괄표 작성

2. 이력서 1부 <별지서식 제2호>

∘본인에게 해당하는 사항만 작성

3. 자기소개서 1부 <별지서식 제3호>

∘A4 2매 이내로 작성

4. 직무수행계획서 1부 <별지서식 제4호>

∘A4 4매 이내로 작성

5.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제3자 제공 동의서 1부 <별지서식 제5호>

∘자필 서명 필수

6. 주민등록 초본 1부

남성만 제출(반드시 병역사항 포함 발급)

○ 개별서류(해당자에 한함)

※ 증빙서류 미제출하는 등 증빙하지 못한 경력 등은 인정되지 않음

-  경력 관련 특이사항 있는 경우, 사전 전화상담(☎ 02- 3150- 2732) 후 관련 서류를 모두 구비 후 제출할 것을 권장

※ 응시자 제출서류는 사본제출도 가능함

구 분

내 용

1. 관련 자격증 1부

∘사본 제출

2. 경력(재직)증명서 1부

근무처명, 근무기간, 채용형태(정규직, 시간제, 계약직 등), 근무형태(상근, 주당 근무시간, 총일수 등), 직위 및 담당업무를 정확히 기재

∘증명서류 미제출 및 미비(담당업무 미기재 등)한 경우와 회사의 폐업 등 개별적 사유로 경력을 증명하지 못할 경우, 해당 경력 불인정 될 수 있음

∘발급 확인자 연락처 반드시 기재(미포함시 하단에 별도 기재)

외국기관 발급 증명서는 공증 번역된 요약본 첨부

※ 폐업 등으로 경력증명서 발급이 어려운 경우 ‘4대 보험 중 1개 보험의 자격득실 이력 확인’ 및 ‘폐업사실증명서’로 갈음하되, 채용분야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경력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음

※ 경력증명서의 담당분야 내용이 모호하거나 불분명한 경우 채용분야 직무 관련성을 입증할 수 있는 증빙서류(근로약정서, 인사기록카드, 업무분장내역 등)를 첨부

3. 졸업증명서(학위증) 사본 1부

전공 분야 표시(전공·복수전공 인정, 부전공 및 수료자는 불인정)

국외 학위의 경우 전공이 명확해야 하고 반드시 공인인증기관의 공증서 첨부

4. 관련 분야 연구실적 요약서 및 사본 각 1부

<별지서식 제6호>

해당분야(패널연구, 비교경찰연구, 실용화촉진사업)지원자에 한함

∘연구논문 요약서 1부 <별지서식 제6호>

∘논문표지 및 제목, 발표자가 표시된 페이지 사본 첨부

※ 최근 5년 이내(2017.1.1. 이후) KCI, SCI, SCIE, SSCI, A&HCI, SCOPUS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  주저자·교신저자·저서 포함, KCI등재후보지·학위논문·용역실적은 제외

5. 관련분야 표창(상훈) 증빙자료 사본 1부

해당분야(시민청문관, 실용화촉진사업) 지원자에 한함

∘정부, 공공기관으로부터 수여받은 표창(상훈)

∘개인 성명이 기재된 표창(상훈)에 한정하며, 상장 사본 등을 제출

※ 주최기관 또는 상장수여기관, 수상자 공적 명 등이 기입된 상장 사본 등을 제출

6. 정보화 자격증 1부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에 한함(7페이지 우대요건 참조)

7. 한국사 자격증 1부

∘국사편찬위원에서 주관하여 2017.1.1. 이후 실시된 시험으로 원서접수 마감일까지 점수(등급)가 발표된 것에 한함

8. 운전경력증명서 1부

운전분야 지원자에 한함

공고일 이후 경찰서 또는 정부민원포털(정부24)에서 발행된 것에 한하며, 운전면허경력, 교통사고, 법규위반 경력 조회기간을 반드시 전체로 발급

※ 공고일 이전에 발행된 증명서 또는 조회기간이 전체가 아닌 경우에는 불인정 될 수 있음

9. 가산특전 증명서 1부

∘취업보호대상자, 의사상자 등 가산특전 대상자 증명서류

10. 장애인·저소득층 증명서 1부

∘장애인·저소득층 구분모집 지원자에 한함

∘장애인등록증 또는 국가유공자증 사본, 수급자·한부모가족 증명서

※ 수급자·한부모가족 증명서는 수급(지원)기간 명시 필수

11. 응시수수료 면제대상 증명서류 1부

∘응시수수료 면제대상자(저소득층 해당자)에 한함

수급자증명서, 차상위계층 확인서, 한부모가족증명서 등 증명서류

□ 서류전형 합격 시 추가제출 서류

○ 서류전형 합격자는 경력 확인을 위해 4대 보험 자격 득실 확인서 중 1종 및 근무기간에 대한 소득금액 증명서를 면접시험 당일 추가 제출해야 함

※ 추가 제출서류는 최종합격일로부터 90일 이내 발급분(’22. 3. 10. 이후 발급)에 한함

구  분

내  용

1. 4대 보험 자격 

득실 확인서 1부

󰋼 아래 4대 보험 중 1개 제출

· 고용보험 : 피보험자격 이력 내역서(피보험자용)

· 국민연금 : 가입자 가입증명서

· 건강보험 : 자격득실 확인서(직장가입자)

· 산재보험 : 근로자 고용정보 확인서(해당회사, 기간에 따라 별도 출력)

2. 소득금액증명 1부

󰋼 ‘근로소득자용’으로 발급

※ 국세청홈텍스(https://www.hometax.go.kr), 무인민원발급기 또는 세무서에서 발급

3. 폐업사실증명 1부

󰋼 해당자에 한함

※ 국세청홈텍스(https://www.hometax.go.kr)에서 발급

(민원증명- 사실증명신청–사실증명<폐업자에 대한 업종 등의 정보내역>)

- 12 -

7. 서류 관련 유의사항

○ 응시 희망자는 원서접수 후 반드시 서류 제출을 하여야 합니다.

○ 학위증명서, 경력증명서, 자격증 등 유효기간이 없는 증빙서류의 경우에는 사본 제출(단면 인쇄)이 가능하며, 발급기한의 제한이 없습니다.

○ 외국어로 기재된 서류(학위·경력증명서 등)는 반드시 한글번역본 및 번역 공증 받아 함께 첨부해야 합니다.

응시원서 상의 기재착오 또는 누락이나 연락불능, 합격자발표 미확인 등으로 인한 불이익은 응시자 본인의 책임이 되므로, 합격자 발표일 등 시험일정과 합격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국가공무원법」 제45조의2 및 「공무원임용시험령」 제51조에 따라 임용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거나 시험에 관한 소명서류(응시원서에 기재한 경력, 학위, 자격증 등의 사항 포함)에 허위사실을 기재하여 시험결과에 부당한 영향을 주는 행위를 한 사람에 대해서는 당해 시험을 정지 또는 무효로 하거나 합격을 취소하고 그 처분이 있은 날부터 5년간 동 규정에 의한 시험이나, 그 밖의 국가공무원 임용을 위한 시험의 응시자격이 정지될 수 있습니다. 부정행위로 처분 받을 경우 다른 공무원 시험 실시기관이 조회할 수 있도록 인사혁신처에 개인정보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 제출된 서류에 기재된 내용이 사실과 다를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 합격자 통지 후라도 채용 신체검사, 경력검증, 학위검증 등을 통하여 결격사유가 발견될 경우 합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 최종합격 예정자의 경력확인을 위해 서류전형 합격자에 대해 4대 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및 소득금액 증명서를 제출받을 수 있으며, 제출하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불가피한 사유로 공고된 내용을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 시험기일 7일전까지 변경내용을 공고할 예정입니다. 

○ 모든 서류는 견출지, 스테이플러 등을 사용하지 마시고 집게 등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편철한 후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접수된 서류는 반환하지 않으나 원본으로 제출된 서류(예: 졸업증명서)에 한해 본인이 희망할 경우 반환해 드립니다. 단, 원본 반환 시 사본은 시험실시기관에서 일정 기간 보관됩니다.

(제출된 서류는 최종합격자 발표 후 1개월 이내 불합격자 중 희망자에 한하여 반환)

- 13 -

8. 근무 기간 및 보수 관련 사항

□ 근무 기간

구 분

근무 기간

일반직(전문경력관 포함)

국가공무원법 제74조 의거 정년(60세)까지 근무

일반임기제

연번12~13번

임용일로부터 2년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연번14~54번

임용일로부터 2023. 12. 31.까지

한시임기제

연번 55~56번

임용일로부터 2023. 2. 6.까지

※ 주당 15시간~ 35시간 범위

연번 57번

임용일로부터 2023. 2. 20.까지

연번 58번

임용일로부터 2023. 3. 31.까지

연번 59번

임용일로부터 2023. 2. 28.까지

※ 임기제공무원은 공무원임용령 제22조의5에 따라 근무실적이 우수한 경우 근무기간을 연장할 수 있음

※ 다만 위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총액인건비 활용 임기제의 경우 ‘중앙부처 총액인건비제 세부 운영지침’에 따라 최초 임기만료 후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2년의 범위에서 1회 연장만 가능함. 또한, 정원의 개폐 등으로 1회의 임기연장도 불가능할 수 있음

□ 보수 수준

○ 일반직공무원의 경우 「공무원보수규정」 [별표16], 연구직 공무원(연구사)의 경우 동 규정 [별표17]의 경력환산율표에 의하여 각각 초임호봉이 결정됩니다.

○ 성과급적 연봉제 적용대상 공무원의 경우, 「공무원보수규정」 [별표33] 연봉 한계액 범위 내에서 연봉액을 정하되 구체적인 금액은 채용예정자의 자격·경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임용직급

연봉 한계액

상한액

하한액

전문경력관 가군

90,978천원

37,161천원

연구관

111,595천원

37,161천원

일반임기제 5급

84,408천원

47,976천원

일반임기제 6급

73,739천원

37,152천원

일반임기제 7급

62,019천원

29,762천원

일반임기제 8급

52,929천원

24,244천원

일반임기제 9급

43,694천원

-

- 14 -

○ 한시임기제 공무원의 경우, 「공무원보수규정」 [별표30의2] 봉급액을 기준으로 실제 근무시간(주당 15시간~35시간 범위)에 비례하여 지급함

임용직급

봉급기준액

근무시간

한시임기제 6호

2,364,900

주 40시간 기준

한시임기제 8호

1,888,500

한시임기제 9호

1,712,200

○ 임기제 공무원은 「고용보험법시행령」 제3조의2에 따라 임용된 날로부터 3개월 내 고용보험 임의가입 신청이 가능합니다.

○ 봉급 외의 수당은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지급합니다.

9. 기타 참고사항

○ 시험 관련 일체의 공지사항은 경찰청 원서접수사이트를 통해 공고하고, 개별통지는 하지 않으니 반드시 공고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선발단위별로 적격자가 없는 경우 선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응시자가 선발인원과 같거나 없을 경우에는 재공고 할 수 있습니다.

○ 이력서에 E- mail 주소와 휴대 전화번호를 반드시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재 착오 또는 누락이나 연락 불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이익은 일체 응시자의 책임입니다.)

○ 「공무원임용시험령」 제30조제4항에 따라 최종합격자가 임용되는 것을 포기하거나 임용된 후 퇴직하는 등의 사정으로 결원을 보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추가합격자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 「공무원임용령」 제13조의2의 임용추천 유예는 본 시험계획 합격자에게는 준용되지 않습니다.

○ 경력경쟁채용시험으로 임용된 자는 공무원임용령 등 관계법령에 따라 최초 임용직위에 임용 후 일정기간 전보가 제한되며, 동 기간 이후 임용예정기관의 사정 등에 따라 전보가 가능합니다. 

○ 대체인력으로 선발된 자는 휴직자 등의 업무대행에 필요한 기간 동안 한시임기제 공무원으로 임용됩니다.

○ 한시임기제공무원은 「공무원연금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 15 -

○ 그 밖에 이 공고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국가공무원법, 공무원임용령, 공무원임용시험령, 공무원 임용시험 및 실무수습 업무처리 지침 등에 따릅니다.

○ 누구든지 경력경쟁채용시험에 관한 증명서류에 거짓 사실을 적거나 그 서류를위조‧변조하여 시험결과에 부당한 영향을 주는 부정행위를 알게 된 때는 인사혁신처에 온라인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 경력경쟁채용시험 국민제보 ▷

사혁신처 홈페이지(www.mpm.go.kr) -  참여민원 – 신고센터 -  인사신문고 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국민제보

○ 추가 문의는 경찰청 인재선발계(02- 3150- 2732) 또는 경찰청 원서접수사이트(http://gosi.police.go.kr)의 채용공고를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0. 코로나19 관련 유의사항

○ 본 시험계획은코로나19 상황 및 시험운영상 불가피한 사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된 사항은해당 시험일 7일 전까지 공고할 예정입니다.

○ 최근 국내외 발생지역 방문력이 있거나 발열 또는 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시험응시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시험장 입실 전 출입구에서 모든 응시생은 안내직원의 안내에 따라 손 소독 및 비접촉 체온측정 후 입실합니다.

○ 시험 시작 전 유증상자는 별도대기실에서 대기 후 마지막 순서로 시험 응시합니다.

○ 유증상자는 시험 종료 후 보건소 지침에 따라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결과가 나오는 대로 즉시 통보해야 합니다.

○ 시험장에서는 신분 확인을 할 때 외에는 마스크를 상시 착용하여야 하며, 미착용자는 입실이 불가합니다. 예비용 마스크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 조치에 따르지 않을 경우 감독관이 즉시 퇴실 조치합니다. 

▸ 발열검사 등 시험장 출입 전 방역 확인 요구에 이유 없이 불응한 경우

▸ 감독관의 별도 안내 없이 마스크를 탈의한 경우

▸ 그 밖에 감독관이 판단하여 응시자에게 피해를 준다고 판단되는 경우

○ 시험 중 코로나19 주요증상(발열, 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등)이 발생한 경우 

- 16 -

시험감독관에게 즉시 통보해야 합니다.

○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시험 당일 응시자 외 외부인의 시험장 출입을 전면통제합니다.

○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가 거짓 등의 방법으로 시험에 응시하여 감염증 확산 등의 물의를 일으키면 그에 따르는 모든 책임은 응시자에게 있습니다.

○ 대내외 상황변화에 따라 전형일정 등은 변경(순연 또는 잠정중단)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로 공지합니다.

○ 시험 응시자는 시험 전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준수 바랍니다.

