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교과소개
문헌정보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 출처: 학사 DB
과목명 | 소개 |
---|---|
4차 산업혁명과 도서관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Library) |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다양한 기술 혁신 및 보다 지능화된 사회로의 변화 양상을 개괄한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도서관의 역할 및 서비스,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발전방향을 이해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급변하는 정보환경 속에서 정보전문가로서 가져야 할 사명과 과제를 고찰할 기회를 갖는다. |
정보커뮤니케이션론 (Understnading the Communication) | 정보의 활용과 정보 자료의 문헌정보학적 수용범위와 이론에 대해 체계적으로 교육한다. |
문헌정보학개론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문헌정보학의 입문과정으로서 그 의의와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문헌정보학을 구성하는 각 교과목에 대한 개략적인 개요와 그 체계를 이해한다. |
영어자료읽기 (Read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terature) | 독서력의 발달에 따른 도서관 그리고 정보 과학 문학, 읽기를 영어로 소개하고 독해하며 영문자료관리에 적용하기 위한 교육이다. |
과목명 | 소개 |
---|---|
도서관경영론 (Library Management) | 각 도서관과 자료센터의 조직관리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경영이론과 경영학, 행정학 등 관련학문에서 적용된 이론 교육이다. |
목록학 (introdution to cataloging) | 정보자료의 검색을 위한 목록이론과 목록기술법, 표목선정 및 편성방법, MARC의 적용 교육이다. |
분류학 (introdution to classification) | 정보자료의 체계적인 조직에 관한 원리, 역사와 세계주요 분류체계를 알아보고 KDC, DDC, LC를 통해 실제 분류연습을 중점으로 실습하는 실용교육이다. |
빅데이터와도서관 (Big data and Library) | 본 과목에서는 빅데이터의 개념, 기술, 유용성, 빅데이터 기반의 경영 환경 개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도서관 빅데이터를 적용한 실제 사례에 대한 학습을 통해 새로운 도서관 운영의 의미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정보봉사론 (Information Sources and Services) | 도서관 업무에서 참고업무 의의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각 유형의 참고질문, 이용자들을 구분하여 그에 적합한 효과적인 봉사유형 및 실행방법의 파악할 수 있는 참고사서양성교육이다. |
정보자원의탐색과이해 (Understading and Searching Information Resoures) | 다양한 정보자원의 유형 및 특징을 이해하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정보자원의 조사방법을 학습한다. |
정보공유와XML의활용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Linking and XML) | 정보공유의 표준 포맷인 XML의 스키마와 구축방법을 학습한다. |
정보와지적재산 (Information and Copyright) | 저작권 기초이론과 도서관상호협력에 따른 문제점 등 지적재산과 도서관의 관계를 교육 |
학교도서관운영 (School Library Operation) | 학교도서관 운영의 주요 요소인 자료, 시설, 비품의 운영 기법은 물론 도서관의 이용자 서비스와 교육 등에 대하여 배운다. |
과목명 | 소개 |
---|---|
디지털도서관 (Digital Library) | 도서관 업무의 자동화 방법, 네트워크, 도서관 업무시스템분석을 통한 전산화 방안을 습득하는 교육을 실시하여 실무에 즉각 적용하기위한 교육이다. |
정보검색 (Information Storage & Retrieval) | 정보관리자로서 정보검색시스템에 관한 이론과 실제 검색 기법을 교육하여 도서관 정보자료에 적합한 검색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해 살펴보고 실무에 적용하도록 교육한다. |
MARC와RDA (MARC and RDA) | 메타정보 구축을 위하여 MARC과 RDA기술규칙을 학습한다. |
NIE와논술지도 (NIE & discourse instruction) | 신문자료를 활용한 논술 작성법 및 독서·논술교육 방법을 익혀 독서교육과 논술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운다. |
공공도서관운영론 (Public Library Management) | 공공도서관경영의 일반적인 개념과 구조, 지역주민을 위한 정보서비스 활동 추의, 공공도서관 조직 및 직원, 장서의 특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교육 및 문화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 대한 주제들을 다룬다. |
데이터베이스구축실습 (Consturction on Database) |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 개념과 구조, 모델링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Microsoft Access를 활용하여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젝트를 완성한다. |
인문사회과학서지 (The Bibliograph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인문과학 및 사회과학분야의 정보원과 각종 서지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탐색한다. |
장서관리론 (Collection Management) | 장서관리에 대한 제반 지식과 전자자원에 대한 개발 전략을 학습한다. |
정보공유와LOD (Understanding of Linked Open Data) | 웹 환경에서 정형화된 형태로 데이터를 출판 공유, 재사용하기 위한 LOD의 개념 및 요소 기술, 활용 서비스에 대해서 교육한다. |
과목명 | 소개 |
---|---|
기록관리론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 기록관리에 대한 기본 개념 및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며, 기록관리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관리의 핵심 영역인 수집, 선별, 평가, 정리기술 및 기록정보서비스, 기록전문가, 디지털 보존 등에 관한 기본내용을 학습한다. |
데이터처리와통계분석 (Data Processing & Statistical Analysis) | 데이터 분석의 기초적 개념인 데이터 처리 및 코딩, 통계 분석 방법을 습득하는 교과목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 및 통계분석 개념에 대한 전반이해와 함께 구체적인 사례 중심의 실습을 통해 데이터 처리 및 통계분석의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
도서관기획론 (The theory of Library Planning) | 도서관의 종합계획 수립과 평가, 도서관 업무의 설계 및 실행과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를 다룬다. |
독서교육 (Reading Instruction) | 여러 유형의 독서활동을 개관하고, 각 목적과 독서자 수준에 맞는 도서방법에 접근하며, 독서요법과 독서영역에 대해 다룸 |
메타데이터구축실습 (Construction of Meta Information) | MARC 및 KCR 규칙을 활용하여 메타정보를 구축하는 교육을 수행한다 |
자료조직론 (Materials Organization) | 도서관자료조직과 관련된 분류 및 목록의 이론을 보다 깊이 다루는 심화과정으로, 분류와 목록의 역사와 발전과 제규정과 규칙 등을 구체적으로 익혀 도서관 자료의 조직능력을 배양한다. |
자연과학서지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ources) | 자연과학 및 공학분야 문헌의 특성과 서지통정, 정보원 안내 교육 |
정보이용자론 (Information user studies) | 기록관리에 대한 기본 개념 및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며, 기록관리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관리의 핵심 영역인 수집, 선별, 평가, 정리기술 및 기록정보서비스, 기록전문가, 디지털 보존 등에 관한 기본내용을 학습한다. |
캡스톤디자인 (Capstone Design) | 산업현장에서 부딪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특정 과업을 설계하고 제작한다. |
현장실무실습 (The Field Practical Training) | LOD, XML관련 정보기관 및 도서관에 현장실무자로서의 실습을 수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