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대학교

JEONJU UNIVERSITY DIVISION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CREATIVE WRITING

전주대학교 한국어문학창작학부

한국어문학창작학부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 출처: 학사 DB

과목명 소개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과목명 소개
국어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한국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의 개념과 특징, 한국어의 계통과 역사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고소설의이해 (Understanding of Classic Novels) 고소설 장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고소설의 개념과 범위, 고소설의 형성 배경과 전개를 살펴보고, 중요한 작품에 대한 강독을 통하여 고소설의 실상과 장르적인 성격을 파악해 본다.
국문학사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국문학의 기원에서 조선 말까지 한국문학을 고전문학이라 한다. 고전문학은 중국문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 고전문학의 총체적인 흐름을 파악한다. 국문학의 장르적 전개와 장르별 개별 작품들의 역사적 의미와 전개를 살펴본다.
국어교육론 (Pedagogical Theory of Korean Language) 이 과목은 국어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를 통해 국어교육의 모든 분야에 대한 기초지식을 갖게 하는 동시에 국어 교육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국어에 관련된 제반의 과제를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개설된 과목이다.
문학유산답사Ⅱ (Field Study Trip for Literary HeritageⅡ) 문학 유산이 남아 있는 현장을 답사하고 이야기문화원형에 대한 채록과 생애사 구술, 스토리텔링 창작 실습을 진행함으로써 디지털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스토리텔러로서의 현장감각을 익힌다.
사회언어학 (Sociolinguistics) 사회, 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 화자들의 구체적인 언어 사용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언어 변이와 사회적 요인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살핀다.
스토리텔링연습 (Storytelling practice) 본 교과목을 통해 수강생들은 문예창작의 기초가 되는 스토리텔링 이론을 학습하고, 기본적인 문장작법을 연습한다.
웹시나리오작법 (Webscenario writing) 웹시나리오의 장르와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 창작에 필요한 작법을 습득한다.
의사소통교육론 (Pedagog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kill) 효율적으로 말하고 듣는 능력을 신장함으로써 효과적인 언어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언어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을 설정하고 이를 경험함으로써 모든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근대문학사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본 교과목은 현대소설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근대문학에 있어서 현대소설의 위상과 주요 작품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한다. 시대별, 작가별 소설의 특징 및 소설이론 등을 강의한다.
한국어교육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이 한국어가 모국어인 학습자 대상의 국어교육과 구별되는 요소를 살핀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교육 내용이 무엇이고, 적절한 교육방법이 무엇인지를 살피면서, 그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이해한다.
한국어문법교육론 (Theory of Teaching Korean Grammar) 한국어의 문법적 요소를 제시하는 교육방법을 이해한다. 자모의 교육방법, 음운론적 특성의 교육방법, 통사적 문법요소의 교육방법을 제2 언어 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한국어표현교육론 (Pedagogical Theory of Expression Skill in Korean) 말하기 표현과 쓰기 표현의 특징을 각각 살피고, 표현 방식에 나타나는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차이를 통해서 말하기 표현과 쓰기 표현의 교육 방안을 이해한다.
한자어휘교육론 (Theory of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한국어 어휘에 나타나는 한자어의 특징을 이해한다. 한자 어휘의 조어 방식과 필수 한자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과목명 소개
국문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국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살펴본 다음, 국문학의 장르와 장르별 주요 작품, 그리고 개별 작품의 내용과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국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본 강좌의 목표이다
국어교과교육론 (Plan and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과목은 국어교육의 실행에 관련되는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과 교수-학습, 국어과 교재, 국어과 평가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원리를 익히고 실제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개설되었다.
국어사 (History of Korean Language) 고대 국어에서 현대 국어에 이르기까지 음운체계의 변화, 어휘 및 문장구조의 사적 변천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 지도한다.
문학유산답사Ⅲ (Field Study Trip for Literary HeritageⅢ) 문학 유산이 남아 있는 현장을 답사하고 이야기문화원형에 대한 채록과 생애사 구술, 스토리텔링 창작 실습을 진행함으로써 디지털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스토리텔러로서의 현장감각을 익힌다.
미디어와스토리텔링 (Media and Storytelling) 본 과목을 통해 수강생은 미디어의 발전과 스토리텔링의 변화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이해한다.
시가교육론 (Pedagogical Theory of Korean Classic Poetry) 고시가의 개념과 범위를 살펴보고, 고시가의 장르별 연원과 생성, 형식과 내용상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주요 작품에 대한 이해와 문학적 가치 등을 살펴본다.
웹스토리텔링창작실습 (Web Storytelling Creation Practice) 다양한 이야기를 현장 학습을 통해 수집하고 분류하고 영상으로 제작함으로서 문화산업의 소스로서의 스토리의 가치를 학습한다. 웹소설, 웹드라마, 웹툰 등 웹스토리를 실제 창작해본다
웹스토리텔링창작워크샵 (Web Storytelling Creative Workshop) 개인 창작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웹시나리오 공모전에 응모하고 창작 경험을 쌓는다.
한국문화교육론 (Theory of Korean culture education) 한국어와 문화 교육의 연계 방안, 문화 교육 내용의 선택과 배열, 문화 교육 방법, 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 문화 교육과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등 문화 교육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한국민속학 (Korea folklore) 한국의 생활문화를 구조적으로 이해하며, 한국의 민속문화를 외국인에게 교육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한다.
한국어발음교육론 (Theory of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한국어 발음의 특징과 그 원리는 무엇이며,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그것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지에 대해 학습한다.
한국어사 (History of Korean Language) 한국어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핀다. 음운의 변화, 어휘의 변화, 통사의 변화 및 사회언어학적 특성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각각 살핌으로써 한국어의 통시적 특성을 이해한다.
한국어이해교육론 (Pedagogical Theory of Comprehension Skill in Korean) 읽기영역과 듣기영역의 언어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문자를 통한 정보와 음성을 통한 정보가 저장되는 인식과정을 각각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 방안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현대시의이해 (Understanding of Modern Poetry) 한국 현대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주요 작품과 작가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들 작품을 현대사회와 문학사적인 관점에서 이해한다. 아울러 시 창작에 대한 이론강의와 습작을 통하여 시인으로 등단할 수 있는 기회를 강구한다.

과목명 소개
문예창작심화 (Advance of Literary Writing) 논리적인 글쓰기 훈련을 통해 논술지도를 할 수 있는 교육적 역량을 강화한다.
콘텐츠기획론 (Theory of Content Planning)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한 콘텐츠 기획의 변화를 이해하고, 실제 사례 분석과 개인 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콘텐츠 기획에 대한 실무 역량을 배양한다
콘텐츠기획팀프로젝트 (Content planning team project)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콘텐츠기획을 팀 프로젝트를 통해 실습해봄으로써 현장감각을 익히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체화한다.
한국어교수방법론 (Pedagogical Theory of Korean Teaching Method)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 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면서 각 이론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교실 상황별 및 학습 목적별 교수 방안을 살펴본다.
한국어교육실습 (Practicum of Korean language teaching) 실제적 상황에서 그간 강의를 통해 배웠던 이론적인 내용들을 검증하고, 적용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아, 전문적인 한국어교육자로서의 자질을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