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공고 제2019 -  202호


2019년 초기창업패키지 (예비)창업자 모집 공고


유망 창업아이템 및 고급기술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발굴하여 성공적인 창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2019년 초기창업패키지』에 참여할 (예비)창업자 모집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19년 4월 24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1

모집개요


□ 사업목적


◦ 유망 창업아이템 및 고급기술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초기창업 全단계를 집중 지원하여 우수 창업기업으로 육성


□ 모집대상


◦ 예비창업자 또는 업력 3년 이내 창업기업


□ 선정규모 : 총 850명 내외 (최종선정자 기준)


◦ 각 주관기관별로 모집‧선정하며, 신청자의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1개의 주관기관을 선택하여 신청


-  단, 주관기관별 해당 권역* 내 (예비)창업자** 선정 비율을 80% 이상으로 하며, 주관기관별 특화유형(지역거점 제외, 11페이지 참조) 해당하는 (예비)창업자는 20% 이상으로 선정



* 서울권, 경인권(인천‧경기), 충청권(대전‧세종‧충남‧충북), 호남권(광주‧전남‧전북·제주), 대경권(대구‧경북), 동남권(부산‧울산, 경남), 강원권

** 예비창업자는 창업 예정지, 창업기업은 사업자등록증 상의 소재지(본사)로 구분

- 1 -

2

신청 자격 및 제외 대상


□ 신청자격


◦ 아래 ① 또는 ②에 해당되고, ‘신청 제외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자


① 예비창업자(팀)


* 예비창업자(팀)은 협약일 이후 3개월 이내에 창업(사업자등록 또는 법인설립등기)을 완료하여야 함


☞ 예비창업자 : 사업공고일까지 창업(업종 무관) 경험이 없는 자 또는 지원제외 대상 업종*만을 영위하고 있는 자


* [참고 3] 지원제외 대상 업종 참조


** 지원제외 대상 업종만을 영위하고 있는 자는 최종선정 이후 창업 시 창업인정 기준 요건을 충족하며 지원과제 관련 업종으로 사업자를 등록하여야 함


☞ 예비창업팀 : 2인 이상의 예비창업자로 구성된 팀


* 팀원 중 1인을 대표자로 신청하며, 대표자는 접수마감 후 변경 불가


** 예비창업팀으로 신청하는 경우 대표자를 포함한 팀원 전체가 예비창업자이어야 하고, 창업지원사업 수혜 이력이 없어야 하며, 신청 제외 대상에 해당되지 않아야 함


*** 예비창업팀은 협약시작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자를 대표자로 하여 창업(사업자등록 또는 법인설립등기)을 하고, 팀원을 상시근로자(4대보험 가입)로 채용하여 유지하여야 함


② 업력 3년 이내(‘16.4.23.~‘19.4.24.) 창업기업의 대표자


* 최초 회사설립일이 사업공고일 기준 3년을 초과한 다수의 사업자(개인‧법인)를 소지하고 있거나 폐업한 이력이 있는 경우, ‘[참고 1] 창업인정 기준’에 따라 신청자격 및 제외 대상 여부 검토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1항에 따른 중소기업의 대표자


* 창업일은 개인사업자의 경우 사업자등록증상의 ‘개업연월일’, 법인기업의 경우 법인등기부등본상의 ‘회사성립연월일’을 기준


☞ 공동대표 또는 각자대표로 구성된 기업의 경우, 대표자 전원이 ‘신청자격 ②’에 해당되고, ‘신청 제외 대상’에 해당되지 않아야 함


* 공동대표 또는 각자대표로 구성된 기업이 사업신청 시 신청인 외 대표자의 사업 참여 동의서를 제출(최종선정자에 한함)

- 2 -

□ 신청 제외 대상

신청 제외 대상

☞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채무불이행으로 규제중인 자 또는 기업


* 단, 신청·접수 마감일(’19.5.15.)까지 채무변제 완료 후 증빙이 가능한 자 (기업), 신용회복위원회의 프리워크아웃, 개인워크아웃 제도에서 채무조정합의서를 체결 한 경우, 법원의개인회생제도에서 변제계획인가를 받거나 파산면책 선고자, 회생인가를 받은 기업,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으로부터 재창업자금을 지원 받은 자(기업), 건강관리시스템 기업구조개선진단을 통한 정상화 의결기업 등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 재기지원 필요성을 인정받은 자 (기업)는 신청 (지원) 가능


☞ 국세 또는 지방세 체납으로 규제중인 자


* 단, 세금분납계획에 따른 성실납부기업 (체납처분유예신청), 신청·접수 마감일(’19.5.15.)까지국세, 지방세 등의 특수채무 변제 후 증빙이 가능한 자(기업),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으로부터 재창업자금을 지원 받은 자 (기업),건강관리시스템 기업구조 개선진단을 통한 정상화의결기업 등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 재기지원 필요성을 인정받은 자 (기업)는 신청 (지원) 가능


☞ 중소벤처기업부(舊 중소기업청)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자**(기업), 기 선정되어 사업을 수행 중인 자 (기업)

※  중단 (중단처분·중도포기자) 포함


* [참고 2]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목록 참조


**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을 지원받은 자는 해당사업에 선정되어 협약을 체결한 자를 의미


☞ 타 중앙부처의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을 수행 중인 자(기업)로 해당사업의 협약종료일이 동 사업의 접수마감일(’19.5.15.)보다 3개월을 초과**하는 경우


*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 창업을 전제로 창업 아이템의 사업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비, 지식재산권 확보, 마케팅비 등 사업화에 소요되는 자금을 패키지로 (예비)창업자에게 지원하는 사업

** 타 중앙부처의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협약종료가 동 사업의 접수마감일보다 3개월 이내로 남았을 경우 사업신청이 가능하나, 동 사업에 최종선정 되었을 경우 타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의 협약이 종료된 이후에 사업비 집행이 가능


신청일 현재휴업 중인 기업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시행령 제4조 (창업에서 제외되는 업종)의 
업종으로 본 사업에 신청하고자 하는 자


* [참고 3] 지원제외 대상 업종 참조


기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참여제한의 사유가 있다고 인정하는 자 (기업)

- 3 -

3

지원 내용


□ 지원 내용


지원 구분

지원 세부사항

비고

사업화 자금

☞ 시제품제작, 지재권 취득, 마케팅 등에 소요되는 사업화자금을 최대 1억원 한도 지원 (7개월 내외)