- 17 -

붙임1

채용예정직위별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

일반직

행정

행정

법무행정

행정주사

6급

2명

송무담당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6급

◦ 국가(행정) 소송수행 등 관련 업무

-  소송 등 불복대응지도·관리 및 직접 수행

-  판례 및 유사 사례의 분석

-  각종 경찰업무 법률 자문

◦ 현장 경찰관 법률 분쟁 지원 및 손실보상심의 안건 검토

◦ 기타 경찰 관련 법령의 해석에 관한 업무

1

대구청

(경무)

1

경남청

(경무)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필요 지식

◦ 각종 법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 행정법, 민법, 형법 관련 법률 지식

◦ 쟁송의 근거가 되는 법령 및 절차, 경찰행정 관련 제(諸) 법령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변호사 자격증 소지한 사람

(변호사법 제4조에 따른 변호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

경 력

◦ 임용예정 직급과 같은 직급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임용 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공무원임용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 상당(6급) 공무원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 임용 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민간 근무경력 6년 이상인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소송 및 행정심판 관련 업무수행, 법률자문·검토 및 입법지원 등 법률사무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법학 또는 이와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1개만 인정)

◦ 변호사 자격증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경우 제외)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 18 -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

일반직

행정

행정

회계

행정주사보

7급

4명

범죄수익추적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기업·대형 경제범죄에 대응한 회계분석 및 범죄수익추적 수사지원

◦분식회계 등 수사기법 개발 및 연구

◦경찰공무원 대상 회계 교육 등 수행

4

각 시도경찰청 수사

경기북부청 1

충남청 1

경북청 1

경남청 1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류별 역량) 분석력, 회계지식, 예산수립능력

필요 지식

◦ 세무·회계 관련 법령·이론 및 실무에 관한 지식

◦ 기업의 재무제표 분석에 관한 지식

◦ 형사 사법체계 및 수사 절차 전반에 대한 법률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공인회계사 자격증 소지한 사람

(공인회계사법 제3조 및 제7조에 따라 한국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하고 소정 기간 수습을 거쳐 금융위원회에 공인회계사로 등록한 자)

관련분야 경력〕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 정한 외부감사 대상기업에 대한 감사업무 수행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경영, 경제, 회계, 세무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3

일반직

기술

공업

일반기계

공업서기보

9급

2명

기계사업관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공업 9급

◦ 청사 시설(건축·기계·전기·소방) 관리

◦ 청사 시설(건축·기계·전기·소방) 점검 및 유지보수 업무

◦ 청사 승강기 및 냉난방장치 등 에너지관리

◦ 청사 기관실 유지 및 관리

◦ 기타 일반 행정 업무

1

대전청(대덕서)

1

경기남부청(분당서)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유연한 사고, 기술적 전문지식, 즉각적 대응

필요 지식

◦ 청사 건축, 기계, 전기, 소방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 지식

◦ 청사 시설공사 관련 기술 및 법률 지식

◦ 건축 공사감독(감리)에 관한 지식

◦ 기타 건축(계획, 설계, 시공, 적산, 구조, 설비, 재료 등) 분야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기계, 공조냉동기계, 건설기계, 용접, 산업기계설비, 기계안전, 소방

기능장

기계가공, 에너지관리, 철도차량정비, 자동차정비, 건설기계정비, 용접, 금형제작, 판금제관, 배관

기사

일반기계, 메카트로닉스, 공조냉동기계, 건설기계설비, 기계설계, 용접, 에너지관리, 산업안전, 승강기, 소방설비(기계분야)

산업기사

컴퓨터응용가공, 기계가공조립, 기계설계, 공조냉동기계, 건설기계설비, 정밀측정, 용접, 기계정비, 배관, 에너지관리, 산업안전, 승강기, 소방설비(기계분야)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 연삭, 컴퓨터응용밀링, 기계가공조립, 전산응용기계제도, 공유압, 공조냉동기계, 에너지관리, 정밀측정, 용접, 특수용접, 기계정비, 배관, 승강기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자(일반기계분야)

◦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기계분야) 후 2년 이상 관련분야 근무 또는 연구경력이 있는 사람

경력

◦ 임용예정 직급과 같은 직급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임용 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공무원임용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 상당(9급)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관련분야 경력〕 일반기계, 건축설비, 소방설비(기계)분야 설계, 시공, 유지관리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건축, 기계, 전기, 소방, 산업안전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4

일반직

기술

공업

항공우주

공업서기보

9급

1명

드론운용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공업 9급

◦ 드론 조종 및 현장 출동

◦ 드론 촬영 영상 분석 및 SW활용

◦ 실종자 관련 DB 구축 및 관리 등

1

충남청

(경무기획)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필요 지식

◦ 무인비행체 관련 법규 및 안전관리

◦ 드론 촬영 영상 분석 및 SW활용

◦ 항공 및 드론과 관련한 전문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기계, 산업기계설비, 전기응용, 산업계측제어, 전자응용,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항공기관, 항공기체

기능장

기계가공, 전기, 전자기기, 통신설비

기사

일반기계, 메카트로닉스, 기계설계, 전기, 전기공사, 전자,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전파전자통신, 무선설비, 방송통신, 항공

산업기사

컴퓨터응용가공, 생산자동화, 기계설계, 기계정비, 전기, 전자,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전파전자통신, 무선설비, 방송통신, 항공

기 타

운송용조종사, 사업용조종사, 자가용조종사, 항공사, 항공기관사, 항공교통관제사, 항공정비사, 항공공장정비사, 운항관리사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 컴퓨터응용밀링, 기계가공조립, 생산자동화, 전산응용기계제도, 정밀측정, 전기, 전자기기, 전자계산기, 전자캐드, 통신기기, 전파전자통신, 무선설비, 방송통신, 항공기관정비, 항공장비정비, 항공전자정비, 항공기체정비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자(항공정비)

경력

◦ 임용예정 직급과 같은 직급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임용 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공무원임용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 상당(9급)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관련분야 경력〕 

◦ 항공, 드론 관련 기업체, 교육기관, 대학 등에서 항공 및 드론 관련 경력 

-  드론(항공)제작, 드론촬영, 드론정비, 드론교육, 대학연구소 등 드론(항공)과 관련된 직종에서 근무한 경력

◦ 드론 전문 교육기관 지도조종자(비행교관) 업무를 담당한 경력

〔관련분야 학위〕 항공, 드론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초경량비행장치 실기평가조종자‧지도조종자‧조종자 자격증 소지자(국가자격, 상위 1개만 인정)

◦ 레이싱 드론, 드론 사진‧영상전 등 드론 관련 각종 대회 입상자(참가상 제외)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5

일반직

기술

시설

건축

시설서기보

9급

3명

건축관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시설 9급

◦ 신·증축·환경개선사업 설계·공사 발주, 감독, 검사 등 관련 업무

◦ 시설 안전점검, 유지·보수 관련 업무

◦ 건축관련 인허가

◦ 경찰 청사 시설관리 등 기술 행정 업무

3

부산청 1

(경무기획)

제주청 1

(경무기획)

인재개발원 1

(운영지원)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기술적 전문지식, 계획관리능력, 추진력

필요 지식

◦ 건축 및 시설공사 관련 기술지식 및 법률지식

◦ 건축 공사감독(감리)에 관한 지식

◦ 기타 건축 분야(계획, 설계, 시공, 적산, 구조, 설비, 재료 등)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건축전기설비, 건축구조, 건축기계설비, 건축시공, 건축품질시험, 건설안전, 소방

기능장

건축일반시공, 건축목재시공

기사

건축설비, 건축, 실내건축, 건설안전, 소방설비

산업기사

건축설비, 건축일반시공, 건축, 건축목공, 방수, 실내건축, 건설안전, 소방설비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 타일, 미장, 조적, 온수온돌, 유리시공, 비계, 건축목공, 거푸집, 금속재창호, 건축도장, 철근, 방수, 실내건축, 플라스틱창호

◦ 문화재수리기술자(보수기술자)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자(건축분야)

◦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건축분야) 후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경력

◦ 임용예정 직급과 같은 직급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임용 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공무원임용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 상당(9급)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관련분야 경력〕 시설물 건축 및 유지관리, 건축분야 설계시공 및 건축인허가 등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건축, 건축설비, 실내디자인 등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6

일반직

기술

전산

전산개발

전산주사보

7급

1명

디지털증거분석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전산 7급

◦ 디지털포렌식 분야 모바일기기 증거분석 및 분석기법 연구

-  모바일기기 디지털증거 분석 및 현장 디지털 증거자료 수집 등

-  모바일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한 연구·개발

-  모바일포렌식 교육 등

1

경찰청

(디지털포렌식)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전산시스템관리·운영, 전략적 사고력, 기술적 전문지식

필요 지식

◦ 플래시 파일시스템(F2FS, EXT4, APFS HFS+ 등)

◦ 모바일 운영체제(Android, iOS 등) 아티팩트

◦ 모바일 프로그래밍

◦ 리버스 엔지니어링

※ 필수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고,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 ‘필수자격요건’ 및 ‘응시자격요건’을 최종시험예정일까지 각각 충족하여야 함

필수자격요건

◦ 아래 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여야 함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6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경 력

◦ 임용예정 직급과 같은 직급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임용 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공무원임용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 상당(7급)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학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모바일기기 디지털 데이터 복구, 앱분석 등 모바일기기 디지털증거분석 및 연구‧개발 경력

〔관련분야 학위〕 전산, 컴퓨터, 시스템,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정보보호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필수·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7

일반직

기술

전산

전산개발

전산서기보

9급

10명

정보시스템 운영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전산 9급

◦ 경찰 정보시스템 운영 및 관리

-  전산, 유선 시스템 운영 및 업무 지원

-  경찰 정보통신망 네트워크 운영 및 관리

10

대전청 4

(동부서·서부서·대덕서·유성서 각1)

울산청 1(1)

(울산남부서)

경기남부청 3

(이천서·안성서·여주서 각1) 

전북청2

(군산서·익산서 각1)

※ (밑줄)안은 장애인 구분 모집인원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전문성, 문제해결력, 분석력

필요 지식

◦ 네트워크 및 교환기 시스템에 대한 이해

◦ 전산 시스템에 대한 지식

◦ 정보시스템 정보보호 및 유지보수에 관한 지식

◦ 정보화 시스템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지식

※ 필수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고,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 ‘필수자격요건’ 및 ‘응시자격요건’을 최종시험예정일까지 각각 충족하여야 함

필수자격요건

◦ 아래 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여야 함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기타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기타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자(전산분야)

◦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전산분야) 후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경력

◦ 임용예정 직급과 같은 직급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임용 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공무원임용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 상당(9급)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관련분야 경력〕 공공기관 및 민간분야 등에서 전산개발 및 유지보수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전산, 컴퓨터, 시스템,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정보보호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필수·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8

일반직

기술

전산

전산개발

전산서기보

9급

2명

네트워크 관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전산 9급

◦ 네트워크 관리 등 기술행정 업무

◦ 전산보안관리, 정보통신물품 점검 등

1

제주청

(제주동부서 1)

1

제주청

(제주서부서 1)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전문성, 문제해결력, 분석력

필요 지식

◦ 네트워크 관련 기술 지식

◦ 네트워크 등 정보통신 장비에 관한 지식

◦ 기타 IT 분야에 관한 지식

※ 필수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고,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 ‘필수자격요건’ 및 ‘응시자격요건’을 최종시험예정일까지 각각 충족하여야 함

필수자격요건

◦ 아래 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여야 함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기타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기타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자(전산분야)

◦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전산분야) 후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경력

◦ 임용예정 직급과 같은 직급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임용 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공무원임용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 상당(9급)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관련분야 경력〕 네트워크 망 설계, 구축 및 정보통신분야 유지보수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컴퓨터네트워크, 정보보호, 정보통신공학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필수·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9- 1

일반직

기술

운전

운전

운전서기보

9급

1명

차량운전A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운전 9급

◦ 차벽트럭 등 특수장비차량 운용 및 관리

◦ 경찰수송버스 운행 및 장비 지원 업무

◦ 각종 집회 및 시위 특수차량 지원 업무

1

서울청

(4기동단)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필요 지식

◦ 대형버스 및 화물차량 등 운용 및 관리에 관한 지식

◦ 도로교통법 등 각종 법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에 해당되는 자 

응시자격

요건

자격증

◦ 제1종 대형 운전면허 소지자

-  면허정지나 면허정지 예정자는 응시 불가(최종시험예정일 현재 유효한 자격증에 한함)

〔관련분야 경력〕 제1종 대형 운전면허 취득 후 운전관련 분야에서 대형 승합자동차(36인승 이상)운전경력, 근무경력(재직) 증명서에 담당업무, 운전차종, 승차인원 등 기재 시 인정

※ 승합자동차의 구체적 인정기준은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에 한함

〔관련분야 학위〕 자동차정비, 자동차공학, 기계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자동차정비·검사(기능장·기사·산업기사·기능사) 자격증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 무사고 운전경력 및 교통법규 준수자

-  공고일 이후 경찰서 또는 정부민원포털(정부24)에서 발급한 운전경력증명서 필수제출

-  제1종 대형면허 취득일과 상관없이 운전면허경력, 교통사고, 법규위반 모두 전체경력으로 발급

※ 공고일 이전 발급된 것이나, 조회기간이 ‘전체경력’이 아닌 경우 운전경력 판단 불가로 최하점 처리

※ 음주, 무면허, 뺑소니 등 형사처벌 및 교통법규 위반경력 별도 감점(최근 10년 경력 기준)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9- 2

일반직

기술

운전

운전

운전서기보

9급

1명

차량운전B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운전 9급

◦ 견인차량, 공용차량 운전 및 유지관리

◦ 차량관리 부대업무 및 행정업무 지원

1

서울청

(서대문서)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필요 지식

◦ 견인차량 조작에 대한 이해

◦ 도로교통법의 전반적인 이해

◦ 자동차 관리 및 안전운행에 대한 이해

◦ 에코드라이빙(친환경, 경제운전)에 대한 이해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에 해당되는 자

응시자격

요건

자격증

◦ 제1종 특수면허(구난차) 운전면허 소지자

-  면허정지나 면허정지 예정자는 응시 불가(최종시험예정일 현재 유효한 자격증에 한함)

〔관련분야 경력〕 제1종 특수면허(구난차) 운전경력 (근무경력(재직) 증명서에 운전차종 기재 시 인정)

〔관련분야 학위〕 자동차정비, 자동차공학, 기계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1종 대형면허 소지자

◦ 자동차정비·검사(기능장·기사·산업기사·기능사) 자격증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 무사고 운전경력 및 교통법규 준수자

-  공고일 이후 경찰서 또는 정부민원포털(정부24)에서 발급한 운전경력증명서 필수제출

-  제1종 특수면허(구난차) 취득일과 상관없이 운전면허경력, 교통사고, 법규위반 모두 전체경력으로 발급

※ 공고일 이전 발급된 것이나, 조회기간이 ‘전체경력’이 아닌 경우 운전경력 판단 불가로 최하점 처리

※ 음주, 무면허, 뺑소니 등 형사처벌 및 교통법규 위반경력 별도 감점(최근 10년 경력 기준)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0

