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와 연주활동, 그리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질을 극대화시키며 더욱더 그 능력을 향상시켜 사회에 이바지 한다.
나. 전문화 교육
음악이 사회에서 차지하는 세분화된 기능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학습을 통해 효과적인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개인이 주지하며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 진취적 이상을 가진 교육
세계화 정보화시대의 음악교육의 변화를 이해하고 응용하여 창조적이고 진취적인 교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전임교원 명단
교수명
직급
최종학위
전공분야
비고
홍안기
교수
박사
첼로
김영신
교수
박사
피아노
이주용
조교수
석사
피아노
김정미
조교수
석사
바이올린
이일주
조교수
박사
작곡·음악이론
전공주임교수
김대욱
조교수
박사
트럼펫
전공 내규
타 계열 전공 소지자 이수과목(선수과목)
선수과목은 타 전공을 이수한 원생이 본인의 연구 분야를 수학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교과목구성의 선수과목을 1학기부터 3학기까지 3과목 6학점을 개설하여 이수토록 한다. 단, 선수과목은 수료학점에는 포함되지 아니하나 이수하지 못한 자는 청구논문을 제출할 수 없다.
종합시험 과목
종합시험은 4학기까지 해당 전공분야의 학문을 토대로 전반적인 이해여부를 평가하면서 아울러 논문을 쓸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평가한다.
이수한 공통과목 1과목을 선택하여 출제
이수한 전공과목 2과목을 선택하여 출제
전공과목 출제위원은 주임교수가 1~2인을 추천한다.
논문지도와 청구논문 제출 절차
주임교수는 3학기 초에 원생의 의견을 존중하여 지도교수를 정하도록 한다.
청구논문제출에 앞서 논문에 대한 공개발표를 갖도록 한다.
공개발표 후 전공 교수회의에서 심사 여부를 결정한다. 미흡하다고 판단될 경우 논문 제출을 연기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