* 평가 결과에 따라 사업화자금(정부지원금) 차등 지원

** 사업화 자금 집행 비목은 [참고 4] 참조


☞ 총 사업비(100%)의 구성 : 

정부지원금 70% 이하 + (예비)창업자 대응자금 30% 이상


* 현물은 (예비)창업자 본인 및 사업화 수행에 직접 참여하는 기 고용인력의 인건비, 사무실 임차료, 보유 기자재 등으로 부담


< 총 사업비 구성 >

정부지원금

(예비)창업자 대응자금

현금

현물

총 사업비의
70% 이하

총 사업비의
10% 이상

총 사업비의 

20% 이하


* 단, 사업공고일 기준 만 39세 이하인 대학(원) 재‧휴학생(수료생 제외) 중 미취업자 또는 창업 이후 매출이 없는 자의 경우 현물을 30% 이상 부담 가능(①+② 또는 ①+③ 경우)


< 사업비 구성 예시 >

총사업비

정부지원금

(예비)창업자 대응자금

현금

현물

7,000만원

4,900만원

700만원

1,400만원

100%

70%

10%

20%

정부지원금

최대 1억원

자율‧특화

프로그램

☞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자율‧특화 창업지원 프로

그램을 운영(주관기관별 상이, 11페이지 참조)

-

인프라

☞ 창업준비공간, 회의실, 휴게실, 테스트베드 등 인프라 지원 

(주관기관별 상이)

-


□ 지원기간 : 협약 후 7개월 내외 (~20.1월 중순 예정)

- 4 -

4

선정자의 의무


□ 선정자는 지침 및 기준*을 준수하여야 하며, 사업을 완수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야 한다.


* 지침 및 기준은 선정자를 대상으로 별도 안내


□ 선정자는 사업계획서에 명시된 사업화 목표달성을 위해 사업계획을 성실히 이행하여야 한다.


□ 선정자는 창업진흥원이 정한 기한 내에 창업기업 대응자금 (현금)을지정계좌에 입금하여야 하며, 현물 투입이 있을 경우 그 증빙자료를 구비하여 초기창업패키지 주관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 예비창업자(팀)는 사업계획서의 창업아이템 관련 업종으로 협약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중소기업기본법 상의 창업 (사업자 등록)을 이행하여야 한다.


* 예비창업팀은 협약시작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자를 대표자로 하여 창업(사업자등록 또는 법인설립등기)을 하고, 팀원을 상시근로자(4대보험 가입)로 채용하여 유지하여야 함


□ 예비창업자(팀) 또는 개인사업자인 선정자가 법인을 설립하고자 하는 경우는 온라인법인설립시스템 (www.startbiz.go.kr)을 이용하여 법인 설립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선정자는 창업진흥원과 주관기관이 요청하는 자료제출, 점검(수시, 최종) 및 평가 등에 성실히 응하여야 한다.


□ 선정자는 협약종료연도 다음해부터 5년간 이력관리 등에 필요한 제반 요청사항에 성실히 응하여야 한다.

- 5 -

5

신청ㆍ접수


□ 신청기간


◦ 2019년 5월 1일(수) ~ 5월 15일(수) 18:00까지


< 신청 유의 사항 >

① 신청 마감일에는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신청 마감일 2일 이전에 ‘K- startup 가입 및 사업신청’을 미리 진행하는 것을 권장


* 18시까지 최종 단계인 ‘제출완료’ 상태가 되어야 하고, 마감시간 이후 접수(수정 및 입력) 불가


② ‘SCI평가정보’에 개인 또는 기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개인 실명등록’ 또는 ‘기업 실명등록’이 진행되지 않아 사업신청이 불가하오니 사전확인 필요


-  (온라인 등록) http://www.siren24.com/mysiren/customer/sir_g0201_01.jsp


-  (전화문의) 1577- 1006 (2번 누르고 다시 2번 누르면 상담원 연결)


③ 온라인으로만 신청이 가능하고, 접수된 사업계획서 등 일체 내용 삭제‧반환 불가


□ 신청방법


◦ K- startup (www.k- startup.go.kr) 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신청


-  주관기관별 특화유형을 확인하고, 1개 주관기관을 선택하여 신청 (신청‧접수 마감일 이후 변경 불가)


< 온라인 신청절차 >

 ‘K- startup’ 사이트 접속 → ② 회원가입(개인회원) 및 로그인 → ③ 창업사업통합정보관리시스템 클릭 → ④ 초기창업패키지 클릭, 사업신청 → ⑤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 체크 → ⑥ 기본정보 입력(1개 희망 주관기관 선택) → ⑦ 팀원 정보 입력 → ⑧ 사업계획서‧발표자료‧증빙자료 업로드(용량제한 20MB 유의) → ⑨ 제출 (‘마이페이지’에서 신청 확인)


* K- startup (구, 창업넷) 사이트 기존 가입자는 ‘② 회원가입’ 생략

** 온라인 신청관련 자세한 사항은 ‘(예비)창업자 온라인 사업신청 매뉴얼’ 참고

*** 사업계획서는 공고문에 첨부된 양식을 사용하여야 하며, 임의 양식의 사업계획서 제출 시 선정평가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

- 6 -

6

평가 및 선정


□ 선정평가  ※ 평가 장소 및 일정은 주관기관별 상이


자격검토

발표평가

현장확인

 

1차

+

2차

 

자격기준 검토 및 발표평가 대상 확정

문제인식, 실현가능성, 성장전략, 팀 구성 등을 평가


(주관기관별 지원규모의 1.2배수 내외 선발)

문제인식, 실현가능성, 성장전략, 팀 구성, 사업비 적정성 등을 평가

사업계획 진위여부 확인


* 1‧2차 발표평가는 신청자 본인 (대표)이 참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발표평가 일정은 주관기관별로 상이하므로 자세한 일정은 신청한 주관기관으로 문의)

** 기술창업 스카우터로부터 10백만원 이상의 투자를 받은 창업자의 경우 평가면제 혜택을 부여하며, 자세한 사항은 주관기관으로 문의 바람


 자격검토 : 사업계획서, 증빙서류 등을 확인하여 신청자격, 신청 제외대상 여부, 가점*등 검토


* 가점은 사업 신청 시 증빙 서류 제출이 완료된 건에 한하여 인정


② 1‧2차 발표평가 : 제품·서비스 개발 동기, 개발방안, 시장진입 및 성과창출 전략, 대표자 및 팀원의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 1차 발표평가 가점 항목 및 점수 >