일반직

기술

의료기술

의료기술

의료기술서기보

9급

1명

심리상담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의료기술 9급

◦ 신임교육생 심층상담 

◦ 신임교육생 종합심리평가

◦ 신임교육생 인성부적격자 선별

◦ 교직원 심리지원 및 교육

1

중앙경찰학교

(학생과)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필요 지식

◦ 상담 또는 임상심리학 등 정신건강 관련 지식

◦ 신임교육생 심리측정(검사) 및 평가 

◦ 신임교육생 상담 및 심리지원 기법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임상심리사 2급 이상 소지한 사람

경력

◦ 임용예정 직급과 같은 직급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임용 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공무원임용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 상당(9급)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학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공공기관 및 상담센터에서 심리상담 관련 경력, 의료기관 등에서 정신건강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상담학, 상담심리학, 임상심리학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관련분야 자격증 소지자(응시요건에 포함 시 해당 자격증 제외 후 상위 1개만 인정)

-  임상심리사(국가기술자격), 정신건강임상심리사‧청소년상담사(국가전문자격) 2급이상,전문상담사(한국상담학회) 2급이상, 상담심리사(한국상담심리학회) 2급이상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1

전문경력관

전문경력관 가군

4·5급 상당

1명

수사연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전문경력관 가군

◦ 경찰수사의 중·장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수사구조개혁 및 형사사법제도 관련 연구

◦ 수사경찰제도 및 수사절차 개선에 관한 연구

◦ 범죄분석 및 범죄수사에 관한 연구

1

경찰대학

(생활안전연구실)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상황인식·판단력, 기획력, 팀워크지향, 의사소통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형법·형사소송법 등 형사법학 전반에 대한 이해

◦ 주요 선진국 비교형사법적 자료수집·분석 능력

◦ 범정부 수사구조개혁과 경찰책임수사 관련 체계적 이해

◦ 수사 이론과 현장 수사실무에 대한 이해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임용예정 직위와 동일하거나 이에 상당하는 직위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임용예정 직위 관련 직무 분야에서 8년 이상 연구 또는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 관련 분야 석사학위 취득 후 2년 이상 관련 분야 근무 또는 연구 경력이 있는 사람

◦ 관련 분야 학사학위 취득 후 4년 이상 관련 분야 근무 또는 연구 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형사법(특히 비교형사법), 수사구조개혁 관련 연구 또는 근무 경력

〔관련분야 학위〕 형사법, 형사정책 또는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2

일반임기제

기술

전산

전산개발

전산주사

6급

1명

품질관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전산 6급

◦ 공공데이터 품질관리체계 수립

◦ 공공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 진단·개선 

◦ 기관 메타데이터 등록·관리 및 현행화

◦ 경찰청 전사메타관리시스템 관리

◦ 공공데이터 개방목록 현행화

◦ 공공데이터 제공 신청, 오류 신고 등 처리

1

경찰청

(정보화장비)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전산시스템 관리·운영, 전략적 사고력, 기술적 전문지식

필요 지식

◦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체계에 대한 이해

◦ 공공데이터 표준, 데이터 구조, 데이터 값, 데이터 관리체계에 대한 이해

◦ 공공데이터 제공 표준에 대한 이해

※ 필수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고,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 ‘필수자격요건’ 및 ‘응시자격요건’을 최종시험예정일까지 각각 충족하여야 함

필수자격요건

◦ 아래 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여야 함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경 력

◦ 5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7급 또는 7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3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 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 관련 분야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3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데이터 관리, 데이터 품질 관련 컨설팅 및 빅데이터 수집・분석・응용・융합 분야 

〔관련분야 학위〕 전산학, 응용소프트웨어공학, 통계학, 컴퓨터공학, 시스템공학, 산업공학, 수학, 경영학, 기타 빅데이터 분석·활용 관련된 학과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필수자격요건 자격증 소지자(필수자격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 1개만 인정)

◦ 데이터 분석 전문가(ADP),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DAP) 자격증 소지자(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3

일반임기제

기술

전산

정보보호

전산주사보

7급

1명

정보보안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전산 7급

◦ 정보보호시스템 운영 관리

◦ 정보보안 감사

◦ 정보시스템 웹 취약점 점검

1

경찰청

(정보화장비)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전산시스템 관리·운영, 계획관리능력

필요 지식

◦ 정보보호시스템 운영, 장애처리 이해

◦ 정보화사업 보안관리 방법

◦ 정보시스템 웹 취약점 점검 방법

※ 필수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고,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 ‘필수자격요건’ 및 ‘응시자격요건’을 최종시험예정일까지 각각 충족하여야 함

필수자격요건

◦ 아래 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여야 함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6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경 력

◦ 3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 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정보보호시스템 운영 및 장애처리, 정보화사업 보안관리 등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정보보호학, 전산학, 전자계산학,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컴퓨터공학, 시스템공학 기타 정보보안학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필수·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4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사무관

5급

1명

양성평등 전문인력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5급

◦ 양성평등 기획 업무 총괄

-  경찰청 성평등정책 계획 수립 및 이행 총괄

-  경찰청 성 주류화 제도 운영

-  유관기관 연계 네트워크 구성 및 정책 추진

-  경찰청 소속기관 성평등 네트워크 구축·운영

1

경찰청

(양성평등)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상황인식‧판단력, 기획력, 팀워크지향, 의사소통능력, 조정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전략적 사고력, 창의력

필요 지식

◦ 성평등정책 및 성 주류화 제도 관련 지식

◦ 유관기관·시민단체 등과 성평등정책 추진 거버넌스 구축·운영 능력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8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6급 또는 6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5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 관련분야 석사학위를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관련분야 학사학위를 취득 후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성평등 증진을 위한 사업 기획·운영, 여성정책(여성 권익 및 인권보호) 등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사회학, 행정학, 사회통계학, 법학, 정책학, 여성학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5- 1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

6급

1명

사이버국제공조
전담번역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6급

◦ ‘사이버국제공조 전담번역사’ 제도 관리 총괄

◦ 사이버분야 국제기구 관련문건의 번역 및 분석
(국제법, 국제기준 및 국내외 법령규정 등)

◦ 국제공조협력업무 관련문건의 번역 및 분석
(공조서류, 증거서류 등)

◦ 외빈 내방 또는 청장‧차장‧본부장‧국장 등 간부급 국내외 행사 ‧ 회의 ‧ 출장 시 통번역 지원

◦ 각종 국영문 문서의 작성 및 번역

1

경찰청

(사이버수사기획)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법률 ‧ IT기술 ‧ 인권 분야 번역지식

◦ 순차통역 지식

◦ 정보통신분야 및 사이버범죄 분야 기초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력

◦ 5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7급 또는 7급 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3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사람

◦ 관련분야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 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동시통역, 순차통역, 법률 ‧ 기술 ‧ 과학 ‧ 경제 ‧ 사회  분야 번역(영문에디터) 관련 경력

※ 근무기간을 산정할 수 없는 단발성 경력, 강의경력, 영어 행사 진행경력, 저술경력, 
통번역이 주요 담당업무가 아닌 경우의 경력은 불인정

〔관련분야 학위〕 ‘한영/영한’ 통번역학 계열, 영문학, 영어교육학 등 영어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통번역대학원(영어)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학위도 중복인정,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5- 2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보

7급

4명

사이버국제공조 전담번역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국제기구, 다자 ‧ 양자간 국제공조협력회의 국 ‧ 영문자료 작성

◦ 국제공조협력업무 관련문건의 번역 및 분석 (공조서류, 증거서류 등)

◦ 외빈 내방 또는 간부급 국내외 행사 ‧ 회의 ‧ 출장 시 통번역 지원

◦  각종 국영문 문서의 작성 및 번역

1

경찰청

(사이버수사기획A)

◦ 국제기구, 다자 ‧ 양자간 국제공조협력회의 국 ‧ 영문자료 작성

◦ 국제공조협력업무 관련문건의 번역 및 분석( 공조서류, 증거서류 등)

◦ 실무급 국제공조협력회의 ‧ 출장 시 통번역 지원

◦ 기타 국내외 문헌 번역 및 요약 등

1

경찰청

(사이버수사기획B)

◦ 국제공조협력업무 관련문건의 번역 및 분석 (공조서류, 증거서류 등)

◦ 실무급 국제공조협력회의 ‧ 출장 시 통번역 지원, 국내외 문헌번역 등

◦ 국제공조협력업무 관련, 경찰관 대상 상담 및 교육

1

서울청

(사이버수사A)

◦ 국제공조협력업무 관련문건의 번역 및 분석 (공조서류, 증거서류 등)

◦ 실무급 국제공조협력회의 ‧ 출장 시 통번역 지원, 국내외 문헌번역 등

◦ 서울청 내 사이버국제공조 주요업무 ‧ 통계취합 및 보고

1

서울청

(사이버수사B)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법률 ‧ IT기술 ‧ 인권 분야 번역지식, 순차통역 지식

◦ 정보통신분야 및 사이버범죄 분야 기초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응시

자격

요건

경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 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 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동시통역, 순차통역, 법률 ‧ 기술 ‧ 과학 ‧ 경제 ‧ 사회  분야 번역(영문에디터) 관련 경력

※ 근무기간을 산정할 수 없는 단발성 경력, 강의경력, 영어 행사 진행경력, 저술경력, 
통번역이 주요 담당업무가 아닌 경우의 경력은 불인정

〔관련분야 학위〕 ‘한영/영한’ 통번역학 계열, 영문학, 영어교육학 등 영어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통번역대학원(영어)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학위도 중복인정,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6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보

7급

1명

치안R&D성과관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기획) 치안R&D 정책 및 사업 기획

◦ (관리)  치안R&D 과제 관리 및 사업단 관리

◦ (성과)  치안R&D 과제 평가 및 성과 활용방안 연구

1

경찰청

(과학치안)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R&D(연구개발) 사업 및 정책 전반에 대한 지식

◦ 과학기술 분야 전반에 대한 지식

◦ 과학기술 분야 관련 법령에 대한 지식

◦ R&D 분야 성과관리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연구개발 전문기관·연구기관·사업단 등 연구개발과 관련된 관리·운영 경력

〔관련분야 학위〕 경영, 행정, 기술경영, 산업경영, 과학기술학 외 이공계 전 분야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7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보

7급

2명

채용업무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경찰청 채용 업무(시험 진행, 관리, 민원처리 등)

◦ 출제·채용 관련 DB정리 및 통계관리

◦ 채용 관련 커뮤니티 및 타부처 주요시험 모니터링

1

경찰청

(교육정책담당관실A)

1

경찰청

(교육정책담당관실B)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채용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 DB, 통계 관련 지식

◦ 기타 행정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인사 및 채용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행정, 경찰학, 법학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8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보

7급

2명

역량기반 교육훈련 체계 구축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경찰교육훈련체계 전반을 ‘역량기반 교육’으로 재편

-  경찰교육기관 교육과정, 사이버콘텐츠, OJT 등 경찰교육훈련체계 분석, 역량중심으로 전환

-  특정 역량에 대한 교육과정 부족 시 신규교육 개발 

-  역량진단 도구 개발·활용

◦ 역량 중심 경찰교육훈련 기본계획 수립 체계 구축 

1

경찰청

(교육정책담당관실A)

1

경찰청

(교육정책담당관실B)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인적자원개발(HRD), 교육과정 개발 관련 전문지식

◦ 행정학·교육학에 대한 이해

◦ 공무원 인재개발 관련 법령에 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인적자원개발(HRD) 분야 기획·교육과정 개발 등 관련 경력(채용분야 제외)

〔관련분야 학위〕인적자원개발(HRD), 교육공학, 교육과정·교수방법, 교육심리학 등 교육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9- 1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

6급

1명

시민청문관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6급

◦ 부패 취약요소 진단 및 개선

◦ 조직 내부 맞춤형 청렴교육

◦ 내부비리 신고 접수 및 신고자 보호

◦ 반부패협의회 운영지원

1

경찰청

(감사담당관실)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청렴·반부패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 행정학, 부패학 등 관련 법률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변호사 자격증 소지한 사람

(변호사법 제4조에 따른 변호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

경력

◦ 5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7급 또는 7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관련분야 학사학위를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3년 이상 관련분야 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감사부서(청렴‧반부패 등), 행정, 법무, 조직, 교육, 회계 관련 경력

-  국가 및 자치단체 공무원(경찰공무원 경력은 제외), 공공기관, 교육기관, 법인, 비영리민간단체, 외국 정부기관, 국제기구‧단체 활동 경력

〔관련분야 학위〕 법학, 행정학, 경찰학, 범죄학 또는 이와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변호사, 공인회계사, 청렴교육전문강사(국민권익위원회) 자격증 소지자(1개만 인정, 변호사 자격증은 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경우 제외)

◦ 반부패·청렴 유공으로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 수여받은 표창(상훈) (1개만 인정)

※ 공공기관 범위 :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alio.go.kr)에서 지정된 공공기관 

◦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부패행위·공익침해행위 신고자로 인정받은 경우(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9- 2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보

7급

3명

시민청문관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부패 취약요소 진단 및 개선

◦ 조직 내부 맞춤형 청렴교육

◦ 내부비리 신고 접수 및 신고자 보호

◦ 청렴협의체 운영

1

대구청

(청문감사담당관실)

1

충북청

(청문감사담당관실)

1

제주청

(청문감사담당관실)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청렴‧반부패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 행정학, 부패학 등 관련 법률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감사부서(청렴‧반부패 등), 행정, 법무, 조직, 교육, 회계 관련 경력

-  국가 및 자치단체 공무원(경찰공무원 경력은 제외), 공공기관, 교육기관, 법인, 비영리민간단체, 외국 정부기관, 국제기구‧단체 활동 경력

〔관련분야 학위〕 법학, 행정학, 경찰학, 범죄학 또는 이와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변호사, 공인회계사, 청렴교육전문강사(국민권익위원회) 자격증 소지자(1개만 인정)

◦ 반부패·청렴 유공으로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 수여받은 표창(상훈) (1개만 인정)

※ 공공기관 범위 :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alio.go.kr)에서 지정된 공공기관 

◦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부패행위·공익침해행위 신고자로 인정받은 경우(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19- 3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서기

8급

84명

시민청문관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8급

◦ 부패 취약요소 진단 및 개선

◦ 조직 내부 맞춤형 청렴교육

◦ 내부비리 신고 접수 및 신고자 보호

◦ 반부패·청렴정책 홍보

84

각 시도경찰청 소속 경찰서 

서울 15

부산 11

대구 8

인천 7

광주 3

대전 2

울산 1

세종 1

경기남부 18

경기북부 3

충북 3

충남 2

전북 2

경북 3

경남 2

제주 3

※ 각 시도경찰청별 근무예정 경찰서 세부 모집현황은 다음페이지 참조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필요 지식

◦ 청렴‧반부패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 행정학, 부패학 등 관련 법률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력

◦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분야 전문대학 이상 졸업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감사부서(청렴‧반부패 등), 행정, 법무, 조직, 교육, 회계 관련 경력

