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교과소개
건축공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 출처: 학사 DB
과목명 | 소개 |
---|---|
건축환경공학 (Architectural Environment Planning) | 건축물 계획시 열, 빛, 음환경의 제반사항에 대한 응용력을 키운다. 특히 본 교과목에서는 음환경과 빛환경에 중점을 두고 심리적인 면까지 고려한 건축환경 문제를 다룬다. |
건축CAD (Architectural CAD) | CAD에서 기본도형의 작성을 습득케하고 건축CAD에서는 구조설계 실무에 필요한 구조도면 작성을 실습하는 과정으로 엮어져 있으며 구조부재의 단면과 치수, 배근도 및 접합상세등을 중심으로 강의함. |
건축일반구조 (Architectural General Structure) | 목구조, 벽돌조, 블록조, 석조,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등의 구성원리 및 설계방법을 다루며 특히, 건축물에 요구되는 성능을 재료, 시공, 환경에 부합되게 구성하는 능력을 키운다. |
창의적공학설계 (Creative engineering design) |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 스케치 및 시각적 추론능력, 팀을 이루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설계한 내용을 발표하고 토론을 통해 개선 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 |
과목명 | 소개 |
---|---|
건축설계(1) (Architectural Design(1)) | 건축물의 설계를 진행하는 방법과 구체적인 설계기법을 훈련, 연마함으로써 합리적이고 창의성 있는 설계능력을 배양한다. 특징: 실습과목 |
건축시공학 (Building Construction) | 건축시공 관련 공구법들의 장단점, 내용, 특징, 주의 사항 등을 강의하며, 각종 건축시공 사례들을 분석한다. |
구조역학 (Structural Analysis) | 정정구조물의 힘과 응력, 보, 라멘, 아치, 트러스, 그리고 부재단면과 재료의 성질 등을 공부하여 건축구조 해석 및 설계를 위한 기초 실력을 다지고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
건축계획 (Achitectural Planning) | 건축의 기능과 배치, 설비 내용을 정확히 알며 실제에 응용하는 학문으로 건축물의 기능과 구성, 후생 및 상호관련성(공공관계)등의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건축재료학 (Building Materials) | 건축물의 설계, 시공에서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도록 건축공사용 재료의 제조방법, 특성, 강도시험방법 등을 연구한다.특징: 건축기사자격증 관련교과목 |
생태건축계획 (Environmental Planning) | 이 과정은 생태건축계획의 기초와 설계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인간의 삶에 있어서 환경을 이용한 자연형 건물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학생들은 건축 환경의 기본 개념을 정립할 수 있다. |
재료역학 (Engineering Mechanics) | 보의 응력도, 기둥과 기초, 정정구조물의 변형 그리고 부정구조물 등을 공부하여 건축구조해석 및 설계를 위한 기초 실력을 다지고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
과목명 | 소개 |
---|---|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1)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1) | 극한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방법, 배근방법 등을 학습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의 기본이 되는 과목으로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2의 선수과목이다. 특징: 건축기사자격증 관련교과목 |
건물에너지시스템의이해 (Building Energy System) | 이 과정은 건물 설비 시스템의 기초와 설계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생들은 급배수설비, 급탕설비, 전기설비, 가스설비 및 위생설비의 기본개념을 정립할 수 있다.특징: 건축기사자격증 관련교과목 |
건축공정관리학 (Scheduling and Time Management on Building Construction) | 프로젝트 성 산업인 건축업의 생산 관리를 위한 스케줄링, 진도관리, 제 자원의 분배, 제 자원의 평준화, 3BS(WBS, CBS, OBS), 공정계획법 등을 강의하며, 각종 공정계획 사례들을 분석한다. |
건축법규 (Building Regulation) | 건축법 및 동시행렬과 시행규칙, 건축법 시행조례와 토지수용법, 도시계획법, 기타 건축물에 관계되는 법령을 해설하여 건축물설계에 적용하도록한다. |
건축설계(2) (Architectural Design(2)) | 효율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설계함으로서 디자인 능력을 향상시킨다. |
건축설비 (Building Equipment System) | 이 과정은 건물 설비 시스템의 실무적 응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생들은 hesting, cooling 과 더불어 공기조화 시스템의 기본 개념을 정립할 수 있다. 특징: 건축기사자격증 관련교과목 |
건축적산학 (Building Estimation) | 건축과정에 소요되는 재료비, 노력비, 동력비, 간접비, 예비비, 이윤 등의 산출방법을 다룬다.특징: 건축기사자격증 관련교과목 |
구조계획 (Structural Planning) | 구조계획의 중요성과 기둥, 보, 바닥, 지붕, 벽 등의 구조계획방법을 소개하고 구조계획과 COST와 상호관계를 공부한다. |
철골구조 (Steel Structure) | 철골구조의 기초이론과 구조설계에 필요한 응용이론을 체계적으로 이해시켜 철골구조물의 구조설계능력을 키운다. |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2)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Design(2)) | 콘크리트 및 철재의 재료학적 제 성질과 철근콘크리트구조 전반의 원리와 설계방법을 공부한다. |
과목명 | 소개 |
---|---|
건설사업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 | 하나의 건축물은 프로젝트 발굴, 타당성 검토, 개념설계, 상세설계, 입찰, 조달, 시공, 시운전, 유지/보수, 해체 단계 등의 생애주기(life-cycle)를 가지고 있으며, 이 단계들에서 CMr(Construction Manager)는 고유한 자기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과목은 이러한 생애주기 동안에 이루어지는 CMr의 역할과 이때 활용되는 각종 이론 및 기법 등을 강의하며, 각종 건축사업관리 사례들을 분석한다. |
건축구조및재료실험 (Architectural Structure & Meterials Testing Activity) | 건축 구조물과 재료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구조물과 그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에 대한 실제적인 실험을 통해 구조 해석과 재료의 성질에 대해 습득하고 응용방법에 대해 공부한다. |
건축환경설비계획 (Architectural Environment system Planning) | 건축환경에 관한 제반지식을 종합하여 실제로 공간에서 시스템을 설계해 봄으로써 건축환경과 설비의 실제원리를 터득하고 합리적인 건축설비 능력을 배양한다, 특히. Building Automation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응용한다. |
구조물보수보강및현장실습 (Retrofit of building and field training) | 최신 보강기술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보강기술의 원리를 이해한다. |
캡스톤디자인 (Capstone Design) | 전공교과에서 익힌 지식을 바탕으로 제품의 구상, 설계와 모델링에서 시제품제작에 이르기까지전반적인 과정을 수행하여 현장 적응력을 키우는 창의적인 공학설계를 위한 교과과정이다. |
컴퓨터구조설계 (Computational Structural Analysis) | 구조해석 및 구조설계용 소프트웨어인 MIDS를 이용하여 건물부재의 단면형상과 크기를 결정함. |