가점 세부 항목 (사업공고일 기준)

점수 

비고

1) 팀창업 우대 


-  (예비창업) 2인 이상(대표자 포함)의 예비창업팀


* 협약체결 후 3개월 이내 팀원을 모두 채용하여 직원으로 유지(4대보험 가입)하여야 하고 채용·유지 미이행 시 제재조치 등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  (창업기업) 대표자 및 상시종업원을 포함한 2인 이상의 창업기업


* 사업공고일 기준 대표자를 제외한 직원의 경우 4대보험 가입이 완료된 자

2점

최대 5점

2) 내일채움공제 또는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기업

1명당 1점

3) 일자리 안정자금 수급기업


4) 스톡옵션 제도 도입

각 1점

5) 신청한 창업아이템과 관련된 특허권 또는 실용신안권 보유자


* 권리권자에 한함, 출원 건은 제외, 다수의 지재권도 0.5점 한건으로만 인정


6) 최근 2년 이내(’17~현재) 정부 주관 전국규모 창업경진대회 수상자


-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공동 주최 창업경진대회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수상자


-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대한민국 창업리그 수상자 (지역예선 통과자 제외)


-  특허청 주최 지식재산 데이터 분야 창업경진대회 수상자(입선작 이상) 또는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추천된 자


7) 최근 2년 이내(’17~현재)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교육 이수자
(창업강좌, 창업아카데미, 여성벤처창업 케어프로그램 등)


-  온라인 창업교육(창업에듀 등) 이수자는 제외, 총 30시간 이상의 커리큘럼으로 

구성된 기술창업 교육을 사업공고일 이전에 수료한 경우에 한함

각 0.5점

- 7 -

③ 현장확인 : 발표평가위원회에서 실사 대상기업을 선별(최종선정자의 10% 내외), 사업계획서 내용 현장 확인


□ 최종선정


◦ 주관기관별 (예비)창업자 지원금 예산 범위 내에서 최종선정자 및 최종선정자별 지원 금액을 최종 확정


◦ 주관기관별 해당 권역* 내 (예비)창업자** 선정 비율을 80% 이상으로하며, 주관기관별 특화유형(지역거점 제외, 11페이지 참조)에 해당하는 (예비)창업자는 20% 이상으로 선정


* 서울권, 경인권(인천‧경기), 충청권(대전‧세종‧충남‧충북), 호남권(광주‧전남‧전북·제주), 대경권(대구‧경북), 동남권(부산‧울산, 경남), 강원권

** 예비창업자는 창업 예정지, 창업기업은 사업자등록증 상의 소재지(본사)로 구분


□ 추진일정(안)※ 추진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공 고

󰁾

(예비)창업자 신청ㆍ접수

󰁾

요건검토 및 선정평가

중소벤처기업부

K- Startup

창업진흥원, 주관기관

’19.4.24.(수)

’19.5.1.(수) ~ ’19.5.15.(수)

~’19.6월 초

󰁿

협약체결

󰁼

협약준비

󰁼

지원대상 선정 공지

창업진흥원, 주관기관, (예비)창업자

수정사업계획서 제출

(예비)창업자 현금부담금 입금

주관기관별 발표

’19.6월 중순

’19.6월 중순

’19.6월 초

󰁿

사업수행

󰁾

수시점검

󰁾

최종보고 및 점검

(예비)창업자

(예비)창업자, 주관기관

(예비)창업자, 주관기관

’19.6월 중순~’20.1월 중순 (7개월)

’19.8월 ~ 10월 

’20.1월 말

- 8 -

7

유의사항


□ 신청 시 유의사항


◈ 창업지원사업에 신청하는 (예비)창업자는 관련 법령에 따라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본 사업은 창업활동에 필요한 사항을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으로, 다른 용도의 사업비 사용 또는 거짓신청, 부정한 방법으로 정부지원금을 지원받은 경우 “형법”,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통합관리지침” 등에 따라 형사처벌 또는 정부지원금 전액 환수 및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참여제한 등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② 사업계획서 등을 타인이 대신 작성하여 제출하는 경우, 작성자(대필자)와 신청자(창업자) 등 관련자 전원이 사기 또는 업무방해죄 등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의 사업계획서를 모방‧표절하거나 도용하여신청하는 경우, 중소벤처기업부(창업진흥원)의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에 3년간 참여 불가


◦ ’19년도 중소벤처기업부 및 타 중앙부처의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중복 신청은 가능하나 최초 협약을 체결한 1개의 사업만 수행 가능(타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동시 수행 불가)


* 창업을 전제로 창업 아이템의 사업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비, 지식재산권 확보, 마케팅비 등 사업화에 소요되는 자금을 패키지로 (예비)창업자에게 지원하는 사업


◦ 공동대표 또는 각자대표로 동 사업을 신청하는 경우 대표자 전원이 ‘신청 (지원) 제외 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하여야 함


* 선정 완료 후 공동대표 또는 각자대표에 대한 신청자격을 재검토하여 신청 제외 대상으로 확인되는 경우, 참여제한 및 정부지원금 환수 등의 조치를 받을 수 있음

** 공동대표 또는 각자대표가 동 사업에서 협약을 체결할 경우 향후 타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참여 시 신청이 불가할 수 있음


◦ 중소벤처기업부(舊 중소기업청)의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자 (기업), 기 선정되어 사업을 수행 중인 자 (기업)는 신청불가


* [참고 2]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목록 참조

** 중앙부처의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외 지자체의 사업은 중복 검토 대상 사업에서 제외

- 9 -


-  단, 하단의 표에서 예시하는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할 경우 사업 신청이 가능하나, 사업비 집행에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사업 신청 가능 예시 유형 >

☞ ‘[참고2]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목록(지원(신청)제외 대상사업)’에 포함되지 않는 중기부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을 수행 중인 자(기업) 중 해당 사업의 협약 종료일이 동 사업의 접수마감일(’19.5.15.)을 기준으로 3개월 이내로 남았을 경우


* 단, 기 선정된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의 협약이 종료된 이후에 사업비 집행이 가능

☞ ‘창업기업지원 서비스 바우처, 1인 창조기업 마케팅 지원사업(지식거래조건부 지식사업화지원사업, 마케팅플랫폼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협약을 체결한 자(기업) 


* 사업비 집행 간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스마트창작터(앱창업전문기관, 스마트앱창작터), 신사업창업사관학교(소상공인사관학교)’에서 자금을 지원 받은 자(기업) 