-  국가 및 자치단체 공무원(경찰공무원 경력은 제외), 공공기관, 교육기관, 법인, 비영리민간단체, 외국 정부기관, 국제기구‧단체 활동 경력

〔관련분야 학위〕 법학, 행정학, 경찰학, 범죄학 또는 이와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변호사, 공인회계사, 청렴교육전문강사(국민권익위원회) 자격증 소지자(1개만 인정)

◦ 반부패·청렴 유공으로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 수여받은 표창(상훈) (1개만 인정)

※ 공공기관 범위 :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alio.go.kr)에서 지정된 공공기관 

◦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부패행위·공익침해행위 신고자로 인정받은 경우(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각 시도경찰청별 근무예정 경찰서 세부 모집현황

시도청

인원

관서명(경찰서)

서울

15

중부・남대문・서대문・성북・마포・성동・동작・광진・금천・종암・양천・노원・방배・은평・도봉서 각 1

부산

11

중부・동래・영도・동부・서부・사상・금정・사하・연제・강서・북부서 각 1

대구

8

중부・동부・서부・남부・수성・달서・달성・강북서 각 1

인천

7

미추홀・남동・부평・삼산・서부・계양・연수서 각 1

광주

3

동부・남부・북부서 각 1

대전

2

대덕・유성서 각 1

울산

1

울주서

세종

1

세종남부서

경기남부

18

수원서부・성남수정・군포・부천소사・부천원미・부천오정・광명・안산단원・안산상록시흥・화성서부・화성동탄・안양동안・안양만안・용인서부・광주・김포・하남서 각 1

경기북부

3

고양・일산동부・파주서 각 1

충북

3

청주청원・청주흥덕・청주상당서 각 1

충남

2

천안동남・아산서 각 1

전북

2

군산・익산서 각 1

경북

3

구미・경산・안동서 각 1

경남

2

김해중부・양산서 각 1

제주

3

동부・서부・서귀포서 각 1

총계

84


- 19 -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0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보

7급

1명

 피해자 심리상담 지원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조직 내 성희롱 · 성폭력 피해자 심리지원 업무

◦ 조직 내 성희롱 · 성폭력 피해자 상담(출장·전화·대면 등), 피해자 보호 및 지원 업무

◦ 조직 내 성희롱·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발굴 및 지원기관 연계 활동

◦ 조직 내 성희롱·성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대내·외 교육 및 홍보 업무

1

경찰청

(인권보호 인권조사)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심리학 관련 기본 지식(범죄심리, 임상심리, 상담심리 등)

◦ 범죄피해자 심리측정(검사) 및 평가

◦ 범죄피해자 상담 및 회복지원 기법

◦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법제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에서 심리상담 관련 경력

-  기관‧단체 등에서 기획 · 행정업무가 아닌 실제 심리 분석, 상담 활동을 한 경력만 인정

〔관련분야 학위〕 심리학 또는 이와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임상심리사(국가기술자격), 정신건강임상심리사(국가전문자격), 범죄심리사(한국심리학회), 상담심리사(한국상담심리학회)소지자(급수별 차등배점, 상위자격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1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보

7급

1명

인권침해사건 조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인권침해(갑질 포함) 사건 상담·조사

-  사건 발생 시 피해 조사와 피해 구제, 사후 조

-  판례 및 유사 사례의 분석 

1

경찰청

(인권보호 인권조사)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헌법, 형법, 양성평등기본법 등 각종 법령 관련 지식

◦ 인권과 갑질, 경찰행정에 관한 지식 및 각종 법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 사건 조사에 관한 기법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인권, 법무, 양성평등, 감사, 감찰, 수사, 조사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법학, 행정학, 사회학, 정책학, 교육학, 사회통계학 등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2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서기

8급

20명

시민인권보호관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8급

◦ 인권 관련 민원상담 및 고충 처리

◦ 경찰 내 인권침해 요인 점검

20

각 시도경찰청 청문감사인권담당관실

서울청 1

서울(영등포서)1

서울(동대문서) 1

부산청 1

대구청 1

인천청 1

광주청 1

대전청 1

울산청 1

세종청 1

경기남부청 1

경기북부청 1

강원청 1

충북청 1

충남청 1

전북청 1

전남청 1

경북청 1

경남청 1

제주청 1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필요 지식

◦ 헌법과 경찰 관련 법규에 관한 지식

◦ 행정조직 이론에 관한 지식

◦ 인권과 민주주의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2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전문대학 이상 졸업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감사부서(청렴‧반부패 등), 행정, 법무, 조직, 교육, 회계 관련 경력

-  국가 및 자치단체 공무원(경찰공무원 경력은 제외), 공공기관, 교육기관, 법인, 비영리민간단체, 외국 정부기관, 국제기구‧단체 활동 경력

〔관련분야 학위〕 법학, 행정학, 경찰학, 범죄학 또는 이와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3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서기

8급

12명

광역피해자 심리지원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8급

◦ 광역피해자 심리지원

-  각 시도경찰청 청문감사인권담당관실케어센터 배치, 피해자 상담·보호 및 지원

-  유관기관, 단체 대외협력 및 피해자 연계 활동

-  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대내외 교육 및 홍보

-  기타 피해자보호 관련 행정업무 지원

12

시도경찰청 청문감사인권담당관실

서울 4

서초 케어센터A 1

서초 케어센터B 1

강서 케어센터A 1

강서 케어센터B 1  

부산 2 

부산청 A 1

부산청 B 1

인천 2 

인천청 A 1

인천청 B 1

경기남부 4 

목감 케어센터A 1

목감 케어센터B 1

단월 케어센터A 1

단월 케어센터B 1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필요 지식

◦ 심리학 관련 기본 지식(범죄심리, 임상심리, 상담심리 등)

◦ 범죄피해자 심리측정(검사) 및 평가

◦ 범죄피해자 상담 및 회복지원 기법

◦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법제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전문대학 이상 졸업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에서 심리상담 관련 경력

-  기획, 행정업무가 아닌 실제 심리분석, 상담 활동한 경력만 인정

〔관련분야 학위〕 심리학 또는 이와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4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서기

8급

13명

182상담요원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8급

◦ 182경찰민원콜센터 민원 상담 (※ 교대근무)

-  경찰관련 일반 민원전화 상담 및 안내

-  민원 응대 및 콜백 관리

13

경찰청

(혁신기획조정)

※ 182경찰민원콜센터 근무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필요 지식

◦전화 상담업무에 적합한 음성 연출 및 서비스 마인드 지식

◦고객만족과 전화 상담에 관한 실무 이론 지식

◦컴퓨터 활용 능력 및 콜센터 시스템의 이해

◦고객 불만 처리 및 VOC 운영 실무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공공・민간부문 콜센터(고객센터) 등 민원상담 관련 경력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콜센터 관련 자격증

-  텔레마케팅관리사/소비자전문상담사1·2급(국가기술자격), CS Leaders 관리사(공인민간자격) 중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5- 1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

6급

1명

패널연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6급

◦ 패널연구 조사 및 문항설계

-  패널조사 기획, 기초연구 설계

-  조사문항 척도개발 및 이론·개념정리

-  빅데이터 활용방안 및 데이터 활용규칙 계획수립·시행

◦ 패널데이터 분석 및 연구결과 도출

-  데이터 분석 및 연구결과물(책임보고서, 소논문, 현안과제 등) 도출

-  정책제안서 작성 및 국관 기초자료 제공

1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데이터 분석 관련 지식(SPSS·STATA·R·Python 등)

◦ 사회조사방법론 및 패널연구 등 종단연구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

◦ 경찰분야에 대한 전문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5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7급 또는 7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관련분야 학사학위를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3년 이상 관련분야 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패널연구 기획, 패널 조사자료 설계 및 분석, 문항 척도개발 등 패널연구 관련 분야

-  국가 및 자치단체, 공공기관, 경찰/법무 관련 연구소 근무 경력

〔관련분야 학위〕 경찰학, 범죄학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관련분야 연구논문 실적(최근 5년이내(‘17.1.1.이후)에 KCI, SCI, SCIE, SSCI, A&HCI, SCOPUS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 한함, 최대 5편)

※ 주저자·교신저자·저서 포함, KCI등재후보지·학위논문‧용역실적 제외

◦ 사회조사분석사 1·2급(국가자격), 데이터분석전문가・준전문가 자격증 소지자(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5- 2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보

7급

1명

패널연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패널연구 기초 데이터 통계분석 

◦ 패널연구 연구 결과물 도출

◦ 패널연구 홍보업무 및 기타 행정업무

-  타기관 네트워크 공유 및 학회교류, 자문회의 개최

-  패널연구 홍보물(카드뉴스) 제작

1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데이터 분석 관련 지식(SPSS·STATA·R·Python 등)

◦ 사회조사방법론 및 패널연구 등 종단연구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

◦ 경찰분야에 대한 전문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패널 조사 및 기초통계 분석 등 패널연구 및 일반연구 관련 분야

-  국가 및 자치단체, 공공기관, 경찰/법무 관련 연구소 근무 경력

〔관련분야 학위〕 경찰학, 범죄학, 행정학, 통계학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관련분야 연구논문 실적(최근 5년이내(‘17.1.1.이후)에 KCI, SCI, SCIE, SSCI, A&HCI, SCOPUS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 한함, 최대 5편)

※ 주저자·교신저자·저서 포함, KCI등재후보지·학위논문‧용역실적 제외

◦ 사회조사분석사 1·2급(국가자격), 데이터분석전문가・준전문가 자격증 소지자(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6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보

7급

1명

스마트치안지능센터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경찰데이터 분석 연구 및 기술 개발

◦ R&D 등 개발 사업 지원

1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데이터 분석 및 연구에 대한 이해 

◦ 데이터 처리의 법률·제도에 대한 이해

◦ 개인정보보호법과 데이터 비식별화에 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데이터 분석 또는 시스템 개발 지원 업무 경력

〔관련분야 학위〕 통계학, 범죄, 심리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7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보

7급

1명

비교경찰연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선진국 경찰제도, 정책, 사례 등 비교연구

◦ 현안과제 수행(경찰청 요청과제)

◦ 번역과제 수행(경찰관련 신간 외국문헌)

◦ 국제교류 추진

1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전문 어학자격(관련 언어의 독해, 번역 등 구사능력)

◦ 경찰관련 학·경력 (법학, 경찰학, 범죄학, 형사정책학)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국가, 지자체, 연구기관, 기업체 등에서 임용분야 주요업무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경력

〔관련분야 학위〕 법학, 경찰학, 범죄학, 형사정책학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영어·불어·독어 어학능력시험 중 아래 기준점수에 1개 이상 해당되는 자

※ 최종합격자 발표일기준 최근 2년 이내 국내에서 실시된 시험으로서, 원서접수 마감일까지 점수(등급)가 발표된 어학성적에 한하여 1건만 인정

영어

TOEIC 790점, TOEFL(PBT) 567점, TOEFL(IBT) 86점, TEPS 385점, FLEX 700점, G- TELP 77점(level 2) 이상

불어

DELE B2, FLEX 750점, SNULT 60점 이상

독어

GZ B2, FLEX 750점, SNULT 60점, TestDaF 수준3 이상

◦ 경찰 관련(법학·경찰학·범죄학·형사정책학) 연구논문실적(최근 5년이내(‘17.1.1.이후) KCI, SCI, SCIE, SSCI, A&HCI, SCOPUS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 한함, 최대 5편)

※ 주저자, 교신저자, 저서 포함, KCI등재후보지·학위논문‧용역실적 제외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8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주사보

7급

1명

치안 ODA 연수운영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신북방 및 우즈베키스탄 국제교류 관련 업무 전담

◦ 영어권 및 러시아어권 통·번역

◦ 신북방 및 우즈베키스탄 지역 자료수집, D/B관리 및 인적네트워크 구축

◦ 경찰대학 예방 외빈 통역 및 의전

◦ 기타 신북방 및 러시아권 국제교류 자문 및 협조

1

경찰대학

(기획협력)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국제교류, 국제개발협력 분야에 대한 이해도

◦ 신북방 및 러시아권 문화에 대한 이해도 및 관련 지식

◦ 치안한류를 바탕으로 한 신북방 및 우즈베크어 통·번역 능력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응시

자격

요건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국가·지자체·공공기관·기업·법인 등에서 우즈베크어·러시아어 통·번역, 국제교류, 국제통상, 국제협력 분야 근무 경력

※ 근무기간을 산정할 수 없는 단발성 경력, 강의경력, 국제행사 진행경력, 저술경력, 
통번역이 주요 담당업무가 아닌 경우의 경력은 불인정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영어능력검정시험 성적이 아래 기준점수 이상인 자

※ 최종합격자 발표일기준 최근 2년 이내 국내에서 실시된 시험으로서, 원서접수 마감일까지 점수(등급)가 발표된 어학성적에 한하여 1건만 인정

구분

텝스

(TEPS)

토익

(TOEIC)

토플(TOEFL)

지텔프

(G- TELP)

플렉스

(FLEX)

(PBT)

(IBT)

점수

385점이상

790점이상

567점이상

86점 이상

Level 2

(77점 이상)

700점이상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9- 1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서기

8급

1명

경찰대학 연구원 통합지원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8급

◦ 학술연구자료 DB 구축 및 관리

◦ 학술세미나 개최 준비 및 지원

◦ 기타 행정서류 작성 등 행정 업무

1

경찰대학

(교무과)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필요 지식

◦ 학술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 연구과제 수행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및 이해

◦ 한글·한셀·한쇼 등 문서, 통계 자료, 발표자료 작성에 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전문대학 이상 졸업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통계, 행정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경찰행정, 통계, 행정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 20 -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9- 2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서기

8급

1명

경찰대학 연구원 통합지원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8급

◦ 학술세미나 자료 발간

◦ 학술세미나 개최 준비 및 지원

◦ 기타 행정서류 작성 등 행정 업무

1

경찰대학

(교무과)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필요 지식

◦ 학술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 연구과제 수행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및 이해

◦ 한글·한셀·한쇼 등 문서, 통계 자료, 발표자료 작성에 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전문대학 이상 졸업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기록물 관리 및 행정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경찰행정학, 문헌정보학, 법학, 행정학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 21 -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29- 3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서기

8급

1명

경찰대학 연구원 통합지원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8급

◦ 외국자료 번역, 타 연구기관과의 MOU 체결

◦ 학술세미나 개최 준비 및 지원

◦ 기타 행정서류 작성 등 행정 업무 

1

경찰대학

(교무과)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필요 지식

◦ 학술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 연구과제 수행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및 이해

◦ 한글·한셀·한쇼 등 문서, 통계 자료, 발표자료 작성에 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전문대학 이상 졸업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영어번역(법학, 행정학, 범죄심리 등) 업무 경력

〔관련분야 학위〕 영어영문학, 영어교육학 등 영어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 영어능력검정시험 성적이 아래 기준점수 이상인 자

