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용분야(연구직(다급, 마급), 일반직(9급)) 직무기술서

직 무 기 술 서

분 야

○ 의약소재산업화(연구 다급) 분야

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의약소재산업화 분야 연구직은 NCS 미개발분야로 (재)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자체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

직무

수행내용

• 바이오분야 전반적인 연구기획, 연구수행, 기업지원 등과 연계된 종합적인 업무 수행 

연구원

주요사업

• 유용 자원과 소재의 고부가가치 사업

• 농생명 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 연구

• 산업체 애로기술 지원을 통한 기업 역량 강화 

일반요건

연령

무관

성별

무관

교육요건

학력

학습경험 참조

전공

관련분야

학습경험 

• 채용예정 직무관련분야 박사 상당의 학력 소지자

필요지식


• 기능성 소재, 건강기능 식품, 의약품 분야 기술 개발을 위한 전반의 지식

• 신규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인허가를 위한 관련 규정 및 공정(GMP, GLP) 전반의 지식 

• 유효성 및 안전성 연구를 위한 분자생물학, 독성학, 약학, 수의학, 화학, 생리학 전반의 지식

• 지식재산권(학술성과) 도출을 위한 외국어 지식

필요기술

(관련분야)

• 유효성 및 안전성 연구를 위한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실험 기술

• 다양한 세포・동물 모델을 활용한 기전 연구 및 분석(오믹스 등) 기술

• 사업 기획・제안서 작성, 사업관리, 보고서 작성 기술

직무수행태도

•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자세

• 업무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력 및 논리적인 분석태도

•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업무개선 노력과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판단과 주인의식

• 책임감 및 내외부 조직원과의 원활한 의사 소통 

관련자격

• 국가과제 기획・수주・수행 유경험자

•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인허가 유경험자

직업기초능력

•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정보능력, 조직이해 능력, 대인관계능력, 기술능력, 직업윤리

참고

https://www.ncs.go.kr 국가직무표준NCS 참고

직 무 기 술 서

분 야

○ 식품산업화(연구 마급) 분야

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식품산업화 분야 연구직은 NCS 미개발분야로 (재)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자체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

직무

수행내용

• 농생명 소재 식품가공, 식품공학, 조리과학 등 관련 연구과제 기획 및 수행 

• 농생명 가공 소재 발굴 및 활용 기술 개발

• 연구개발 및 기술 용역 프로젝트 수행 

• 식품산업화팀 고유업무 수행 

연구원

주요사업

• 유용 자원과 소재의 고부가가치 사업

• 농생명 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 연구

• 산업체 애로기술 지원을 통한 기업 역량 강화 

일반요건

연령

무관

성별

무관

교육요건

학력

학습경험 참조

전공

관련분야

학습경험 

채용예정 직무관련분야 학사 이상의 학력 소지자

필요지식


• 식품산업에 관련된 연구를 위한 식품공학, 식품생명 전반의 지식

• 식품 제조공정 연구를 위한 식품가공, 조리과학 및 식품공학에 관한 전반의 지식

• 국내·외 학회 참석 및 각종 저널과 논문 연구를 위한 외국어 지식

필요기술

(관련분야)

• 식품 소재 연구를 위한 식품화학, 생물공학적 관련 기술 

• 식품제조를 위한 가공적성 기술, 품질특성 분석, 제품개발, 식품 안전성 관련 기술 

• 식품개발을 위한 생산공정 표준화, 식품 기준규격 해석에 관한 기술 

• 주요사업 추진을 위한 프로젝트 수행·관리 기술 

직무수행태도

• 연구 전반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과 논리적인 분석 자세

• 연구내용 및 결과에 대해 끊임없이 소통하는 능동적인 자세 

• 문제 해결을 위해 스스로 노력하여 이루고자 하는 자세

• 업무에 대해 적극적이고 상호 협조하고자 하는 자세

• 자신이 맡은 역할과 직무에 대한 책임감

• 연구와 관련된 안전 프로세스 및 규칙을 준수하고자 하는 적극성

관련자격

• 식품가공, 식품공학 관련 경험자 우대

• 연구과제 및 연구행정 업무 수행 유경험자 

직업기초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정보능력, 조직이해 능력, 대인 관계능력, 기술능력, 직업윤리

참고

https://www.ncs.go.kr 국가직무표준NCS 참고

직 무 기 술 서

분 야

○ 일반행정(홍보마케팅 및 비R&D연구과제 관리 등)

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02.경영회계사무

01기획사무

02홍보광고

01기업홍보

01.사업관리

01.사업관리

01.프로젝트관리

02.프로젝트관리,

직무

수행내용

(홍보) 홍보전략 수립 및 뉴미디어 등을 활용하여 기관의 긍정적 이미지를 제고하며, 이를 위한 전략과 계획의 수립, 온오프라인 채널을 이용한 활동의 수행, 효과 측정과 피드백 등을 수행


(비R&D사업관리) 정부, 지방자치단체, 산업체 등과 협력하여 수행하는 비R&D연구과제 사업진행 등을 관리하며 관련 규정에 따른 제반 업무를 수행

연구원

주요사업

지역자원 활용 기능성 고부가가치 사업, 농생명 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 연구, 산업체 애로기술 지원

일반요건

연령

무관

성별

무관

교육요건

학력

무관

전공

관련분야

필요지식

(홍보) 

▪ 홍보 채널별 운영 능력(홈페이지, 블로그, 웹진,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 온라인 특성 및 전략적 미디어 운영 방법

▪ 온라인 보호법, 개인정보 보호법

▪ 홍보전략 및 방법

(비R&D사업관리) 

▪ 연구관련 기본 용어에 대한 지식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비 관리 표준 매뉴얼에 대한 지식

▪ 계약서의 작성 및 검토 관련 지식

▪ 연구과제 계획서에 대한 지식 및 국가연구개발과제 참여율 계상 적용 여부에 대한 지식

필요기술

(관련분야)

(홍보) 

▪ 매체 활용 능력 및 장단점 비교분석 능력

▪ 홍보방법 및 매체 선택 능력

▪ 홍보물 트렌드 분석 능력

▪ 콘텐츠 제작·관리 능력

(비R&D사업관리) 

▪ 과제의 성격(비R&D, 위탁, 용역) 판단 기술

▪ 회계 계정세목 분류 기술, 계약서 작성관리 기술

▪ 연구과제 협약 및 연구비 관련 전산 시스템에 대한 이해

직무수행태도

(홍보) 

▪ 온·오프라인 채널을 이용하여 연구원의 긍정적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자세 

▪ 최신 온라인 트렌드를 습득하는 적극성

▪ 홍보 관련 저작권법을 준수하는 책임감

(비R&D사업관리) 

▪ 연구비 집행의 합목적성, 적합성 등 원칙을 준수하는 태토

▪ 연구사업의 관련 규정을 정확히 분석하고 이해하는 태도 

▪ 타부서의 협조를 이끌어낼 합리적 설득 태도

관련자격

마케팅 관리사, 트렌드 분석 전문가

직업기초능력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정보능력, 직업윤리

참고

https://www.ncs.go.kr 국가직무표준NCS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