* 단, 선정될 경우 기 지원금을 동 사업의 최종 확정금액에서 차감 후 지원

** 2016년 스마트창작터 사업화 지원을 받은 자(기업)는 신청 불가


◦ 타 중앙부처의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사업수행을 완료(협약종료)한 자는 신청(지원)이 가능하나,


* 타 중앙부처의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협약종료가 동 사업의 접수마감일(’19.5.15.)보다 3개월 이내로 남았을 경우 사업신청이 가능


-  1천만원 이하 수혜자는 지원결정 정부지원금을 전액 지원하고, 1천만원 초과하는 지원금의 수혜자는 1천만원을 초과한 금액을 동 사업의 최종 확정금액에서 차감 후 지원


* 지원금이 1천만원을 초과하는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이 다수일 경우 사업당 1천만원을 초과한 금액을 차감 후 지원


◦ 사업신청 전 주관기관 특화유형을 필히 확인하고 1개 주관기관을 선택하여 신청

- 10 -

< 주관기관 특화유형 >

구분

주요내용

대학·연구소

• 교원·대학(원)생·연구원 창업자를 위한 사업화 지원 등 운영

청년

• 청년창업자 선정,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한 사업화 지원 등 운영

* 청년창업자 : 대표자가 청년(만 39세 이하)인 창업자

중장년

• 세대융합 창업팀 운영, 중장년층 고용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 세대융합 창업팀으로 신청하고자 할 경우 특화유형 중 중·장년 분야를 운영하는 주관기관을 선택

** 세대융합 창업팀 : 중장년(만 40세 이상)과 청년(만 39세 이하)으로 구성

산업

• 특성화 산업분야 사업자 선발, 관련 분야 전문기관 연계 등 지원

글로벌

• 글로벌 진출 계획을 보유한 창업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진출 타당성 조사, 박람회 및 대회 참가 등 지원

투자연계

• 투자유치 계획을 보유한 창업자를 대상으로 투자 유치 및 투자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등 운영

판로연계

• 창업아이템의 판로가 필요한 창업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유통망 연계 프로그램, 홍보‧마케팅 연계 프로그램 등 운영

제조특화

• 업종이 제조업인 창업자를 대상으로 제품개선 지원 프로그램 등 운영


□ 평가 중 유의사항


◈ 본 공고문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통합관리지침 및 동 사업세부 관리기준 등에서 정하는 바에 따르며, 지침‧기준 등 미숙지로 발생하는 불이익 및 그에 따른 책임은 본 사업 신청자에게 있음


◦ 신청자격 요건에 미충족 되거나,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허위 기재또는 누락이 확인된 경우, 평가대상 제외 등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 전 평가 과정에 신청자*가 직접 참여하여야 하고, 불참 시 선정평가에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 예비창업자, 예비창업팀의 대표자, 창업기업의 대표자


-  2차 발표평가 시, ‘제품·서비스의 개발 방안’ 부분은 개발인력(프로그램 개발자, 콘텐츠 제작자 등)이 발표


◦ 발표평가에서 평가항목(가점 제외)별 배점의 60% 미만일 경우 종합점수와 관계없이 선정대상에서 제외


◦ 평가 결과에 대한 이의신청은 결과통보일로부터 7일 이내(휴일 포함)에 1회에 한하여 신청가능

- 11 -

□ 선정 후 유의사항


◦ 동 사업에 선정된 자가 공고문 및 관련 규정에 위배되거나,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허위 기재 또는 누락이 확인된 경우, 선정 취소, 중소벤처기업부(舊 중소기업청) 창업지원사업 참여제한 및 정부지원금 환수 등의 조치를 받을 수 있음


◦ 선정 이후 신청자격을 재확인하여 위배되는사실이 확인되는 경우 사업비 환수 및 참여제한 등의 제재가 있을 수 있음


◦ 창업진흥원과 주관기관은 선정자의 사업비 횡령, 편취 등 용도 외 사업비 집행으로 인한 환수조치 발생 시, 채권추심 등의 행정행위를 취할 수 있음


◦ 정부지원금은 협약 후 지급되며, ‘창업사업통합정보관리시스템’을 통해 관리 운영됨


◦ 수시‧최종 점검 결과에 따라 사업중단 또는 사업비 환수가 될 수 있음


◦ 협약기간 내 대표자가 변경되는 경우 협약취소 등 제재가 있을 수 있음

- 12 -

8

기타 참고사항


□ 사업 신청 문의


◦ 신청‧접수 시스템(K- Startup) 문의 : 국번없이 1357


◦ 주관기관


연번

주관기관

소재지

담당자

연락처

이메일

1

가천대

경기(성남)

이상근

031)750- 6932

leesg64@gachon.ac.kr

김흥복

031)750- 6931

gazet01@gachon.ac.kr 

김진영

031)750- 6964

jykim0127@gachon.ac.kr

2

가톨릭관동대

강원(강릉)

박수하

033- 649- 7198

shpar@cku.ac.kr

손양규

033- 649- 7348

warman120@cku.ac.kr

3

강원대

강원(춘천)

장도희

033- 250- 8968

kkjsseye@naver.com

곽수정

033- 250- 8969

kwakcoffee@kangwon.ac.kr

신민진

033- 250- 8970

kiwi@kangwon.ac.kr 

4

건국대

서울

우아미

02- 450- 4288

aami@konkuk.ac.kr

우민지

02- 2049- 6126

woomj@konkuk.ac.kr

5

경기대

경기(수원)

전혜영

031- 249- 8702

startravel@kgu.ac.kr

권두미

031- 249- 8667

enaldi77@kgu.ac.kr

6

경북대

대구

김지형

053- 950- 7657

kimjh86@knu.ac.kr

이경은

053- 950- 7658

lke0522@knu.ac.kr 

이성희

leesh135@knu.ac.kr

7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경북(구미)

정혜윤

054- 470- 2635

hyjung@ccei.kr

엄재욱

054- 470- 2634

eom@ccei.kr

8

경일대

경북(경산)

이경민

053- 600- 4451

bridge@kiu.kr

정연재

053- 600- 4452

신진아

053- 600- 4454

9

계명대

대구

최지현

053- 620- 2042

hyunia@kmu.ac.kr

서미화

053- 620- 2035

seomh1213@kmu.ac.kr

10

고려대

서울

박종성

02- 3290- 4811

language@korea.ac.kr

구본아

02- 3290- 4814

bonah@korea.ac.kr

11

광주대

광주

이정민

062- 670- 2162

lux5402@gwangju.ac.kr

전상권

062- 670- 2261

sins4250@gwangju.ac.kr

12

국민대

서울

윤나영

02- 910- 5917

startup@kookmin.ac.kr

김보원

02- 910- 5918

13

군산대

전북(군산)