※ 최종합격자 발표일기준 최근 2년 이내 국내에서 실시된 시험으로서, 원서접수 마감일까지 점수(등급)가 발표된 어학성적에 한하여 1건만 인정

구분

텝스

(TEPS)

토익

(TOEIC)

토플(TOEFL)

지텔프

(G- TELP)

플렉스

(FLEX)

(PBT)

(IBT)

점수

340점이상

700점이상

530점이상

71점 이상

Level 2

(65점 이상)

625점이상


가산요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 22 -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30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서기

8급

7명

경찰수련원 유지보수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8급

◦ 경찰수련원 운영 및 시설관리(※ 교대근무)

-  수련원 이용 안내 및 예약관리, 객실정비 관리

-  수련원 대외 행정업무 처리, 청소용역인력 관리

-  수련원 예산 집행 및 워크숍 관리

-  월별 운영현황 정리 등 일반행정업무 지원

7

인천청 1

(강화서)

강원청 1

(강릉서)

충남청 1

(보령서)

전북청 1

(부안서)

전남청 1

(진도서)

경남청 1

(통영서)

제주청 1

(경무기획)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필요 지식

◦ 기획·행정, 예산 및 회계업무 관련 지식

◦ 전산(워드, 엑셀 등) 활용 관련 지식

◦ 숙박시설 운영・관리 전반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전문대학 이상 졸업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기획, 행정,  경리, 회계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관광, 회계, 경영, 정보처리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 학위 1개 인정)

◦ 호텔경영사, 호텔관리사 자격증(국가전문자격)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31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서기보

9급

8명

언론 모니터링 및 이슈대응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9급

◦온라인 이슈에 관한 모니터링 및 소통·대응에 관한 업무

◦온라인상의 허위·조작정보 대응 업무

◦기타 정책홍보 관련 업무

8

각 청 홍보담당

경찰청 1

서울청 1

부산청 1

대구청 1

광주청 1

경기남부청 1

경기북부청 1

제주청 1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필요 지식

◦ 공공PR 및 뉴미디어 이론에 관한 지식

◦ 미디어 관련 법과 윤리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신문, 방송, 통신, 기획 등 홍보실무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신문방송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언론정보학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 23 -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32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일반행정

행정서기보

9급

31명

공익신고 영상 분석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9급

◦ 교통법규위반 공익신고 영상분석 접수·처리

-  교통법규 위반자에 대한 범칙금·과태료 등 처분

-  교통법규 위반 관련 민원 응대 등

31

서울청 8

(마포서, 강남서, 성동서, 동작서, 구로서, 동대문서, 금천서, 서대문서 각 1)

부산청 2

(강서서, 남부서 각 1)

대구청 3

(수성서, 동부서, 중부서 각 1)

인천청 2

(논현서, 중부서 각 1)

광주청 2

(광산서, 북부서 각 1)

대전청 3

(둔산서A, 둔산서B, 서부서 각 1)

경기남부청 5

(용인서부서, 화성서부서, 안산단원서, 

수원서부서, 오산서 각 1)

경기북부청 2

(일산동부서, 구리서 각 1)

충남청(천안서북서) 1

전남청(여수서) 1

경남청(양산서) 1

제주청(제주동부서) 1

※ 각 시도경찰청별 소속 경찰서에서 근무예정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필요 지식

◦ 도로교통법, 자동차관리법 등 교통 관련 법률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에 해당되는 자 

응시

자격

요건

경 력

◦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정부, 공공, 민간 등에 소속되어 영상편집 · 분석 또는 행정업무 경력

〔관련분야 학위〕 경찰행정학, 행정학, 법학 또는 이와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33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법무행정

행정주사

6급

6명

국가·행정소송, 법률자문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6급

◦ 국가(행정) 소송수행 등 관련 업무

-  소송 등 불복대응지도·관리 및 직접 수행

-  판례 및 유사 사례의 분석

-  각종 경찰업무 법률 자문

◦ 현장 경찰관 법률 분쟁 지원 및 손실보상심의 안건 검토

◦ 기타 경찰 관련 법령의 해석에 관한 업무

6

각 청 경무기획

서울청 1

경기남부청 1

강원청 1

충남청 1

전남청 1

제주청 1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필요 지식

◦ 각종 법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 행정법, 민법, 형법 관련 법률 지식

◦ 쟁송의 근거가 되는 법령 및 절차, 경찰행정 관련 제(諸) 법령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변호사 자격증 소지한 사람

(변호사법 제4조에 따른 변호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

경 력

◦ 5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7급 또는 7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관련분야 학사학위를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3년 이상 관련분야 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소송 및 행정심판 관련 업무수행, 법률자문·검토 및 입법지원 등 법률사무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법학 또는 이와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1개만 인정)

◦ 변호사 자격증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경우 제외)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34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법무행정

행정주사

6급

1명

인권영향평가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6급

◦ 인권영향평가제 시행 및 제도 정비

◦ 평가와 관련한 시행규칙 및 매뉴얼 제작 

◦ 인권영향평가제 평가 안건 검토 등

1

경찰청

(인권보호)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필요 지식

◦ 헌법과 경찰 관련 법규에 관한 지식

◦ 행정조직 이론에 관한 지식

◦ 인권과 민주주의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5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7급 또는 7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관련분야 학사학위를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3년 이상 관련분야 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법률 자문·검토 및 입법 지원 등 법률 사무, 인권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법학 (인권법, 헌법, 형사법) 또는 이와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변호사 자격증 소지자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35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고용노동

행정주사

6급

9명

노무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6급

◦ 경찰청 소속 노조와의 교섭・쟁의조정 등 노사업무

◦ 경찰청 소속 노사협의회 및 직장협의회 운영지원 업무

◦ 노동법 관련 자문・교육・법적분쟁 등 노무업무

9

각 시도경찰청 경무기획

경찰청 1

서울청 1

부산청 1

인천청 1

광주청 1

대전청 1

경기남부청 1

경기북부청 1

경북청 1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필요 지식

◦ 노무 관련 법규에 대한 지식, 협상 방법・교섭단 구성에 대한 지식

◦ 노사관계 개선 방안 및 활동 사례에 대한 지식, 고충처리 규정 등

◦ 임금관리 및 재무회계에 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에 해당되는 자 

응시

자격

요건

자격증

◦ 공인노무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3년 이상 관련 분야에서 연구 또는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공인노무사법 제3조에 따른 공인노무사 자격증)

관련분야 경력〕 노무법인(법무법인 등)・공공기관・기업 등에서의 노무업무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법학, 경영학, 경제학 등 노무 관련 계열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 24 -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36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고용노동

행정주사보

7급

1명

청원경찰 민원담당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청원경찰 법제업무 및 송무업무 지원

◦ 청원경찰 관련 민원업무 처리

-  민원업무 관련 대응지침 수립 및 실무교육 

-  청원경찰 민원업무 처리결과 정리 및 자료화 

-  「청원경찰법령 자주 묻는 질의응답」 개정 

-  기타 청원경찰 민원 관련 업무전반 등

1

경찰청

(대테러)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집행관리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근로기준법·최저임금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 등 노동관계법령 이해

◦ 송무업무 이해

◦ 민원처리 절차 및 민원응대 매뉴얼, 고객 심리상담 관련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노무법인(법무법인 등)・공공기관・기업 등에서의 노무업무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법학, 경영학, 경제학 등 노무 관련 계열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공인노무사 자격증 소지자(공인노무사법 제3조에 따른 공인노무사 자격증)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37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행정

회계

행정주사보

7급

1명

국민참여예산 관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7급

◦ 국민참여예산의 편성·환류 등의 체계적 관리

◦ 예산성과금 사례발굴 및 우수 직원 사기진작

◦ 예산편성을 위한 세입·국회지적사항·시도청 자료 등 각종 통계자료의 체계적 관리

1

경찰청

(재정)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분석력, 회계지식, 예산수립능력

필요 지식

◦ 회계·재무관리 관련 지식

◦ 국가 재정 운영 관련 지식

◦ 통계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엑셀 등) 관련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 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국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에서 회계, 재무관리 등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재정학, 재무학, 회계학, 경제학 등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전산세무1·2급, 전산회계1급(민간공인: 한국세무사회) 자격증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38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행정

통계

통계

통계사무관

5급

1명

데이터기반행정 추진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통계 5급

◦ 데이터 분석활용 및 공동활용, 전문인력 양성 등

◦ 치안데이터를 활용한 분석과제 발굴·개발

1

경찰청

(치안빅데이터)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상황인식‧판단력, 기획력, 팀워크지향, 의사소통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숙련된 데이터 분석 패키지 활용 능력(R·Python)

◦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및 표준분석 모델 개발에 대한 전문지식

◦ 머신러닝, 딥러닝 관련 개발경험 및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8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6급 또는 6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5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 관련분야 석사학위를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관련분야 학사학위를 취득 후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활용(R·Python 등), 정형·비정형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 등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통계학, 전산학, 컴퓨터공학,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시스템공학, 산업공학, 기타 데이터 분석·활용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39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공업

전기

공업주사

6급

1명

검거장비 개발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공업 6급

◦ 전자충격 다단봉·장갑 등 검거지원장비 개발 

◦ 적정 물리력의 대체총기 안전성 검사 및 현장실증 

◦ 차량·드론 등 경찰장비 첨단화 연구개발(R&D)

1

경찰청

(장비)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집행관리능력, 전문성, 정보관리능력

필요 지식

◦전기·전자의 구성 및 원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물리력에 대한 이해도 및 관련 법률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5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7급 또는 7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관련분야 학사학위를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3년 이상 관련분야 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공공기관·연구기관(국가, 군사기관), 방위산업체 등에서 총기·무기 분야 경력

〔관련분야 학위〕 전기, 전자, 기계·금속, 총포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아래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기술사

전기안전, 전기응용, 산업계측제어, 전자응용, 컴퓨터시스템응용

기능장

전기, 전자기기

기사

전기, 전기공사, 메카트로닉스, 전자, 전자계산기, 반도체설계,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산업기사

전기, 전기공사, 생산자동화, 전자, 전자계산기제어, 반도체설계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40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공업

화공

공업주사보

7급

29명

화생방 및 WMD 안전 요원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공업 7급

◦ 화생방테러 의심신고 출동 및 현장대응

◦ 경찰특공대 보유 화생방 장비·물자 관리

◦ 화생방테러 교육·훈련 등 전문강사 업무

29

각 시도경찰청 경찰특공대

서울청 16

부산청 1

대구청 1

인천청 1

광주청 1

대전청 1

세종청 1

경기북부청 1

충남청 1

전북청 1

전남청 1

경북청 1

경남청 1

제주청 1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집행관리능력, 전문성, 정보관리능력

필요 지식

◦ 화학, 생물, 방사능 관련 전문 지식

◦ 테러방지법 관련 법률 지식

◦ 화생방 특수장비 관리 등 유지보수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화공, 화공안전, 가스

기능장

위험물, 가스

◦ 아래 자격증 소지 후 3년 이상 관련분야 근무 또는 연구경력이 있는 사람

기사

화약류제조, 화공, 산업안전, 가스, 화학분석

◦ 아래 자격증 소지 후 6년 이상 관련분야 근무 또는 연구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화약류제조, 위험물, 산업안전, 가스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화생방 테러·사고·재난 대응 관련 기관에서 현장대응 및 특수장비 관리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화학공학, 공업화학, 화학, 농화학, 환경공학, 환경화학, 보건학, 환경보건, 
방사선학, 방사선과학, 방사선안전공학, 원자력공학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41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공업

일반기계

공업서기

8급

3명

경찰수련원 유지보수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공업 8급

◦ 경찰수련원 운영 및 시설관리 (※ 교대근무)

-  수련원 이용 안내 및 예약관리, 객실정비 관리

-  수련원 시설 유지·보수 등 시설물 관리

-  수련원 비품관리 및 청사시설 보안관리

-  월별 운영현황 정리 등 기술행정업무 지원

3

강원청(강릉서) 1

경북청(영덕서A) 1

경북청(영덕서B) 1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유연한 사고, 기술적 전문지식, 즉각적 대응

필요 지식

◦ 기계, 전기, 소방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 지식

◦ 청사 시설공사 관련 기술 및 법률 지식

◦ 긴급상황 발생 시 응급조치 및 복구방법에 대한 이해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기계, 공조냉동기계, 건설기계, 용접, 산업기계설비, 기계안전, 소방

기능장

기계가공, 에너지관리, 철도차량정비, 자동차정비, 건설기계정비, 용접, 금형제작, 판금제관, 배관

기사

일반기계, 메카트로닉스, 공조냉동기계, 건설기계설비, 기계설계, 용접, 에너지관리, 산업안전, 승강기, 소방설비(기계분야)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컴퓨터응용가공, 기계가공조립, 기계설계, 공조냉동기계, 건설기계설비, 정밀측정, 용접, 기계정비, 배관, 에너지관리, 산업안전, 승강기, 소방설비(기계분야)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4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 연삭, 컴퓨터응용밀링, 기계가공조립, 전산응용기계제도, 공유압, 공조냉동기계, 에너지관리, 정밀측정, 특수용접, 기계정비, 배관, 승강기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일반기계분야) 후 2년 이상 관련분야 근무 또는 연구경력이 있는 사람

경 력

◦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전문대학 이상 졸업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공공기관 및 지자체 수련시설의 시설 분야, 관광진흥법상 관광숙박업 또는 관광객 이용시설 분야 건축, 시설장비설치 및 유지관리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정밀기계, 기계, 기계설계, 제어계측, 우주항공, 조선공학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42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공업

전기

공업서기

8급

1명

교육동 증축 사업관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공업 8급

◦ 전기공사 설계 및 공사업무 수행

◦ 청사 시설관리 등 기술행정 업무

1

수사연수원

(운영지원)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기술적 전문지식, 분석력, 통계적 분석능력

필요 지식

◦ 전기안전관리법 관련 기술 및 법률 지식

◦ 전기공사 감독에 관한 지식

◦ 기타 건축 관련 분야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전기안전, 전기응용

기능장

전기

기사

전기, 전기공사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전기, 전기공사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4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능사

전기

경 력

◦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전문대학 이상 졸업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전기설계, 전기감리, 전기시공, 전기설비유지・관리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전기공학(전기과 포함), 전자・전기학, 전기・전자공학, 전기제어공학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43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항공

일반항공

항공주사보

7급

1명

항공안전관리시스템 담당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항공 7급

◦ 경찰항공 조종‧정비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운영

◦ 안전정책 수립·방향설정

◦ 안전위험관리 요인별 분석 및 절차수립

◦ 기타 항공안전에 관련된 제반업무 등

1

경찰청

(항공과)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필요 지식

◦ 항공안전법에 관한 지식

◦ 항공안전관리 시스템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지식

◦ 헬기 조종사·정비사의 심리와 문화에 대한 이해

※ 필수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고,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 ‘필수자격요건’ 및 ‘응시자격요건’을 최종시험예정일까지 각각 충족하여야 함

필수자격요건

◦ 아래 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여야 함

기술사

항공기관, 항공기체

기사

항공

기타

운송용조종사, 사업용조종사, 항공사, 항공기관사, 항공교통관제사, 항공정비사, 항공공장정비사, 운항관리사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항공기관, 항공기체

기타

운송용조종사, 사업용조종사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사

항공

기타

자가용조종사, 항공사, 항공기관사, 항공교통관제사, 항공정비사, 항공공장정비사, 운항관리사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6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항공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항공관련 조종·정비·운항·관제·안전분야 근무경력, 항공기 사고조사 및 분석경력

〔관련분야 학위〕 항공안전관리학, 항공경영학, 항공운항학, 항공정비학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항공 교통안전관리자 자격증(국가전문자격) 소지자

◦ 필수·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필수·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44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시설

건축

시설주사보

7급

1명

기동대 청사 리모델링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시설 7급

◦ 경찰관기동대 청사 리모델링 관련 

-  설계검토, 적정 시설규모 및 소요예산 산출 

-  기타 공사 관리·감독, 행정(예산) 업무 등

1

경찰청

(경비과)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집행관리능력, 전문성, 조정능력

필요 지식

◦ 건축, 토목, 설비 등 공사 설계 내역, 원가계산 내역 검토 업무 관련 지식

◦ 건축시공, 건축구조, 건축설비 등 건축분야 제반 지식

◦ 건설산업기본법, 국유재산법, 건축법 등 관련 법령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건축전기설비, 건축구조, 건축기계설비, 건축시공, 건축품질시험, 건설안전

기능장

건축일반시공, 건축목재시공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사

건축설비, 건축, 실내건축, 건설안전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6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건축설비, 건축일반시공, 건축, 건축목공, 방수, 실내건축, 건설안전

기타

문화재수리기술자(보수기술자) 

경 력

◦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또는 기업체에서 건축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건축, 도시, 조경 등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45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시설

건축

시설서기

8급

5명

경찰수련원 

유지보수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시설 8급

◦ 경찰수련원 운영 및 시설관리 (※ 교대근무)

-  수련원 이용 안내 및 예약관리, 객실정비 관리

-  수련원 시설 유지ㆍ보수 등 시설물 관리

-  수련원 비품관리 및 청사시설 보안관리

-  월별 운영현황 정리 등 기술행정업무 지원

5

인천청 1

(강화서)

충남청 1

(보령서)

전북청 1

(부안서)

전남청 1

(진도서)

제주청 1

(경무기획)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기술적 전문지식, 계획관리능력, 추진력

필요 지식

◦ 건축 및 시설공사 관련 기술지식 및 법률지식

◦ 건축 공사감독(감리)에 관한 지식

◦ 기타 건축(계획, 설계, 시공, 적산, 구조, 설비, 재료 등) 분야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건축전기설비, 건축구조, 건축기계설비, 건축시공, 건축품질시험, 건설안전, 소방

기능장

건축일반시공, 건축목재시공

기사

건축설비, 건축, 실내건축, 건설안전, 소방설비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건축설비, 건축일반시공, 건축, 건축목공, 방수, 실내건축, 건설안전, 소방설비

기 타

문화재수리기술자(보수기술자)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4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 타일, 미장, 조적, 온수온돌, 유리시공, 비계, 건축목공, 거푸집, 금속재창호, 건축도장, 철근, 방수, 실내건축, 플라스틱창호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자(건축분야) 후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경력

◦ 2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분야 전문대학 이상 졸업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공공기관 및 지자체 수련시설, 관광진흥법상 관광숙박업 또는 관광객 이용시설의 건축, 시설장비설치 및 유지관리 등 경력

〔관련분야 학위〕 건축, 도시, 환경, 산업, 조경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46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전산

전산개발

전산주사보

7급

1명

패널연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전산 7급

◦ DB구축 및 데이터 관리

-  DB구축 및 데이터 품질관리

-  패널연구 데이터 공개용 플랫폼 구축 및 관리

◦ 기타 행정업무

-  행정서류 작성 및 예산관리/처리

1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전산시스템 관리‧운영, 전략적 사고력, 기술적 전문지식

필요 지식

◦ 데이터 분석 관련 지식(SPSS·STATA·R·Python 등)

◦ 인프라 관련 지식(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보안 등)

◦ 개인정보보호법과 데이터비식별화에 대한 지식

※ 필수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고,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 ‘필수자격요건’ 및 ‘응시자격요건’을 최종시험예정일까지 각각 충족하여야 함

필수자격요건

◦ 아래 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여야 함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6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경 력

◦ 3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 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데이터 DB구축·관리, 데이터 플랫폼 구축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컴퓨터공학, 시스템공학,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정보보호학, 전산학, 행정학, 통계학 등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필수·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47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전산

전산개발

전산주사보

7급

1명

스마트치안지능센터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전산 7급

◦ 치안데이터실 인프라 구축 및 운영

◦ 클라우드 및 내부 시스템 운영

◦ 치안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지원

1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 (직렬별 역량) 전산시스템 관리‧운영, 전략적 사고력, 기술적 전문지식

필요 지식

◦ 인프라 관련 지식(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보안 등) 

◦ 클라우드 및 시스템 운영 관련 지식(VMware, OpenStack, Docker 등) 

◦ 데이터 분석 관련 지식(Python, R 등)

※ 필수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고,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 ‘필수자격요건’ 및 ‘응시자격요건’을 최종시험예정일까지 각각 충족하여야 함

필수자격요건

◦ 아래 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여야 함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6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경 력

◦ 3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8급 또는 8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2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학위 취득 후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 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학력소지 후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전산개발 및 데이터 관리 경력

〔관련분야 학위〕 전산학, 컴퓨터공학, 시스템공학, 정보통신공학,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정보보호학 등 전산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필수·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48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전산

전산개발

전산서기

8급

1명

피해자인권포털시스템 고도화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전산 8급

◦ 경찰 정보시스템 운영·장애조치·유지보수, 관리 등

◦ 전산, 유선 시스템 운영 및 업무지원

◦ 경찰 정보통신망 네트워크 운영 및 장애관리

1

경찰청

(피해자보호)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렬별 역량) 전문성, 문제해결력, 분석력

필요 지식

◦ 네트워크, 교환기 시스템에 대한 이해

◦ 전산 시스템에 대한 지식

※ 필수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고,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 ‘필수자격요건’ 및 ‘응시자격요건’을 최종시험예정일까지 각각 충족하여야 함

필수자격요건

◦ 아래 자격증 중 하나 이상을 필수로 소지하여야 함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기타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기타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자(전산분야) 후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경 력

◦ 2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또는 9급상당 이상의 공무원으로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년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학위

◦ 관련분야 전문대학 이상 졸업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공공기관 및 민간분야 등에서 전산개발 및 유지보수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전산, 컴퓨터, 시스템,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정보보호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필수·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49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운전

운전

운전서기보

9급

18명

경찰관기동대 상황출동지원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운전 9급

◦ 경찰관기동대 상황출동지원

-  기동대 차량 운전 및 유지관리

-  기동대 부대업무 및 행정업무 지원 

18

부산청(1・2・3기동대 각1) 3

대구청(1기동・9제대 각 1) 2

인천청(1・2기동대 각1) 2

광주청(1・2기동대 각1) 2

대전청(1기동대) 1

울산청(1기동대) 1

경기북부청(1・2기동대 각1) 2

충북청(1기동대) 1

전북청(1기동대) 1

전남청(1기동대) 1

경북청(1기동대) 1

경남청(1기동대) 1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필요 지식

◦ 차량 안전운전(관련 교통법규 등)

◦ 차량 관리·점검(관련법령, 일상적· 시기별 관리 및 점검사항 등)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에 해당되는 자 

응시자격

요건

자격증

◦ 제1종 대형 운전면허 소지자

-  면허정지나 면허정지 예정자는 응시 불가(최종시험예정일 현재 유효한 자격증에 한함)

〔관련분야 경력〕 제1종 대형 운전면허 취득 후 운전관련 분야에서 대형 승합자동차(36인승 이상)운전경력, 근무경력(재직) 증명서에 담당업무, 운전차종, 승차인원 등 기재 시 인정

※ 승합자동차의 구체적 인정기준은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에 한함

〔관련분야 학위〕 자동차정비, 자동차공학, 기계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자동차정비·검사(기능장·기사·산업기사·기능사) 자격증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 무사고 운전경력 및 교통법규 준수자

-  공고일 이후 경찰서 또는 정부민원포털(정부24)에서 발급한 운전경력증명서 필수제출

-  제1종 대형면허 취득일과 상관없이 운전면허경력, 교통사고, 법규위반 모두 전체경력으로 발급

※ 공고일 이전 발급된 것이나, 조회기간이 ‘전체경력’이 아닌 경우 운전경력 판단 불가로 최하점 처리

※ 음주, 무면허, 뺑소니 등 형사처벌 및 교통법규 위반경력 별도 감점(최근 10년 경력 기준)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50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운전

운전

운전서기보

9급

256명

물자·경력 수송 및 차량관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운전 9급

◦ 경찰관서 물자 및 경력 수송 업무

◦ 공용차량 운용 유지관리 업무 및 행정지원

256

각 시도경찰청 소속경찰서

서울청 31

부산청 15

대구청 10

인천청 10

광주청 5

대전청 6

울산청 5

세종청 2

경기남부청 29

경기북부청 13

강원청 17

충북청 12

충남청 15

전북청 15

전남청 21

경북청 24

경남청 23

제주청 3

※ 각 시도경찰청별 근무예정 경찰서 세부 모집현황은 다음페이지 참조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필요 지식

◦ 도로교통법의 전반적인 이해

◦ 자동차 관리 및 안전운행에 대한 이해

◦ 에코드라이빙(친환경, 경제운전)에 대한 이해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에 해당되는 자 

응시자격

요건

자격증

◦ 제1종 대형 운전면허 소지자

-  면허정지나 면허정지 예정자는 응시 불가(최종시험예정일 현재 유효한 자격증에 한함)

〔관련분야 경력〕 제1종 대형 운전면허 취득 후 국가·지자체·공공기관·법인·사업자등록업체에 소속되어승객 대상 승용·승합자동차를 운행한 경력, 근무경력(재직) 증명서에 담당업무, 운전차종 등 기재 시 인정

※ 승용·승합자동차의 구체적 인정기준은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에 한함(화물차 운전경력은 불인정)

〔관련분야 학위〕 자동차정비, 자동차공학, 기계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전문학사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자동차정비·검사(기능장·기사·산업기사·기능사) 자격증 소지자(상위 1개만 인정)

◦ 무사고 운전경력 및 교통법규 준수자

-  공고일 이후 경찰서 또는 정부민원포털(정부24)에서 발급한 운전경력증명서 필수제출

-  제1종 대형면허 취득일과 상관없이 운전면허경력, 교통사고, 법규위반 모두 전체경력으로 발급

※ 공고일 이전 발급된 것이나, 조회기간이 ‘전체경력’이 아닌 경우 운전경력 판단 불가로 최하점 처리

※ 음주, 무면허, 뺑소니 등 형사처벌 및 교통법규 위반경력 별도 감점(최근 10년 경력 기준)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 25 -

각 시도경찰청별 근무예정 경찰서 세부 모집현황

※ 비고 : (밑줄)안은 장애인 구분 모집인원, (기울임) 안은 저소득층 구분 모집인원

시도청

인원

관서명(경찰서)

서울

31

(2)(1)

중부・종로・남대문・서대문・혜화・용산・성북・동대문・마포・영등포・성동・동작・광진・(서부)・강북・금천・중랑・강남・관악・강서・강동・종암・구로・서초・양천・송파・노원・(방배)・은평・도봉・수서서 각1

부산

15

(2)(1)

중부・동래・영도・(동부)・부산진・서부・남부・해운대・사상・금정・사하・연제・강서・(북부)・기장서 각1

대구

10

(2)(1)

(중부)・동부・서부・남부・북부・수성・달서・성서・달성・(강북)서 각1

인천

10

중부・미추홀・남동・부평・서부・계양・강화・연수・삼산・논현서 각1

광주

5

광산・동부・서부・남부・북부서 각1

대전

6

중부・동부・서부・대덕・둔산・유성서 각1

울산

5

중부・남부・동부・북부・울주서 각1

세종

2

북부・남부서 각1

경기남부

29

(1)(1)

수원중부・수원남부・수원서부・안양동안・안양만안・군포・성남수정・성남중원・분당・부천소사・부천원미・부천오정・광명・안산단원・안산상록・시흥・평택・오산・용인동부・용인서부・광주・과천・의왕・하남・이천・김포・(안성)・여주・양평서 각1

경기북부

13

(1)

의정부・고양・일산동부・일산서부・(남양주남부)・남양주북부・파주・양주・동두천・구리・포천・가평・연천서 각1

강원

17

춘천・강릉・원주・동해・태백・속초・삼척・영월・정선・홍천・평창・횡성・고성・인제・철원・화천・양구서 각1

충북

12

(1)

청주흥덕・청주상당・청주청원・(충주)・제천・음성・영동・괴산・단양・보은・옥천・진천서 각1

충남

15

천안서북・천안동남・서산・아산・논산・공주・보령・당진・홍성・예산・부여・서천・금산・청양・태안서 각1

전북

15

전주완산・전주덕진・군산・익산・정읍・남원・김제・완주・고창・부안・임실・순창・진안・장수・무주서 각1

전남

21

목포・여수・순천・나주・광양・고흥・해남・무안・장흥・보성・영광・화순・함평・영암・장성・강진・담양・곡성・완도・진도・구례서 각1

경북

24

경주・포항북부・포항남부・구미・경산・안동・김천・영주・영천・상주・문경・칠곡・의성・청도・영덕・울진・봉화・예천・성주・청송・영양・군위・고령・울릉서 각1

경남

23

(2)

창원중부・창원서부・마산중부・(마산동부)・진주・김해중부・김해서부・양산・거제・(진해)・통영・사천・밀양・거창・합천・창녕・고성・하동・남해・함양・산청・함안・의령서 각1

제주

3

동부・서부・서귀포서 각1

총계

256(11)(4)

- 26 -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51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공업연구

산업경영

공업연구관

5급 상당

1명

실용화촉진사업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공업연구관

◦ 과학치안 관련 전략 수립 등

-  치안분야 R&D 추진체계 및 기술획득체계

-  기술실용화 프로세스 정립 및 고도화

◦ 치안분야 R&D 사업 발굴 및 기획

◦ 과학치안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및 수행

1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상황인식‧판단력, 기획력, 팀워크지향, 의사소통능력, 조정능력

필요 지식

◦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법령 및 지침에 대한 지식

◦ 기술 획득을 위한 표준·인증제도에 대한 지식

◦ 효과적인 R&D 수행 및 관리를 위한 기술경영 관련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응 시 자 격 요 건