허다희

063- 469- 8943

huhdh@kunsan.ac.kr

조성빈

063- 469- 8942

jsb1431@kunsan.ac.kr

14

단국대

경기(용인)

이존호

031- 8005- 2863

12140982@dankook.ac.kr

진선정

031- 8005- 2866

sunjungjin@dankook.ac.kr

15

대구대

경북(경산)

박상묵

053- 850- 4377

startup@daegu.ac.kr

김유진

053- 850- 4378

홍완기

053- 850- 4379

16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대전

김군태

042- 385- 0617

robin@ccei.kr

민지영

042- 385- 0621

jymin@ccei.kr

17

동국대

서울

정슬기

02- 2088- 3737(#1115)

startup@nate.com

김지연

02- 2088- 3737(#1117)

김태환

02- 2088- 3737(#1112)

18

동서대

부산

전형진

051- 320- 2636

hjeon@dongseo.ac.kr

차은정

051- 320- 2964

dmswjd109@dongseo.ac.kr

이혜준

051- 320- 2962

leehj4022@dongseo.ac.kr

19

동아대

부산

류정은

051- 200- 6365

jeyou@dau.ac.kr

이세미

semi87@dau.ac.kr

20

㈜르호봇비즈니스

인큐베이터

서울

채원영

02- 780- 9297

blockcube@ibusiness.co.kr

양영순

21

부경대

부산

이준형

051- 629- 5668

ljhok87@pknu.ac.kr

서수민

051- 629- 7476

jkismine@pknu.ac.kr

22

부산대

부산

박은빈

051- 510- 1994

binsbins@pusan.ac.kr

박정후

051- 510- 1994

pjh0000@pusan.ac.kr

박혜림

051- 510- 1994

parkhl@pusan.ac.kr

23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부산

김현진

051- 749- 9455

khj@busanit.or.kr

천원용

051- 749- 9461

cwy@busanit.or.kr

24

서울과학기술대

서울

박명주

02- 970- 9027

bonajoo@seoultech.ac.kr

이나래

02- 970- 9203

leena@seoultech.ac.kr

25

서울대

서울

김영아

02- 880- 2224

youngah617@snu.ac.kr

기형근

02- 880- 2224

ehlftkfka90@snu.ac.kr

성지용

02- 880- 2223

bkstrisjy@snu.ac.kr

26

성균관대

경기(수원)

홍석원

031- 290- 5657

swzz2006@skku.edu

김민지

031- 290- 5658

minji0211@skku.edu

27

성신여대

서울

허혜정

02- 920- 7565

rkdcjs12@sungshin.ac.kr

강로윤

02- 920- 7915

monsilbora@sungshin.ac.kr

28

수원시지속가능

도시재단

경기(수원)

박용섭

031- 280- 6381

planwork3r@sscf2016.or.kr

최우리

031- 280- 6384

wrchoi@sscf2016.or.kr

29

순천대

전남(순천)

김선구

061- 750- 5432

ksgent@scnu.ac.kr

김아영

061- 750- 5433

dkdud1021@scnu.ac.kr

30

순천향대

충남(아산)

송백광

041- 530- 4830

bk@sch.ac.kr

서지현

041- 530- 4973

seoji0305@naver.com

31

숭실대

서울

김민정

02- 828- 7476

mooca@ssu.ac.kr

기홍석

02- 828- 7057

redstone78@ssu.ac.kr

32

아주대

경기(수원)

김선호

031- 219- 3826

startup@ajou.ac.kr

고권희

031- 219- 3656

33

연세대

서울

김남수

02- 2123- 4306

nskim024@yonsei.ac.kr

박미정

02- 2123- 4414

mi_j902@yonsei.ac.kr

박보람

02- 2123- 4849

brpark@yonsei.ac.kr

34

영산대

경남(양산)

최연정

055- 380- 9103

cjy8349@ysu.ac.kr

임종희

055- 380- 9523

ijh@ysu.ac.kr

35

울산대

울산

심수영

052- 259- 2108

swim9879@ulsan.ac.kr

김세정

052- 259- 1333

remnant8493@ulsan.ac.kr

이혜원

052- 259- 1334

leehw@ulsan.ac.kr 

한보배

052- 259- 2109

treasure315@ulsan.ac.kr

36

원광대

전북(익산)

박지호

063- 850- 7458

xguys4@wku.ac.kr

장지수

063- 850- 7477

blueclip@wku.ac.kr

하동훈

063- 850- 7460

hd0222@naver.com

37

인덕대

서울

하희주

02- 950- 7095

hnoopy@induk.ac.kr

나준연

02- 950- 7357

najy1410@induk.ac.kr

38

(재)인천테크노파크

인천

홍경식

032)250- 2161

hongks@itp.or.kr

유성일

032)250- 2162

sungil714@itp.or.kr

39

인천대

인천

오은정

032- 835- 9669

ej5@inu.ac.kr

임송희

032- 835- 9667

lim0485@inu.ac.kr

40

전라북도

경제통상진흥원

전북(전주)

양수진

063- 711- 2143

ysj3573@jbba.kr

김규혁

063- 711- 2144

kimkh1318@jbba.kr

41

전북대

전북(전주)

김성종

063- 219- 5534

jjuucc@jbnu.ac.kr

곽효정

063- 219- 5467

my8318jh@jbnu.ac.kr

42

전주대

전북(전주)

정세용

063- 220- 2840

seyong22@jj.ac.kr

안동오

063- 220- 2847

qortn72@jj.ac.kr

한지원

063- 220- 3196

cupidjw@jj.ac.kr

43

조선대

광주

정금남

062- 230- 7740

2307989@hanmail.net

김강민

062- 608- 5194

kimyuri420@chosun.ac.kr

44

충남대

대전

윤병선

042- 821- 8867

cnustartup@cnu.ac.kr

한원희

042- 821- 8956

45

충북대

충북(청주)

권민희

043- 261- 3718

kmh8821@cbnu.ac.kr

김지혜

043- 261- 3444

jeheapy@cbnu.ac.kr

46

한국교통대

충북(충주)

김미희

043- 849- 1706

purple7@ut.ac.kr

박주영

043- 849- 1705

ju0@ut.ac.kr

47

한국디자인진흥원

경기(성남)