경 력

◦ 임용예정 직렬 또는 직위의 업무 내용과 같거나 유사한 분야에서 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5급) 상당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 관련직무분야 공무원 외 다른 근무경력 10년 이상인 사람 

◦ 관련직무분야에서 임용예정 직급(5급)에 상당하는 관리자 경력 3년 이상인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박사학위를 소지한 사람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 후 4년 이상 관련분야 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이공계열(산업공학, 컴퓨터공학, 기술경영, 재료공학 등) 분야에서 R&D 수행경력

〔관련분야 학위〕 이공계열 (산업공학, 컴퓨터공학, 기술경영, 재료공학, 정보학 등)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 27 -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52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공업연구

산업경영

공업연구사

6급 상당

1명

실용화촉진사업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공업연구사

◦ 치안분야 과학기술 획득에 필요한 표준/인증제도 수립 연구

◦ 치안 분야에 필요한 과학기술 동향 조사·분석

◦ 치안 분야 과학기술 수요 분석 관련 연구

◦ 기술실용화 프로세스 정립 및 고도화

1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 의식, 고객지향 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필요 지식

◦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법령 및 지침에 대한 지식

◦ 효과적인 R&D 수행 및 관리를 위한 기술경영 관련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임용예정 직렬 또는 직위의 업무 내용과 같거나 유사한 분야에서 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6급) 상당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 관련직무분야 공무원 외 다른 근무경력 6년 이상인 사람

학 위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연구기관(국·공립, 기업부설연구소 등)에서 R&D 수행경력

〔관련분야 학위〕 이공계열 (산업공학, 기술경영, 재료공학, 정보학 등) 관련 전공

우대요건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 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표준/인증 관련 자격증 및 교육과정 수료자

(국가기관 자격증 또는 국내대학 교육과정 수료증 각 최대 1건)

◦ 연구기관에서 국가 R&D 프로젝트 참여 건수(최대 10건)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53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기술

공업연구

전자

공업연구사

6급 상당

1명

실용화촉진사업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공업연구사

◦ 치안 분야 과학기술 수요 발굴 및 분석

-  비정형 자연어(음성포함) 처리 (기술개요, 설문지 등)

-  신경망 모델 기반 분류, 데이터 시각화

◦ 치안 분야 과학기술 수요 분석 관련 연구

◦ 기술실용화 프로세스 정립 및 고도화

1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필요 지식

◦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법령 및 지침에 대한 지식

◦ 효과적인 R&D 수행 및 관리를 위한 기술경영 관련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임용예정 직렬 또는 직위의 업무 내용과 같거나 유사한 분야에서 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6급) 상당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 관련직무분야 공무원 외 다른 근무경력 6년 이상인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연구기관(국·공립, 기업부설연구소 등)에서 인공지능 분야 연구 수행경력

〔관련분야 학위〕 이공계열 (산업공학, 컴퓨터공학, 건축공학, 수치물리학 등)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 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인공지능 관련으로 국가·공공기관으로부터 수여받은 표창(상훈) (1개만 인정)

※ 공공기관 범위 :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alio.go.kr)에서 지정된 공공기관 

◦ 관련분야 연구논문 실적(최근 5년이내(‘17.1.1.이후)에 KCI, SCI, SCIE, SSCI, A&HCI, SCOPUS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 한함, 최대 5편)

※ 주저자, 교신저자, 저서 포함, KCI등재후보지·학위논문‧용역실적 제외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직군

직렬

직류

직위

계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54

총액인건비활용 일반임기제

(’23년까지 근무)

학예

학예연구

학예일반

학예연구사

6급 상당

1명

경찰박물관 학예연구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학예연구사

◦ 경찰소장품 관리

-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고도화 사업 추진

-  경찰박물관 소장유물 도록 발간

-  경찰박물관 소장유물 보존상태에 따른 등급화 및 보존

◦ 경찰박물관 유물 관련 온라인 콘텐츠 기획

1

경찰청

(경무담당)

※ 경찰박물관 근무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필요 지식

◦ 전시기획 및 소장품관리에 관한 지식

◦ 역사 연구 및 역사 서술에 관한 이해

◦ 박물관 분야의 세부 업무 및 박물관간 교류‧협력에 관한 이해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임용예정 직렬 또는 직위의 업무 내용과 같거나 유사한 분야에서 시험령 별표9의 구분에 따라 임용예정 계급(6급) 상당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 관련직무분야 공무원 외 민간 근무경력 6년 이상인 사람

학 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박물관 학예 분야의 조사·연구·전시기획·소장품관리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역사학, 역사교육학, 고고학, 박물관학, 문화재관리학, 문화유적학, 인류학, 민속학, 보존학, 서지학, 미술학(미술사 포함)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정학예사(1~3급), 준학예사 자격증(국가전문자격)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임용등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55

한시임기제

(’23.2.6.까지 근무)

6호

1명

기록연구사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한시임기제 

6호

◦ 기록관리시스템 관리, 운영

◦ 기록관리 교육 및 지도, 점검, 컨설팅

◦ 기록물 평가, 폐기 및 관련 심의회 운영

◦ 전자, 비전자기록물 이관 등 업무 총괄

◦ 기록관리 기본계획 수립 및 기록관리기준표 관리

1

경찰청

(경무-

경찰역사기록TF)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긍정성, 문제해결력, 관계구축력, 의사소통능력

필요 지식

◦ 기록관리법령 및 유관 법령 지식

◦ 전자, 비전자기록물 관리 관련 전문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자격증 소지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자격증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이 발급한 자격증)

학 위

◦ 기록관리학 석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관련분야 경력〕 기록물 관리(기록연구사)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기록관리학, 역사학, 문헌정보학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최대 5년)

◦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학위는 제외, 1개만 인정)

◦ 정보화 자격증 소지자(상위자격 1개만 인정, 공고문 우대요건 참조)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임용등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56

한시임기제

(’23.2.6.까지 근무)

8호

1명

전산시스템 운영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한시임기제 

8호

◦ 경찰청 정보시스템 운영 및 관리

-  형사사법정보시스템 운영 및 보안관리

1

경찰청

(수사운영지원)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류별 역량) 전문성, 문제해결력, 분석력

필요 지식

◦ 정보화 시스템 개발 및 운용에 관한 지식

◦ 정보시스템 구축·관리·운영 관련 지식·경험

◦ 정보시스템 유지보수에 관한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 아래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 후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자(전산분야) 후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경 력

◦ 고등학교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6개월 이상 임용예정 직무분야의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1년 이상 임용예정 직무분야의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 9급 이상 또는 9급 이상에 상당하는 공무원으로서 6개월 이상 임용예정 직무분야의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공공기관 및 민간분야 등에서 전산시스템 개발 및 유지보수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전산, 컴퓨터, 정보통신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자격요건 자격증(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임용등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57

한시임기제

(’23.2.20.까지 근무)

9호

1명

정보보호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한시임기제 

9호

◦ 전산 시스템 운영 및 업무 처리

◦ 정보보호시스템 활용 보안 강화 수행

◦ 정보시스템 취약점 평가 및 보안관제업무 지원

◦ 정보보호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

1

경찰청

(정보화장비기획)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류별 역량) 정보관리능력, 즉각적 대응, 전산시스템 관리⸱운영

필요 지식

◦ 정보화시스템 구축, 관리 운영에 관한 지식, 경험

◦ 정보보호시스템 운영, 관리 관련 지식

◦ 정보시스템 웹 취약점 점검 방법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아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자(전산분야)

◦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전산분야) 후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경 력

◦ 6개월 이상 임용예정 직무분야와 관련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국가 또는 지자체, 공공기관⸱기업 등에서 정보보안 관련 경력

※ 보안관제 근무, 취약점 점검 경력 등

〔관련분야 학위〕 전산, 컴퓨터, 정보통신 등 정보보호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응시요건 자격증 소지자(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임용등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58

한시임기제

(’23.3.31.까지 근무)

9호

1명

교통관리시스템 운영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한시임기제 

9호

◦ 교통관리시스템 운전면허 전산프로그램 운영

◦ 운전면허 전산 행정업무 처리

1

경찰청

(교통기획)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 (직류별 역량) 전문성, 문제해결력, 분석력

필요 지식

◦ 전산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전문지식

◦ 프로그램개발(자바, C, JSP 등), DB(MY SQL, 오라클 등) 관리 전문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자

자격증

◦ 아래 자격증 중 하나 이상 소지한 사람

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 정보통신, 정보관리

기사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자(전산분야)

◦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전산분야) 후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 또는

연구한 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프로그램 개발 및 DB(오라클, My SQL 등) 분야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전산, 컴퓨터, 시스템,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등 전산 관련된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응시자격요건 자격증(응시자격요건으로 제출한 자격증은 제외, 상위자격 1개만 인정)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응시자격요건(직무기술서)

연번

직종

임용등급

선발인원

직무분야

59

한시임기제

(’23.2.28.까지 근무)

9호

1명

사진 촬영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한시임기제

9호

◦ 경찰청장 주요 행사 동행 및 사진 촬영 

◦ 경찰청장 사진 및 공공기록물 관리

◦ 경찰의 날 화보집 촬영

-  촬영 사진 데이터 정리 및 관리

-  경찰 화보 계획수립 및 검토

1

경찰청

(홍보담당)

필요 역량

◦ (공통 역량) 윤리의식, 공직의식, 고객지향마인드

◦ (직급별 역량) 과업이해력, 치밀성, 협조성, 조직헌신

필요 지식

◦ 인물, 야외, 행사 사진 촬영 기법 등에 관한 지식

◦ 사진 보정・편집 기법 등에 관한 지식

◦ 정책홍보와 접목 가능한 홍보기법 등 관련 지식

※ 아래의 응시자격요건에 해당되는 자

경 력

◦ 6개월 이상 임용예정 직무분야와 관련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관련분야 경력〕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기업, 언론사 등에서 보도사진 및 홍보사진 촬영⸱보정⸱편집 업무 관련 경력

〔관련분야 학위〕 사진학, 사진영상학, 방송영상학, 신문방송학, 광고홍보학 등 사진 관련 전공

우대요건

◦ 관련분야 근무경력(최대 5년,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경력에 대해서 인정)

◦ 관련분야 전문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상위학위 1개만 인정)

◦ 관련분야 자격증 소지자 중 상위자격 1개만 인정

(사진기능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웹디자인기능사, GTQ(그래픽기술자격) 1·2급, GTQi(그래픽기술자격 일러스트) 1·2급) 

가산요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소지자

붙임2

각 소속기관 연락처

각 소속기관 연락처 

구분

주소

연락처

본청 인재선발계

(03739)

서울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02- 3150- 2732

서울경찰청 교육계

(03169)

서울시 종로구 사직로 8길 31(내자동)

02- 700- 2600

부산경찰청 교육계

(47545)

부산시 연제구 중앙대로 999

051- 899- 2332

대구경찰청 교육계

(42183)

대구시 수성구 무학로 227

053- 804- 7034

인천경찰청 교육계

(21570)

인천시 남동구 예술로152번길 9

032- 455- 2432

광주경찰청 교육계

(62363)

광주시 광산구 용아로 112

062- 609- 2634

대전경찰청 교육계

(35238)

대전시 서구 둔산중로 77

042- 609- 2332

울산경찰청 교육계

(44420)

울산시 중구 성안로 112(성안동)

052- 210- 2333

세종경찰청 경무계

(30147)

세종시 한누리대로 1978

044- 559- 2532

경기남부경찰청 교육계

(16218)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창룡대로 223

031- 888- 3232

경기북부경찰청 교육계

(11763)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로23번길 22- 49

031- 961- 2432

강원경찰청 교육계

(24400)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 세실로 49

033- 248- 0432

충북경찰청 교육계

(28309)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2순환로 168

043- 240- 2232

충남경찰청 교육계

(32416)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청사로 201

041- 336- 2532

전북경찰청 교육계

(54962)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유연로 180

063- 280- 8525

전남경찰청 교육계

(58564)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후광대로 359번길 28

061- 289- 2637

경북경찰청 교육계

(36759)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검무로 77

054- 824- 2232

경남경찰청 교육계

(51154)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상남로 289

055- 233- 2332

제주경찰청 교육계

(63122)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연로 18

064- 798- 3431

경찰대학 총무계

(31539)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황산길 100- 50

041- 968- 2621

인재개발원 총무계

(31540)

충남 아산시 무궁화로 111

041- 536- 2212

중앙학교 총무계

(27495)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수회리로 138

043- 870- 2219

수사연수원 총무계

(31540)

충남 아산시 무궁화로 112

041- 538- 0613

※ 전문경력관 가군(수사연구), 공업연구관 5급(실용화촉진사업)응시자는 반드시 ‘본청 인재선발계’에 서류 제출

- 28 -



<별지서식 제1호>

응시자 제출서류 총괄표

성  명

응시구분

응시번호

응시요건

○ ○ ○

(1) 송무 행정6급

※ 직무기술서 연번 기재


※ 채용담당이 기재

①자격증 ②경력 ③학위  

▣ 작성목록

목   록

제출 여부 

1. 이력서 1부 (필수)

2. 자기소개서 1부 (필수)

3. 직무수행계획서 1부 (필수)

4.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제3자 제공 동의서 1부 (필수)

5. 주민등록 초본 1부 (남성만 해당)

6. 자격증 사본 1부 (해당자만 제출)

7. 경력(재직) 증명서 사본 1부(해당자만 제출)

8. 졸업(예정) 증명서 또는 학위 증명서 사본 1부 (해당자만 제출)

9. 연구논문요약서 및 사본 1부 (해당자만 제출)

10. 표창(상훈) 증빙자료 사본 1부 (해당자만 제출)

11. 대회 수상실적 사본 1부 (해당자만 제출)

12. 정보화 자격증 사본 1부 (해당자만 제출)

1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사본 1부 (해당자만 제출)

14. 운전경력증명서 1부 (해당자만 제출)

15. 가산특전 대상자(취업지원대상자, 의사상자 등) 증명서류 1부 (해당자만 제출)

16. 장애인·저소득층 구분모집에 따른 증명서 1부 (해당자만 제출) 

17. 응시수수료 면제대상자(저소득층 해당자) 증명서류 1부(해당자만 제출)

18. 복수국적 해당여부 :    해당없음      □ 이중국적

※ 작성·제출한 항목은 제출여부 란에 “○” 표시하면 됩니다.

※ 제출서류 기재 후 서류 미제출시에는 해당 목록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 모든 서류는 상기 번호 순서대로 정리한 후 제출합니다. 

※ 견출지, 스테이플러 등을 사용하지 마시고 집게 등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편철합니다.