김예진

031- 780- 2161

k- startup@kidp.or.kr

정다은

031- 780- 2188

48

한국산업기술대

경기(시흥)

정우리

031- 8041- 0987

jwr@kpu.ac.kr

한준수

031- 8041- 0988

coolhjs@kpu.ac.kr

49

한국환경

산업기술원

인천

이상식

032- 540- 2141

ssrhee@keiti.re.kr

한규석

032- 540- 2142

sotae0735@keiti.re.kr

50

한남대

대전

문현진

042- 629- 8562

hyunjin889@hnu.kr

박진영

042- 629- 8566

jjin_88@hnu.kr

박근애

042- 629- 8565

pppark@hnu.kr

신미란

042- 629- 8564

meeran@hnu.kr

51

한밭대

대전

강혜정

042- 828- 8663

hjkiki0203@hanbat.ac.kr

박동일

042- 828- 8667

dongonetwo@hanbat.ac.kr

52

한양대

서울

김미연

02- 2220- 2851

rywmy@hanyang.ac.kr

변지희

02- 2220- 1979

byunjihee@hanyang.ac.kr

53

호서대

충남(아산)

최성훈

041- 540- 9933~8

startup@hoseo.edu

서덕화



◦ 창업진흥원 초기창업부 : 042- 480- 4353~4359, 4396, 4497~4499

- 13 -

창업인정 기준

참고 1


※ 업종은 통계법 제22조 1항에 따라 통계청장이 작성·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상의 세분류(4자리)를 기준으로 함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참조)


① ‘창업’으로 인정되는 경우


-  아래의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신청하는 사업자(개인, 법인)를 기준으로 신청자격 및 제외 대상 여부 검토


☞ 기존 기업(개인, 법인)과 이종업종의 제품을 생산하는 법인사업자로 신청하는 경우 


* 폐업 기업 포함


☞ 기존 기업 (개인, 법인)을 폐업하지 않고, 다른 장소에서 동종업종의 
제품을 생산하는 법인사업자로 신청하는 경우


☞ 개인 사업자가 기존의 사업자를 모두 폐업하고, 기존 사업자와 이종업종의 개인사업자로 신청하는 경우(사업승계의 경우 제외)


② ‘창업’으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


-  아래의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최초 등록한 사업자(개인, 법인)를 기준으로 신청자격 및 제외 대상 여부 검토


☞ 기존 기업(개인, 법인)과 동일한 장소에서 동종업종의 제품을 생산하는법인사업자로 신청하는 경우        ※ 조직변경, 형태변경, 위장창업에 해당


* 폐업 기업 포함


☞ 기존 기업 (개인, 법인)을 폐업하고, 다른 장소에서 동종업종의 제품을 생산하는 법인사업자로 신청하는 경우      ※ 법인전환, 사업승계에 해당


☞ 개인 사업자가 기존 사업자를 모두 폐업하고, 기존 사업자와 동종
업종의 개인사업자로 신청하는 경우          ※ 사업이전(재창업)에 해당


☞ 개인 사업자가 기존 사업자를 폐업하지 않고, 기존 사업자와 동종 또는 이종업종의 개인사업자로 신청하는 경우    ※ 사업확장, 업종추가에 해당

- 14 -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목록

참고 2


’09년~’19년 (지원(신청) 제외 대상사업)

◦외국인 기술창업 지원사업


◦민관공동 창업자 발굴 육성 (TIPS 연계지원, 창업기획사)


◦사내벤처 육성프로그램


◦상생서포터즈 청년‧창업 프로그램 (집중육성)


◦선도벤처연계 기술창업 지원사업


◦세대융합 창업캠퍼스


◦스마트벤처캠퍼스 (舊 스마트벤처창업학교)


◦스마트창작터 사업화 지원 (2016년)


◦유망특허활용 기술창업지원사업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창업맞춤형사업


-  실험실창업 지원사업, 예비기술창업자 육성사업, 창업맞춤형사업화 지원사업, 연구원특화 예비창업자 육성사업, 연구원 창업프로그램, 창업아이템 상품화 지원사업, 아이디어상업화 지원사업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  예비기술창업자 육성사업, 창업사업화지원, 창업아이템 사업화


◦창업성공패키지(舊 청년창업사관학교)


◦창업인턴제 (사업화)


◦크리에이티브팩토리 지원사업 (3단계)


◦패키지형 재도전 지원사업 (재도전성공패키지)

- 15 -

지원제외 대상 업종

참고 3


구분

대상 업종

코드번호

세세분류

1

금융 및 보험업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은 제외)

K64∼66

2

부동산업

L68

3

숙박 및 음식점업

(호텔업, 휴양콘도 운영업, 기타 관광숙박시설 운영업 및 상시근로자 20명 이상의 법인인 음식점업은 제외)

I55∼56

4

무도장 운영업

91291

5

골프장 및 스키장 운영업

9112

6

기타 갬블링 및 베팅업(사행시설 관리 및 운영업)

9124

7

기타 개인 서비스업(그외 기타 개인 서비스업은 제외)

96

8

그 밖에 제조업이 아닌 업종으로서 중소벤처기업부령으로 정하는 업종

-


* 대상 업종의 세부사항은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통계청, kssc.kostat.go.kr) 참고


(예비)창업자 사업화 자금 집행 비목

참고 4


비목

비목 정의 

재료비

• 사업계획서 상의 사업화를 위해 소요되는 재료 또는 원료를 구입하는 비용

외주용역비

• 창업기업이 자체적으로 시제품제작을 완성할 수 없는 경우 일부 공정에 대해 외부 업체에 의뢰하여 제작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 비용

기계장치 구입비

(공구·기구, 비품, SW 등)

• 사업화를 위해 필요한 일정 횟수 또는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계 또는 설비, 비품을 구입하는 비용

특허권 등 

무형자산 취득비

• 사업계획서 상의 창업아이템과 직접 관련있는 지식재산권 등의 출원‧등록관련 비용

인건비

• 창업기업 소속직원이 시제품제작에 직접 참여하는 경우, 과제참여율에 따라 지급하는 급여 (대표자 지급 불가)

지급수수료

• 사업화를 위한 거래를 수행하는 대가로 요구하는 비용(기술이전비, 학회 및 세미나 참가비, 전시회 및 박람회 참가비, 시험·인증비, 멘토링비, 기자재임차비, 사무실임대료, 운반비, 보험료, 보관료, 회계감사비, 법인설립비 등)

여비

• 창업기업이 소재지를 벗어나 타 지역 또는 타 국가로 출장 등의 사유로 집행하는 비용 

교육훈련비

• 창업기업 임직원이 사업화를 위해 기술 및 경영교육 이수 시 집행하는 비용

광고선전비

• 창업기업 제품과 기업을 홍보하기 위한 홈페이지 제작비, 홍보영상 및 홍보물 제작비, 포장 디자인비, 일간지 등의 광고게재, 기타 마케팅에 소요되는 비용

- 16 -

주관기관 (예비)창업자 선정규모

참고 5


주관기관

지원규모(명)

소재지

주관기관

지원규모(명)

소재지

가천대

18

경기(성남)

수원시지속가능

도시재단

16

경기(수원)

가톨릭관동대

13

강원(강릉)

순천대

13

전남(순천)

강원대

17

강원(춘천)

순천향대

13

충남(아산)

건국대

17

서울

숭실대

20

서울

경기대

17

경기(수원)

아주대

20

경기(수원)

경북대

20

대구

연세대

20

서울

경북창조경제

혁신센터

16

경북(구미)

영산대

16

경남(양산)

경일대

16

경북(경산)

울산대

20

울산

계명대

17

대구

원광대

13

전북(익산)

고려대

18

서울

인덕대

15

서울

광주대

13

광주

인천대

16

인천

국민대

17

서울

(재)인천테크노파크

15

인천

군산대

13

전북(군산)

전라북도

경제통상진흥원

13

전북(전주)

단국대

20

경기(용인)

전북대

16

전북(전주)

대구대

16

경북(경산)

전주대

16

전북(전주)

대전창조경제

혁신센터

13

대전

조선대

13

광주

동국대

17

서울

충남대

14

대전

동서대

13

부산

충북대

13

충북(청주)

동아대

13

부산

한국교통대

14

충북(충주)

㈜르호봇비즈니스

인큐베이터

17

서울

한국디자인진흥원

17

경기(성남)

부경대

13

부산

한국산업기술대

16

경기(시흥)

부산대

16

부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17

인천

부산정보산업진흥원

16

부산

한남대

14

대전

서울과학기술대

15

서울

한밭대

15

대전

서울대

20

서울

한양대

23

서울

성균관대

23

경기(수원)

호서대

13

충남(아산)

성신여대

15

서울

* 주관기관 선정규모는 기술창업 스카우터 등의 추천을 받아 선정되는 창업자를 포함

** 상기 주관기관별 선정규모는 (예비)창업자 선정평가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17 -

주관기관 특화유형

참고 6


주관기관

특화유형

주관기관

특화유형

가천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수원시지속가능

도시재단

글로벌

중장년

지역거점

가톨릭관동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순천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강원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순천향대

대학·연구소

판로연계

지역거점

건국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숭실대

대학·연구소

청년

지역거점

경기대

대학·연구소

판로연계

지역거점

아주대

대학·연구소

청년

지역거점

경북대

대학·연구소

판로연계

지역거점

연세대

대학·연구소

청년

지역거점

경북창조경제

혁신센터

글로벌

중장년

제조특화

영산대

글로벌

중장년

지역거점

경일대

대학·연구소

판로연계

지역거점

울산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산업

(바이오)

계명대

대학·연구소

투자연계

지역거점

원광대

대학·연구소

청년

지역거점

고려대

대학·연구소

산업

(바이오)

지역거점

인덕대

대학·연구소

청년

지역거점

광주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인천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국민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투자연계

(재)인천테크노파크

청년

투자연계

지역거점

군산대

대학·연구소

청년

산업

(식품)

전라북도

경제통상진흥원

중장년

판로연계

지역거점

단국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전북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제조특화

대구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전주대

대학·연구소

판로연계

지역거점

대전창조경제

혁신센터

글로벌

산업

(첨단센서)

지역거점

조선대

대학·연구소

산업

(광주지역

산업특화)

지역거점

동국대

대학·연구소

청년

지역거점

충남대

대학·연구소

산업

(바이오)

지역거점

동서대

대학·연구소

산업

(ICT융합·콘텐츠)

청년

충북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동아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산업

(ICT융합

스마트팩토리)

한국교통대

대학·연구소

투자연계

지역거점

㈜르호봇비즈니스

인큐베이터

글로벌

중장년

판로연계

한국디자인

진흥원

중장년

청년

판로연계

부경대

대학·연구소

산업

(수산·해양)

지역거점

한국산업기술대

대학·연구소

산업

(스마트산업)

지역거점

부산대

대학·연구소

판로연계

지역거점

한국환경

산업기술원

글로벌

산업

(환경ICT)

중장년

부산정보산업

진흥원

글로벌

산업

(지식서비스)

지역거점

한남대

대학·연구소

판로연계

지역거점

서울과학기술대

대학·연구소

청년

지역거점

한밭대

대학·연구소

투자연계

지역거점

서울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한양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투자연계

성균관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산업

(ICT)

호서대

글로벌

대학·연구소

지역거점

성신여대

대학·연구소

청년

지역거점

- 18 -

4차산업 분야

참고 7


전략분야

전략품목

전략분야

전략품목

인공

지능

(6)

인간- 인공지능 협업 시스템

영상 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화자 확인 시스템

Robotic Process Automation(RPA)

공공서비스 특화 챗봇 시스템

텍스트 기반 시각 데이터 이해 및 검색 서비스

지능형반도체

(8)

차세대 서버용 DDR5 메모리\모듈(DIMM)용PMIC

MEMS 센서

CMOS 이미지 센서 기반 디스플레이 

내장형 지문인식 센서

개방형 적응 능동소음제어(ANC) 

귀마개(earmuffs) system- on- chip 반도체

초저전압 고신뢰성 뉴로모픽 엔진 

탑재 마이크로 컨트롤러

차세대 지능형 메모리 제어기

능동형 IoT 디바이스

보안용 반도체

데이터

(6)

빅데이터 내 데이터 품질 검사 자동화 시스템

자연어 처리기반 텍스트 마이닝

유통/물류 빅데이터 구축 및 분석 시스템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플랫폼

데이터 3D 변환 시각화 도구

감성정보 분석 서비스

첨단

소재

(5)

기능성 나노 소재

이종접합 소재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클라

우드

(8)

Real- time IoT 실현 클라우드 엣지컴퓨팅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통합 보안서비스