- 29 -

<별지서식 제2호>

이   력   서   

전화번호:                  E- Mail: 

가. 공통사항

응시번호


※ 채용담당기재

응시구분

(1) 송무 행정6급

※ 직무기술서 연번 기재

성 명

○ ○ ○

응시자격요건

경력요건

임용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민간 근무경력 6년 이상인 사람

(본인이 응시한 응시자격요건을 정확히 기재)

나. 응시자격

비고

자격증

자격증

자격증 취득(예정)일

자격 검정기관

00기사

년 월 일

한국산업인력공단

근무경력

근무기관

근무기간

직 위

근무형태

담당업무

00기업(00과)

년 월 일 ~ 년 월 일

대리

주 40시간

반드시기입

00기업(00계)

년 월 일 ~ 년 월 일

팀장

주 30시간

반드시기입

학위

전공분야

학위 취득(예정)일

학위 종류

00학

년 월 일

학사, 석사 등

다. 우대요건

비고

자격증

자격증명

자격증 취득(예정)일

자격 검정기관

워드프로세서

년 월 일

대한상공회의소

근무경력

근무기관

근무기간

직 위

근무형태

담당업무

00기업(00팀)

년 월 일 ~ 년 월 일

과장

주 40시간

반드시기입

학위

전공분야

학위 취득(예정)일

학위 종류

00학

년 월 일

학사, 석사 등

기타


※해당분야에 한함

연구실적 

논문(저서)명 기재

심사(발표)연월일 기재

표창(상훈)

상훈(표창, 상)명

수여기관명, 수여일자

대회 수상

대회명(상장명)

일자

정보화자격증

자격증명 기재

취득(예정)연월일 기재

라. 가산요건

비고

한국사

검정시험

시험일자

인증번호

인증등급

시행기관

국사편찬위원회

시험가산특전

취업지원대상자

□ 10%

□ 5%

의사상자 등

□ 5%

□ 3%

※ 연번 24번, 40번만 해당

위에 기재한 사항은 사실과 다름이 없음을 확인합니다.

년    월    일

성   명 :          (서명 또는 인)

- 30 -

이력서 작성요령

□ 이력서는 다음 요령에 따라 빠짐없이 작성하여야 합니다.

가. 공통사항

가. 공통사항

1. 응시번호


※ 채용담당기재

2. 응시구분

(1) 송무 행정6급

※ 직무기술서 연번 기재

성 명

홍길동

3. 응시자격요건

경력요건

학사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본인이 응시한 응시자격요건을 정확히 기재)

1. 응시번호 : 기재하지 않음

2. 응시구분 : 응시하고자 하는 모집단위(직무기술서 연번 기재)의 직급과 소속 기재

<예시: (1) 송무(일반행정) 6급 (대구청 경무)>

3. 응시자격요건 : 응시하고자 하는 분야의 응시자격 요건 중 반드시 택 1(응시자격요건 문구 수정 금지)


(예시)

1. 일반직(법무행정) 
 1명

임용예정직급

주요업무

인원

근무예정부서

행정 6급

×× ×××××업무

1

경찰청

(교육정책담당관실)

응시

자격

요건

자격증

∘ 변호사 자격증 소지한 사람

(번호사법 제4조에 따른 변호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

경력

◦ 임용예정 직급과 같은 직급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임용 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해당 직급에 해당하는 근무경력 또는 연구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 임용 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민간 근무경력 6년 이상인 사람

학위

∘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한 사람

- 31 -

나. 응시자격 : 각 자격요건의 해당자에 한하여 작성

나. 응시자격

비고

자격증

자격증

자격증 취득(예정)일

자격 검정기관

00기사

년 월 일

한국산업인력공단

근무경력

근무기관

근무기간

직 위

근무형태

담당업무

00기업(00과)

년 월 일 ~ 년 월 일

대리

주 40시간

반드시기입

00기업(00계)

년 월 일 ~ 년 월 일

팀장

주 30시간

반드시기입

학위

전공분야

학위 취득(예정)일

학위 종류

00학

년 월 일

학사, 석사 등

1. 자격증 : 자격증 취득예정자의 경우 최종시험(면접)예정일 기준으로 자격증을 취득하여야 하며, 자격증명ㆍ자격검증기관ㆍ취득일을 반드시 기재하여야 함

2. 경력 

① 임용예정직과 관련있는 직무분야에서 민간 근무경력이 9년을 경우, 응시자격에 해당하는 6년의 경력은 ‘나. 응시자격’ 경력란에 기입하고, 응시자격충족 이후 3년의 경력은 ‘다. 우대요건’의 경력란에 기재

② 담당예정업무와 관련된 경력 및 실적을 기재(과거 경력 및 실적부터 기재)

-  제출된 경력증명서만 경력으로 인정됨

-  경력증명서 또는 재직증명서 상의 내용과 동일하게 작성(근무기관, 근무기간(시작일, 종료일), 직위, 담당업무, 근무형태 등)

-  근무형태는 주당 근무시간 기재(예: 주40시간)

  ※ 현재 재직중인 경력은 최종시험(면접)예정일을 근무기간 종료일로 산정, 서류 제출 이후 퇴사ㆍ이직 등으로 경력요건 미충족시 최종합격에서 제외될 수 있음


- 32 -

3. 학위

① 학위취득예정자의 경우 최종시험(면접)예정일 기준으로 학위를 취득하여야 하며, 전공ㆍ학위종류ㆍ취득(예정)일을 반드시 기재하여야 함

  ※ 학위취득예정자의 경우 졸업예정증명서로 제출

② 전문학사- 학사- 석사- 박사 학위 순으로 기재

③ 응시자격요건이 고등학교 졸업자인 경우 고등학교 졸업증명서 제출

국외 학위의 경우 학위증명서에 해당전공이 명확해야 하고 반드시 공인인증기관의 공증서 첨부

다. 우대요건 : 해당자에 한하여 작성

1. 자격증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취득한 자격증만 인정

2. 경력 

① 응시자격 충족 이후의 경력만 기재

② 우대요건 경력의 경우 인정기준일은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판단

③ 응시자격의 작성방법과 동일하게 적용

3. 학위 :학위 소지자는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졸업(예정)증명서 또는 학위증명서 제출

라. 가산요건 : 해당자에 한하여 작성

1. 한국사검정시험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취득한 등급만 인정

2. 시험가산특전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대상자 여부 및 가점비율 체크

※ 모든 항목은 자격요건, 우대요건, 가산요건에 적합하고 검증 가능한 내용만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항목을 정확하게 기입하셔야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기재사항이 많을 경우 글씨크기, 장평 등을 작성자가 적절히 조절하여 워드프로세서로 2장 이내로 작성

- 33 -

<별지서식 제3호>

자 기 소 개 서

성    명

응시구분

(작성방법 및 유의사항)

❏ 자기소개서 작성요령

1. 자기소개서 양식에 따라 자유롭게 기술하되, 지원동기, 생활신조와 가치관, 성격의 장·단점, 앞으로의 각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작성합니다. 

2. 분량은 A4용지 1~2매 이내로 작성합니다.

(폰트는 휴먼명조, 글씨크기 13, 줄 간격 160%, 글자색 : 검정색, 지여백 좌·우 각각20mm, 상·하 각각10mm, 머리말·꼬리말 각각10mm)

3. 매 장마다 쪽 번호를 부여하며, 문서 마지막 장에 작성일자와 서명을 포함합니다.

❏ 유의사항

1. 작성 시 개인 신상을 직·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기재할 경우 불이익(감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최대 분량 2매를 초과할 경우 서류전형 시 매수 초과분은 제외됩니다.

※ 해당 박스는 내용 확인 후 삭제하고 작성


년    월    일     작 성 자 :            (서명)

- 34 -

<별지서식 제4호>

직 무 수 행 계 획 서

성    명

응시구분

(작성방법 및 유의사항)

❏ 직무수행계획서 작성요령

1. 특별한 양식 없이 응시자가 자유롭게 기술하되, 자신의 지식, 경험, 경력 등을 기초로 하여 응시분야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응시자가 이해하고 있는 응시분야의 대한 직무내용, 정책(사업)목표, 운영(분석)방법, 연구(설계)방안, 직무수행 계획 등을 [붙임1] 직무기술서를 참고하여 작성합니다.

2. 분량은 A4용지 4매 이내로 작성합니다.

(폰트는 휴먼명조, 글씨크기 13, 줄 간격 160%, 글자색 : 검정색, 지여백 좌·우 각각20mm, 상·하 각각10mm, 머리말·꼬리말 각각10mm)

3. 매 장마다 쪽 번호를 부여하며, 문서 마지막 장에 작성일자와 서명을 포함합니다.

❏ 유의사항

1. 작성 시 개인 신상을 직·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기재할 경우 불이익(감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최대 분량 4매를 초과할 경우 서류전형 시 매수 초과분은 제외됩니다.

※ 해당 박스는 내용 확인 후 삭제하고 작성


년    월    일     작 성 자 :            (서명)

- 35 -

<별지서식 제5호>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제3자 제공 동의서


1.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본 기관에서는 공무원 채용 및 관리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 제17조 등 관계 법령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 및 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목적 : 공무원 채용 및 관리

(2) 개인정보 수집 항목(필수) :성명,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 응시자격요건에 따른 학력‧경력·자격·면허사항, 4대 보험 자격 득실, 소득금액증명, 외국어성적·논문·수상실적 등 우대요건에 해당하는 사항

(3)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최종합격자 발표일로부터 5년

개인정보 활용 목적 달성 이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유 후 파기

☞ 개인정보의 수집·이용과 관련하여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다만 동의거부 시 공무원 채용 및 임용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십니까?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주민등록번호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4조의2 제1항 제1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수집·이용합니다.

개인정보 처리사유

개인정보 항목

수집 근거

채용심사를 위한 본인확인 및 심사자료

주민등록번호

「공무원임용시험령」제34조 제5항



2. 민감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공무원 채용 및 관리를 위해 개인정보(민감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1) 민감정보 수집 및 이용 목적 : 공무원 채용 및 관리

(2) 민감정보 수집 항목 : 범죄경력정보

(3) 민감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최종합격자 발표일로부터 5년

개인정보 활용 목적 달성 이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유 후 파기

☞ 민감정보의 수집·이용과 관련하여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동의거부 시 공무원 채용 및 임용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민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십니까?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36 -

3. 복수국적자, 자격요건 확인 등을 위한 동의서 효력인정 및 개인정보 제3자 제공 동의서

시험실시기관은 응시요건 등 응시자가 제출한 증빙자료의 진위여부를 해당기관에 조회하여 확인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관련자료 확인서 발급에 동의하며,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보호되고 있는 각종 개인정보 자료를 동법 제15조 등에 따라 인사담당 업무관계자에게 제공 및 공개·활용하는데 동의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이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사람은 시험을 정지 또는 무효로 하거나 합격을 취소하고, 그 처분이 있은 날부터 5년간 공무원 임용을 위한 시험의 응시자격을 정지합니다. 부정행위로 처분받을 경우 다른 공무원 시험 실시기관이 조회할 수 있도록 인사혁신처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제공받는 자

(2) 제공목적

(3) 제공 항목

(4) 제공받는 자의 보유‧이용기간

관할 출입국·외국인청(사무소)

공무원 채용 관리

(복수국적 조회)

복수국적 여부 조회에 필요한 사항

정보처리 목적 달성 시까지

(개인정보 활용 목적 달성 이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유 후 파기)

개인정보(자격증·경력·학위) 확인기관

공무원 채용 관리

(자격확인)

자격증, 경력사항, 학위 등 응시요건 충족 및 제출서류 진위여부 확인에 필요한 사항

정보처리 목적 달성 시까지

(개인정보 활용 목적 달성 이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유 후 파기)

인사혁신처

공무원 시험 응시자격 정지 여부 회신

성명, 주민등록번호*, 시험연도, 시험명, 응시제한기간, 관보게재일, 처분청

처분이 있는 날로부터 5년(행정정보공동이용 증적 보관)

* 주민등록번호는 공무원임용시험령 제34조에 의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제공과 관련하여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다만 동의거부 시 공무원 채용 및 임용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서명·날인한 동의서의 복사본은 자료의 진위 검증을 위해서 원본과 동일하게 유효함을 인정하고, 이에 동의하십니까?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위와 같이 확인서 발급에 동의하십니까?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위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데 동의하십니까?□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2022년    월    일

성명 :              (서명)

경찰청장 귀하

- 37 -

<별지서식 제6호>  ※ 해당자에 한하여 작성

연구논문 요약서

성 명

직무분야

응시직급

논문개요

○ 논문제목

▪ 한글명 : 

▪ 영문명 : 

○ 논문 게재지 및 게재일자

▪ 등재구분("√" 표기) : 

□ SCI

□ SSCI

□ A&HCI

□ SCIE

□ SCOPUS

□ KCI(한국연구재단 등재지)

▪ 게재지명 : 

▪ 게재일자 : 

○ 발표자 성명(공동연구자 포함) : 

▪ 응시자(논문기여도) : 홍길동 (제2저자/5인)

▪ 공동연구자 : 

주요내용 요약

Ⅰ. 연구목적

1. 

가. 

1) 

가) 

(1) 

(가) 


Ⅱ. 연구내용


Ⅲ. 연구결과의 활용도(구체적으로)

본 논문요약서의 기재내용은 사실과 다름없으며 허위사실이 드러날 경우 모든 법적 책임을 본인이 지겠습니다.

2022.    .     

응시자 :                  (인)


※ 주요내용 요약은 3페이지 이내로 작성

※ 논문표지, 논문제목, 발표자가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 사본 함께 제출 

- 38 -

<별지서식 제7호>※ 해당자에 한하여 작성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별지 제3호서식]

채용서류 반환청구서

접수번호 

※ 채용담당기재

접수일자 

※ 채용담당기재

청구인

성  명

응시번호

주  소

반환장소

(주소와 다른 경우 기재)

반환청구서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조 및 제4조에 따라 위와 같이 채용서류의 반환을 청구합니다.


년   월   일


청구인

(서명 또는 인)

경 찰 청 장 귀하

공지사항

1.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제1항에 따라 신청인이 채용서류의 반환을 요청하면 해당 사업장은 14일 이내에 반환요구서류를 발송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2.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제2항에 따라 반환요구서류는 특수취급우편물을 통해서 전달받거나, 사업장으로부터 직접 전달받을 수 있습니다.

3.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 제5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5조 제2항에 따라 채용서류의 반환에 드는 비용을 청구인이 부담할 수 있습니다.

- 39 -

<별지서식 제8호>    ※ 등기우편 발송시 서류봉투 겉면에 부착하여 반드시 기관 주소로 발송


[보내는 사람]



응시구분

(1) 일반직

행정(법무) 6급_○○청

성    명

홍 길 동

휴 대 폰

000- 0000- 0000

'22년 경찰청 제1회 일반직공무원 경채 제출서류 재중

(관계자 외 개봉금지)

※ 제출서류는 '22. 3. 3.(목)∼3. 7.(월)18:00까지 방문 또는 우편접수(소인분에 한함)

등기 발송증 부착

[받는 사람] 

[붙임2] 각 소속기관 연락처 참고

 일반직채용담당자 앞

☎ (000) 000 -  0000

-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