클라우드 현장 협업 플랫폼

전시 행사 정보 제공 플랫폼 서비스

클라우드 스토리지 어플라이언스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스트럭처

클라우드 컨테이너

클라우드 브로커링

스마트헬스

케어

(8)

신속정확한 현장검사형(POCT) 면역진단 키트

스마트 헬스 웨어러블 기기

가정용 의료기기 및 플랫폼

유전체분석(NGS) 플랫폼 비즈니스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기기 및 플랫폼

인공지능 기반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스마트 안티 폴루션 추천시스템

면역억제제

사물

인터넷

(6)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보안 시스템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가상화 시스템

IoT 스마트뷰티

IoT 스마트완구 및 교구

요양병원 지원 IoT 시스템

IoT 기반 물류 트래킹 시스템

5G

(6)

5G 통신 모듈 탑재 사물인터넷 기기

5G 프론트홀/백홀 시스템

5G 네트워크 지원 클라우드 컴퓨팅 및 

캐싱 시스템

융복합 다기능 RF 및 안테나

초고속 이동체용 무선통신 서비스

차세대 초고속 모뎀 및 AP 부품

AR·VR

(8)

AR/VR 무선 시뮬레이터

AR/VR 교육 및 의료용 체험 콘텐츠

AR/VR 기반 안전 체험 솔루션

햅틱 피드백 장비

AR/VR 디지털 사이니지

AR/VR 유통 플랫폼

AR/VR 실시간 전송 및 중계 시스템

AR/VR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3D

프린팅

(6)

개인맞춤형 3D프린팅 의료기기

3D출력 데이터 기반 응용 SW

의료영상 3D모델링 및 3D프린팅 

클라우드 시스템SW

3D프린트용 고분자소재

3D프린트용 금속분말소재

Binder Jetting 3D프린터

드론(8)

소형 드론용 고출력 추진체

딥러닝 기반 AI 물체인식 소형 카메라 

모듈 패키지

드론용 고신뢰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다수 무인항공기 상대위치 및 속도

추정 복합항법

생명체 식별 탐색 드론

화재 진압용 드론

산업용 드론 교육연수 SW

다국적용 드론교육 시스템

블록

체인

(9)

블록체인 기반 소액 기부/후원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공유 경제 서비스

블록체인 기반 중고거래 융합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쇼핑몰

블록체인 기반 u- wellness 서비스

블록체인 암호키 관리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서비스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불법 거래 탐지 시스템

- 19 -

전략분야

전략품목

전략분야

전략품목

스마트공장

(22)

MES 활용 제조 애플리케이션

비전 기반 제조품질 검사 시스템

스마트 제조 CPS

제조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엔진

웨어러블 디바이스 활용 작업현황 

분석 및 예측 장치

제조 데이터 처리용 엣지컴퓨팅 시스템

제조 기반 사이버 보안

스마트공장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장치

스마트 제조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중소제조기업용 협동로봇

3D프린팅 기반 친환경자동차용 전장부품

등각냉각 채널 적용 3D프린팅 금형 설계 

및 제작 시스템

저전력 정보처리기능 단말기

IoT 공장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전류센서 IC

유연생산시스템(FMS)용 무인반송차(AGV)

스마트 집진기

기계‧설비 바이탈 사인 기반 설비 모니터링 

및 예측진단용 IoT 센서

환경센서

스마트 포장설비

스마트 물류 적용 RFID・센서

ICT‧센서‧조명기술 융합 긴급 재난안전 장치

자율

주행차

(6)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소프트웨어

AR 기반 실제 도로 환경 사고재현 장치 

국산 저가형 2D 라이다 소스

자율주행 차량용 리던던시 전원/통신 시스템

무인 물류 차량

자율주행차량 사고방지용 차량제어 

능동안전 시스템

O2O

(6)

O2O 서비스 중개 플랫폼

클라우드 기반의 O2O 서비스 플랫폼

지능형 O2O 서비스 데이터 분석 시스템

한류 뷰티 O2O 서비스

외래관광객용 관광 O2O 서비스

반려동물 케어 O2O 서비스

신재생에너지

(7)

건물 부착형 혹은 일체형 태양광 발전

고효율 수소 저장 시스템

신재생 연계 융·복합 발전 시스템

바이오매스의 분산형 소형 가스화 

발전 시스템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 관리시스템

축분 폐기물 에너지 자원화

이차전지용 핵심소재 및 제품

스마트팜

(8)

스마트팜 재난 최소화 용수공급장치

스마트팜 영양 염류 저감 이용 시스템

수출용 스마트팜 플랜트 표준모델 및 자재

스마트 배지 및 나노비료

이미지·모션 트래킹 기반의 자율 대응 시스템

환경·안전·에너지 절감형 스마트축산 

통합 시스템

AI기반의 스마트팜 플랫폼

작물별 생육정보 빅데이터 구축 및 배양액 

최적화 시스템

스마트시티

(5)

스마트 빌딩 자동화 시스템

도심 내 미세먼지 상세오염도 정보제공 

플랫폼

친환경 빗물정화 및 재이용 장치

3차원 위험시설물 감시·관리기능 

송수신 장치

전방위 촬상 광학계

지능형로봇

(7)

산업용 근력 증강 웨어러블 로봇

가정용 로봇 및 콘텐츠

융합적 사고 교육용 교구재 로봇 

엔터테인먼트용 시뮬레이터 로봇 

물류 로봇

바이오 공정 자동화 지능형로봇 시스템

재활훈련용 근력보조 웨어러블 로봇

핀테크

(7)

국내외 간편 송금 및 결제

크라우드펀딩

자산관리 서비스

레그테크 서비스

인슈어테크 서비스

모바일 핀테크 보안

핀테크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서비스

- 20 -

사업설명회 일정

참고 8


□ 대전 (19.4.26(금) 14:00 ~ 17:00)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북로 104 대전·충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2층 대강당


□ 서울 (19.4.29(월) 14:00 ~ 16:00)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삼성관 국제원격회의실 B109호

- 21 -



□ 광주 (19.4.30(화) 14:00 ~ 16:00)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효덕로 277 광주대학교 백인관 2층 컨퍼런스룸



□ 대구 (19.5.2(목) 14:00 ~ 16:00)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글로벌 플라자 201호

- 22 -

□ 부산 (19.5.3(금) 14:00 ~ 16:00)


 

주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수영강변대로 140 부산문화콘텐츠콤플렉스 5층 복합공간

※ 설명회장 주차공간이 매우 협소하고, 주차요금은 지원되지 않으니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